목차
Ⅰ. 정신건강의 의미와 조건
1. 정신건강의 의미
1). 정신건강에 대한 성격학자들의 견해
2. 건전한 정신건강의 조건
Ⅱ. 인간서비스 영역에서 정신건강의 중요성
1. 인간서비스 영역에서의 정신건강
2. 생태체계학적 관점에서의 정신건강
1). 정신건강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
2). 정신건강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
3).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환경적 관점
4). 정신건강에 대한 생태학적 이론 관점
Ⅲ. 정신장애
1. 정신장애의 이해
1) 정신장애의 정의
2) 정신장애의 원인
2. 정신장애의 증상론
1) 표정과 태도(facial expression and attitude)
2) 행동의 장애(disorders of activity)
3) 지각 장애(disorders of perception)
4) 사고의 장애(disdorder of thought)
5) 감정의 장애
6) 의식의 장애
7) 지남력의 장애(disorders of orientation)
8) 기억장애
9) 지능장애
10) 인격장애
※나의 정신건강(精神健康)
1. 정신건강의 의미
1). 정신건강에 대한 성격학자들의 견해
2. 건전한 정신건강의 조건
Ⅱ. 인간서비스 영역에서 정신건강의 중요성
1. 인간서비스 영역에서의 정신건강
2. 생태체계학적 관점에서의 정신건강
1). 정신건강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
2). 정신건강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
3).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환경적 관점
4). 정신건강에 대한 생태학적 이론 관점
Ⅲ. 정신장애
1. 정신장애의 이해
1) 정신장애의 정의
2) 정신장애의 원인
2. 정신장애의 증상론
1) 표정과 태도(facial expression and attitude)
2) 행동의 장애(disorders of activity)
3) 지각 장애(disorders of perception)
4) 사고의 장애(disdorder of thought)
5) 감정의 장애
6) 의식의 장애
7) 지남력의 장애(disorders of orientation)
8) 기억장애
9) 지능장애
10) 인격장애
※나의 정신건강(精神健康)
본문내용
)
- 어떤 대상, 사람, 행동 및 상황에 대해 불합리하게 무서원하며 피하려는 상태를 말한다.
- 대상에 따라 단순공포, 대인공포, 동물공포, 상황에 따라 광장공포, 고소공포, 비행공포, 폐소공퐈 천둥공포, 헐액공포 등이 있다.
⑤ 건강염려증
- 신체건강에 대해 과도한 관심을 갖는 것.
- 다른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싶어하거나 질병 등을 통해 책임감을 회피하려는 형향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5) 감정의 장애
(1) 기분장애
① 조증(고양된 기분, elevated mood)
- 보통 이상의 즐거운 기분으로 조증에서 나타난다.
② 울증(depression)
- 슬픈 느낌의 정동으로 가장 흔한 증상이다.
- 우울은 증오, 분노, 공격성 등의 감정을 억압한 결과로서 나타난다.
(2) 불안(anxiety)
- 두려움, 걱정 등 재난이 임박했다는 지속적 느낌으로 무의식적 충동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위협에 대한 경고신호로 생긴다.
- 의식적으로 알고 있는 또는 현실적 위협에 대한 것은 공포라 한다.
(3) 정동 또는 정서의 장애
- 정동은 정상적인 정서상태에서 변화를 경험하게 하는 정서(분노, 공포, 불안 등)에 수반되는 정서적 긴장을 말한다.
- 자신에 의해 표현되고 타인에 의해 관찰된다.
(4) 양가성
- 한 대상에 대하여 사랑과 미움이 동시에 있는 것과 두 감정이 모순 없이 존재하며 어느 한 쪽이 무의식내에 억압되어 잇다.
(5) 이인증
- 소원감이 근본증상이며 비현실감과 자기자신에 대한 주체성의 상실 및 자기 몸을 자기 마음대로 조절할 수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6) 의식의 장애
(1) 주의장애
- 주의란: 유용한 정도를 찾아 의식적으로 , 선택적으로 외계를 검색하고, 중요한 자극을 선택하여 주의를 집중하고, 이를 과거의 경험과 연관시켜 해석하는 연상과정을 거치는 3단계 행동이다.
- 주의산만, 선택적 부주의, 과잉각성 으로 망ㅅ항, 편집상태와 관련있다.
