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1의 논리
2. 1+1를 증명하는 페아노 공리계
3. 덧셈의 본질적 성질
4. 나의 생각
참고문헌
2. 1+1를 증명하는 페아노 공리계
3. 덧셈의 본질적 성질
4. 나의 생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야구시합은 취소된다.
소나기가 온다
그러므로 야구시합은 취소된다.
로 된다. 이것이 추론 이다. 논리가 추론이라고 하면 그것은 우리의 일상 생활 속에서 늘 행하는 사고의 실질적 활동이요, 또 행동을 결정하는 인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추론이라고 해서 다 타당한 것은 아니다. 비록 외양은 추론형식을 갖추었지만 타당하지 못한 추론도 얼마든지 있다. 그러기에 추론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그 추론의 타당성 검증을 기능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추론을 형식화하고, 정확하고 엄격하게 하기 위하여 기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논리는 형식논리라 불리우고, 특히 기호를 사용한 논리를 기호논리(symbolic logic)라고 한다. 논리를 추론의 타당성의 검증이라고 한다면 논리는 일종의 기술(technique)일 수도 있다. 그러나 논리는 한갓된 기술 이상의 것이다. 이 두 가지 성질만 알면 덧셈은 모두 알게 된다. 좀 더 도전해 보고 싶다면 1+7이 8이라는 것을 증명해 보기 바란다. 7+1=8이라는 것은 이미 설명했다. 하지만 1+7은 7+1과는 약간 다르다. 아직 교환법칙을 증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정경훈, 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소나기가 온다
그러므로 야구시합은 취소된다.
로 된다. 이것이 추론 이다. 논리가 추론이라고 하면 그것은 우리의 일상 생활 속에서 늘 행하는 사고의 실질적 활동이요, 또 행동을 결정하는 인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추론이라고 해서 다 타당한 것은 아니다. 비록 외양은 추론형식을 갖추었지만 타당하지 못한 추론도 얼마든지 있다. 그러기에 추론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그 추론의 타당성 검증을 기능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추론을 형식화하고, 정확하고 엄격하게 하기 위하여 기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논리는 형식논리라 불리우고, 특히 기호를 사용한 논리를 기호논리(symbolic logic)라고 한다. 논리를 추론의 타당성의 검증이라고 한다면 논리는 일종의 기술(technique)일 수도 있다. 그러나 논리는 한갓된 기술 이상의 것이다. 이 두 가지 성질만 알면 덧셈은 모두 알게 된다. 좀 더 도전해 보고 싶다면 1+7이 8이라는 것을 증명해 보기 바란다. 7+1=8이라는 것은 이미 설명했다. 하지만 1+7은 7+1과는 약간 다르다. 아직 교환법칙을 증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정경훈, 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