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집사와 목사도 민주적으로 세운다. 상회나 성직자의 지도력을 부인함으로 말미암아 교회의 통일성 상실 위험과 분열의 위험이 많다.
17. 예언자적 교회, 제사장적 교회
민중운동지도자인 아이슬러, 브랜든 등 좌파 신학자들과 한국의 민중사관은 예수의 죽음은 정치적 죽음이지 속죄적 죽음이 아니다라고 주아한다. 빌라도는 예수를 바나바(막15:7)와 같은 정치범으로 취급했다는 점에서. 헹엘과 쿨만도 십자가는 정치적 형틀이고 빌라도의 오인에 의해 재판했다고 분석하고 정치적 왕이다라고 하지만(요6:15) 그러나 속죄적 죽음이다.(막10:45; 마8:31-33) 예수는 속죄적 죽음을 위해서 왔는가? 예수는 정치적 혁명이나 사회 혁명적 투쟁으로 인간의 내적 변화 및 개인적 회심을 바랐다고 헹엘과 쿨만은 결론 지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속죄를 알리고(제사장적 기능), 하나님의 말씀과 사회정의를 선포하고(예언자적 기능), 하나님의 통치를 세상과 국가 속에 실현해야 한다(왕적 기능).
18. 교회와 국가
1) 교회는 국가를 향한 하나님의 뜻(말씀)을 선포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
2) 정교는 분리 되어야 한다.
3) 국가의 잘못을 개혁하는 비판과 감화의 역할을 해야 한다. 칼빈은 두 가지 저항권을 교회가 사용할 수 있다. 국가 하나님의 경배를 받을 때, 독재자가 포악하고 방자하여 백성의 자유를 억압할 때
4)국가를 위해 기도하고 공직자를 존경해야 한다.
19. 교회의 궁극적 목표
하나님 나라의 건설이다. 오순절 성령 강림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이다. 교회는 영적인 보고이다. 하나님의 목적에 인간을 직면하도록 한다.
17. 예언자적 교회, 제사장적 교회
민중운동지도자인 아이슬러, 브랜든 등 좌파 신학자들과 한국의 민중사관은 예수의 죽음은 정치적 죽음이지 속죄적 죽음이 아니다라고 주아한다. 빌라도는 예수를 바나바(막15:7)와 같은 정치범으로 취급했다는 점에서. 헹엘과 쿨만도 십자가는 정치적 형틀이고 빌라도의 오인에 의해 재판했다고 분석하고 정치적 왕이다라고 하지만(요6:15) 그러나 속죄적 죽음이다.(막10:45; 마8:31-33) 예수는 속죄적 죽음을 위해서 왔는가? 예수는 정치적 혁명이나 사회 혁명적 투쟁으로 인간의 내적 변화 및 개인적 회심을 바랐다고 헹엘과 쿨만은 결론 지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속죄를 알리고(제사장적 기능), 하나님의 말씀과 사회정의를 선포하고(예언자적 기능), 하나님의 통치를 세상과 국가 속에 실현해야 한다(왕적 기능).
18. 교회와 국가
1) 교회는 국가를 향한 하나님의 뜻(말씀)을 선포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
2) 정교는 분리 되어야 한다.
3) 국가의 잘못을 개혁하는 비판과 감화의 역할을 해야 한다. 칼빈은 두 가지 저항권을 교회가 사용할 수 있다. 국가 하나님의 경배를 받을 때, 독재자가 포악하고 방자하여 백성의 자유를 억압할 때
4)국가를 위해 기도하고 공직자를 존경해야 한다.
19. 교회의 궁극적 목표
하나님 나라의 건설이다. 오순절 성령 강림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이다. 교회는 영적인 보고이다. 하나님의 목적에 인간을 직면하도록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