(2) 의식의 혼탁(clouding of consciousness)
- 감각자극에 대한 장애가 있는 것으로 주의가 산만하고 착란이 있어 이해력이 부족해진다.
(3) 착란
- 광범위한 뇌기능손상시 나타나며 당황, 혼동, 지남력자애, 연상장애, 사 고의 빈곤 등이 나타난다.
(4) 몽롱상태
-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 상태로서 심인성이 많으며 해리상태에서 전형적 으로 나타난다.
(5) 섬망
- 급성 뇌증후군의 증상으로 일반적으로 급성이다.
(6) 혼미와 혼수
- 혼미: 운동능력을 상실하게 되고 외부의 자극에 대해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심인성 혼미와 기질성 혼미가 있다.
- 혼수: 모든 정신활동과 신경조직의 기능이 마비되고 단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심장과 폐의 기능만 살아 있는 경우
(7) 피암시성의 장애
- 외부의 생각이나 영향력에 순응하고 무비판적으로 반응하는 경우를 말한다.
- 2인성 정신병과 최면에 의한 상태가 있다.
7) 지남력의 장애(disorders of orientation)
-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새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 시간, 장소 또는 상황, 타인과의 관계 등 세가지 분야가 있다.
- 기억, 주의, 지각에 장애가 있을 때 일어나며 뇌중후군, 심한 정신병 격한감정상태에 있을 때 볼 수 있다.
8) 기억장애
- 기억은 정보가 하나의 정신적 인상으로 등록(refistration) 저장 또는 유지(retention) 회상(recall) 되는 과정을 말한다.
- 감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부정적 감정에 대한 방어적 목적과 관련있다.
(1) 기억과잉 또는 기억항진
- 기억이 병적으로 지나치게 상세하고 집중되어 있다.
- 이러한 증상은 조증, 편집증, 긴장증에서 볼 수 있다.
(2) 건망증 또는 기억상실(amnesia)
- 기억불능 상태를 말하며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질성건망증(organic amnesia)
알콜중독시, 두부외상시외 같이 정보가 등록 안될 때, 또는 저장이 오래가지 못할 때
심인성 건망증(Psychogenic amnesia)
등록과 저장은 정상적이나 회상이 안되는 경우로 방어와 회피의 역동적 목적이 있는 능동적 과정의 결과이다.
(3) 기억착오
- 방어목적으로 거짓기억하는 것을 말함.
- 이때 기억이 안된 부분을 말할 때 꾸며 이야기를 하며 이를 ‘작화증’ 이라 한다.
(4) 거시감과 미시감
거시감: 낯선 것을 전에 본 것같이 느끼는 현상
미시감: 전에 알고 있는것에 대해 생소하게 보이는 것.
- 이는 방어적 목적으로 잊고 싶어하는 고통스러운 과거 경험과 연관이 있다
9) 지능장애
(1) 정신지체
- 유전적, 선천성 또는 발육초기 과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지능의 발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말함.
(2) 치매(dementia)
- 생후 정상적으로 발달되었던 지능이 후천적인 뇌기능장애 때문에 영구적이고 비가역적으로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 이는 대뇌피질의 퇴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개인적인 신경병리적 증상을 갖는 것에 원인에 있다.
10) 인격장애
- 개인은 각기 특성이 있는 인격을 갖고 있으나 어떤 유형은 병적인 것이 있다.
※나의 정신건강(精神健康)
나의 정신건강(精神健康)을 위(爲)하여 긍정적(肯定的)으로 세상을 본다.
마음이 어둡고 걱정이 있는 날 길을 나서면 온통 세상이 잿빛으로 보이며 어깨가 늘어지고 의욕이 떨지고. 무엇을 해도 될 것 같지 않는다.
실제로 이런 기분에선 될 일도 안되며, 세상살이가 쉽지 않아서 힘들고 어려운 일도 많이 닥친다. 그래서들 쉽게 좌절(挫折)하지만 그럴수록 세상을 긍정적(肯定的)으로 봐야 합니다. 즉 동전(銅錢)엔 양면(兩面)이 있다는 걸 믿어야 한다. 다시 말해 어두운 면이 있는가 하면 밝은 면도 있으므로 밝은 쪽을 보자는 겁니다. 그러는 순간 중추신경이 밝은 무드로 바뀌면서 온 몸에 활력(活力)이 넘치게 되고, 어렵게 생각되던 일에도 도전해 볼 용기가 생기고 실제로 길이 열리게 될 것이다.
