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서(隸書)란
2. 예서의 변천
3. 예서의 진전(秦篆)과 초서(草書)의 등장
4. 예서는 언제 발생했나
1) 첫째, 진대(秦代)에 예서가 발생했다는 설
2) 둘째, 진대 이전에 예서가 시작되었다는 설
5. 예서 해서 행서
참고문헌
2. 예서의 변천
3. 예서의 진전(秦篆)과 초서(草書)의 등장
4. 예서는 언제 발생했나
1) 첫째, 진대(秦代)에 예서가 발생했다는 설
2) 둘째, 진대 이전에 예서가 시작되었다는 설
5. 예서 해서 행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창구초의 서체로 대표된다. 금초는 한말의 서예가 장즈또는 동진의 왕시즈 등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오는 흘림체로 장초보다 부드럽고 운치있게 변모된 초서체이다. 당대에 나온 광초는 전혀 알아볼수 없이 미친듯이 흘려 쓴 흘림체로 이 광초라는 초서체로 부터는 완전히 문자로서의 실용성을 떠나 예술창작의 대상으로 화하였다. 행서는 해서와 초서의 중간쯤 되는 서체로 후한대에 나왔으며 필획을 연이어 쓰는 필기체로 초서처럼 알아보기 어렵지도 않고 쓰기도 쉬위서 일상생활에 더없이 간편한 서체이므로 온갖 서간문과 필기에 쓰여온 가장 역사가 긴 서체이다.해서와 더불어 한대에서 현대까지 광범위하게 통행되어오는 서체이다. 왕시즈의 란정집서의 행서는 만고의 걸작이다.
참고문헌
육종달(陸宗達), 김근 譯, [설문해자통론(說文解字通論), 계명대 출판부
김기승 著, [한국 서예사], 정음사, 1975
권영원 著, [전초입문(篆草入門)], 오성사,1985
김종태 著, [중국회화사], 일지사, 1976
용우순 著, 양동숙 譯, [중국문자학], 학연사, 1987
마가렛 메들리 著, 김영원 譯,
[중국도자사(中國陶磁史)], 열화당
조종업 著, [한문통석(漢文通釋)], 형설출판사, 1975
참고문헌
육종달(陸宗達), 김근 譯, [설문해자통론(說文解字通論), 계명대 출판부
김기승 著, [한국 서예사], 정음사, 1975
권영원 著, [전초입문(篆草入門)], 오성사,1985
김종태 著, [중국회화사], 일지사, 1976
용우순 著, 양동숙 譯, [중국문자학], 학연사, 1987
마가렛 메들리 著, 김영원 譯,
[중국도자사(中國陶磁史)], 열화당
조종업 著, [한문통석(漢文通釋)], 형설출판사, 1975
추천자료
『연인』을 보고...
삼국지 문화답사기『삼국지 유적을 돌아보며』
국 민 기 초 생 활 보 장 법
중국 감숙성에 대하여
[과외]중학 국사 2-21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정권 03
한중 일상생활사에 대한 역사 인류학적 접근(젓가락의 닮을과 숟가락의 다름)
2010년 1학기 한국사회문제 중간시험과제물 A형(고령화와 노년층 빈곤)
견학보고서-동화사
1601엘리자베스 구빈법 특징과 자선조직협회, 인보관운동 비교, 국내의 사회복지발달과정, 사...
영국의 개정 구빈법의 파급효과, 영국의 국민보험법, 미국의 사회보장법의 주요내용과 파급효...
[사회복지] 영국과 우리나라의 복지제도에 대해 비교논의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과정
[사회복지법제론]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채동번의 5대사역사소설 오대사통속연의 4회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