사람을 만나도 짜증은 커녕 여유(餘裕)가 생기고 친절(親切)하게 되며 어떤 난관에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만큼 강한 힘은 없을 것이다.
- 어떤 대상, 사람, 행동 및 상황에 대해 불합리하게 무서원하며 피하려는 상태를 말한다.
- 대상에 따라 단순공포, 대인공포, 동물공포, 상황에 따라 광장공포, 고소공포, 비행공포, 폐소공퐈 천둥공포, 헐액공포 등이 있다.
⑤ 건강염려증
- 신체건강에 대해 과도한 관심을 갖는 것.
- 다른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싶어하거나 질병 등을 통해 책임감을 회피하려는 형향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5) 감정의 장애
(1) 기분장애
① 조증(고양된 기분, elevated mood)
- 보통 이상의 즐거운 기분으로 조증에서 나타난다.
② 울증(depression)
- 슬픈 느낌의 정동으로 가장 흔한 증상이다.
- 우울은 증오, 분노, 공격성 등의 감정을 억압한 결과로서 나타난다.
(2) 불안(anxiety)
- 두려움, 걱정 등 재난이 임박했다는 지속적 느낌으로 무의식적 충동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위협에 대한 경고신호로 생긴다.
- 의식적으로 알고 있는 또는 현실적 위협에 대한 것은 공포라 한다.
(3) 정동 또는 정서의 장애
- 정동은 정상적인 정서상태에서 변화를 경험하게 하는 정서(분노, 공포, 불안 등)에 수반되는 정서적 긴장을 말한다.
- 자신에 의해 표현되고 타인에 의해 관찰된다.
(4) 양가성
- 한 대상에 대하여 사랑과 미움이 동시에 있는 것과 두 감정이 모순 없이 존재하며 어느 한 쪽이 무의식내에 억압되어 잇다.
(5) 이인증
- 소원감이 근본증상이며 비현실감과 자기자신에 대한 주체성의 상실 및 자기 몸을 자기 마음대로 조절할 수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6) 의식의 장애
(1) 주의장애
- 주의란: 유용한 정도를 찾아 의식적으로 , 선택적으로 외계를 검색하고, 중요한 자극을 선택하여 주의를 집중하고, 이를 과거의 경험과 연관시켜 해석하는 연상과정을 거치는 3단계 행동이다.
- 주의산만, 선택적 부주의, 과잉각성 으로 망ㅅ항, 편집상태와 관련있다.
(2) 의식의 혼탁(clouding of consciousness)
- 감각자극에 대한 장애가 있는 것으로 주의가 산만하고 착란이 있어 이해력이 부족해진다.
(3) 착란
- 광범위한 뇌기능손상시 나타나며 당황, 혼동, 지남력자애, 연상장애, 사 고의 빈곤 등이 나타난다.
(4) 몽롱상태
-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 상태로서 심인성이 많으며 해리상태에서 전형적 으로 나타난다.
(5) 섬망
- 급성 뇌증후군의 증상으로 일반적으로 급성이다.
(6) 혼미와 혼수
- 혼미: 운동능력을 상실하게 되고 외부의 자극에 대해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심인성 혼미와 기질성 혼미가 있다.
- 혼수: 모든 정신활동과 신경조직의 기능이 마비되고 단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심장과 폐의 기능만 살아 있는 경우
(7) 피암시성의 장애
- 외부의 생각이나 영향력에 순응하고 무비판적으로 반응하는 경우를 말한다.
- 2인성 정신병과 최면에 의한 상태가 있다.
7) 지남력의 장애(disorders of orientation)
-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새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 시간, 장소 또는 상황, 타인과의 관계 등 세가지 분야가 있다.
- 기억, 주의, 지각에 장애가 있을 때 일어나며 뇌중후군, 심한 정신병 격한감정상태에 있을 때 볼 수 있다.
8) 기억장애
- 기억은 정보가 하나의 정신적 인상으로 등록(refistration) 저장 또는 유지(retention) 회상(recall) 되는 과정을 말한다.
- 감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부정적 감정에 대한 방어적 목적과 관련있다.
(1) 기억과잉 또는 기억항진
- 기억이 병적으로 지나치게 상세하고 집중되어 있다.
- 이러한 증상은 조증, 편집증, 긴장증에서 볼 수 있다.
(2) 건망증 또는 기억상실(amnesia)
- 기억불능 상태를 말하며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질성건망증(organic amnesia)
알콜중독시, 두부외상시외 같이 정보가 등록 안될 때, 또는 저장이 오래가지 못할 때
심인성 건망증(Psychogenic amnesia)
등록과 저장은 정상적이나 회상이 안되는 경우로 방어와 회피의 역동적 목적이 있는 능동적 과정의 결과이다.
(3) 기억착오
- 방어목적으로 거짓기억하는 것을 말함.
- 이때 기억이 안된 부분을 말할 때 꾸며 이야기를 하며 이를 ‘작화증’ 이라 한다.
(4) 거시감과 미시감
거시감: 낯선 것을 전에 본 것같이 느끼는 현상
미시감: 전에 알고 있는것에 대해 생소하게 보이는 것.
- 이는 방어적 목적으로 잊고 싶어하는 고통스러운 과거 경험과 연관이 있다
9) 지능장애
(1) 정신지체
- 유전적, 선천성 또는 발육초기 과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지능의 발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말함.
(2) 치매(dementia)
- 생후 정상적으로 발달되었던 지능이 후천적인 뇌기능장애 때문에 영구적이고 비가역적으로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 이는 대뇌피질의 퇴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개인적인 신경병리적 증상을 갖는 것에 원인에 있다.
10) 인격장애
- 개인은 각기 특성이 있는 인격을 갖고 있으나 어떤 유형은 병적인 것이 있다.
※나의 정신건강(精神健康)
나의 정신건강(精神健康)을 위(爲)하여 긍정적(肯定的)으로 세상을 본다.
마음이 어둡고 걱정이 있는 날 길을 나서면 온통 세상이 잿빛으로 보이며 어깨가 늘어지고 의욕이 떨지고. 무엇을 해도 될 것 같지 않는다.
실제로 이런 기분에선 될 일도 안되며, 세상살이가 쉽지 않아서 힘들고 어려운 일도 많이 닥친다. 그래서들 쉽게 좌절(挫折)하지만 그럴수록 세상을 긍정적(肯定的)으로 봐야 합니다. 즉 동전(銅錢)엔 양면(兩面)이 있다는 걸 믿어야 한다. 다시 말해 어두운 면이 있는가 하면 밝은 면도 있으므로 밝은 쪽을 보자는 겁니다. 그러는 순간 중추신경이 밝은 무드로 바뀌면서 온 몸에 활력(活力)이 넘치게 되고, 어렵게 생각되던 일에도 도전해 볼 용기가 생기고 실제로 길이 열리게 될 것이다.
사람을 만나도 짜증은 커녕 여유(餘裕)가 생기고 친절(親切)하게 되며 어떤 난관에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만큼 강한 힘은 없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기 발달과제와 정신건강 문제, 심리사회적 이해,아동기 발달과제와 정신건강,아동기 정신...
성격장애 (정신건강론)
[정신건강론]정신분열병의 원인, 정동장애의 정의, 주요우울장애의 종류
[발달과정] 인간발달과 정신건강[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 발달의 정의 및 특징, 발달특성, ...
[정신건강론] 영유아기의 정신건강 문제인 분리불안장애에 대해 (불리불안장애)
정신건강과 적응, 불안장애(강박장애,공황장애,공포장애),불안vs불안장애,정상적인 불안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폭식증(섭식장애)의 이해 - 폭식증의 진단과 분류, 폭식증의 특성과...
정신건강론 -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아동기 정신건강에 관하여 조사하시오
외상과 정신건강 PPT(PTSD,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성폭력, 가정폭력, 학교폭력, 강간)프레젠테...
사회복지 프로그램) 중도 시각장애인의 우울감 경감과 치유를 위한 정신건강 및 동기부여 프...
[성인기의 정신건강문제] 갱년기 장애와 화병
(A+ 레포트,시험대비) [정신건강론] 식사 및 섭식장애의 이해
(A+ 레포트,시험대비) [정신건강론] 산술장애 및 쓰기장애의 이해
(A+ 레포트,시험대비) [정신건강론] 기분장애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