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2. 시애틀의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3. 배경
4. 여건 및 활성화 과정
5.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사업개요 및 추진배경
6.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사업의 특징
7.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시장을 보존하려는 사례
8.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의 시민 참여와 시장을 보존하고자 하는 발의안
9.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의 시장보존 이후에 시애틀에서의 도심계획에 함의
10.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2. 시애틀의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3. 배경
4. 여건 및 활성화 과정
5.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사업개요 및 추진배경
6.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사업의 특징
7.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시장을 보존하려는 사례
8.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의 시민 참여와 시장을 보존하고자 하는 발의안
9.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의 시장보존 이후에 시애틀에서의 도심계획에 함의
10.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1965-1975년 사이("하부지역 간의 연합" 단계)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후자의 단계는 독특한 도심부 지역(Pike Place Market과 같은"노후 지구"를 포함한)이 단일한 특성을 가진 통일된 도심지역보다 더 가치 있는 개념이 되는 시기 동안에 주요한 전환으로 특징지어진다.
10. 결론 및 시사점
시장을 재개발하려던 원래의 계획이 어떻게 최종적으로 도심지역에 영향을 미쳤을지를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시장을 보존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이끌었던 개인들(발의안을 지지했던 시민들도)이 이 지역을 경제적인 자산으로서 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중요성을 갖는 장소로서의 잠재력을 미리 보았다는 것은 분명하다.
오늘날 시장은 여행자들의 주요 관광지뿐만 아니라, 농산 및 수산시장, 공예가, 예술가, 꽃이나 다른 작은 사업을 위한 장소로서 기능한다. 현재의 관점에서 보면, 미국에 있는 도심지역은 주민들의 일상생활에의 필요를 위한 슈퍼마켓(식료품점)이 부족한 문제점들을 갖고 있는데 반해, Pike Place Market은 시애틀에서 활력 있는 도심주거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왔다. 동시대 보스턴의 Faneuli Hall이나 Quincy Market과 같이, 이것의 역할은 다른 도시들에게 인식되고 성공적으로 모방되어 왔으며, 공공시장지역의 역사적인 보존을 통해 그들만의 "도심부 노후지역"을 창출해온 샌프란시스코의 Ferry Building Market이나 캐나다 밴쿠버의 Granville Island Public Market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시애틀 도심부에서, Pike Place Market과 같은 지구의 보존은 이전 시애틀 시의원인 Victor Steinbrueck에 의해 설명된 "살고 싶은 미래"의 비전을 명확하게 하도록 도왔다. 살고 싶음 미래를 위한 이 비전은 현재 시애틀의 최근에 통과된 살고 싶은 도심부 계획을 통해 수행되고 있으며, 이 계획은 22,000명의 새 인구와 50,000의 추가적인 고용을 수용하기 위한 도심부 근린주구의 밀도의 증가를 포함하고 있다. 시애틀 도심부가 변화함에 따라, Pike Place Market은 근린주구에서 사람들 간의 교류와 경제활동을 촉진하는 거점으로서 기능하고, 더 기본적인 차원에서는 지역의 농산물을 공급하는 중요한 공급원으로서 계속하여 기능하게 될 것이다.
Pike Place Market은 어떻게 시민들이 정부의 가차 없는 대규모 재개발 계획에 대항하여 싸웠고 근린주구의 성격을 보존하기 위한 싸움에서 이겼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하고 성공적인 사례이다. 시장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살고 싶은 도심부를 위한 중심지점으로서 기능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국토연구원(2006), “살고싶은 도시만들기와 도시계획의 역할에 관한 연구: 외국사례
협력적 파트너쉽에 의한 도시개발에 관한 연구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개발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강명옥/광운대 경영대학원,
인천광역시 소래포구 어시장 재개발 계획안 / 박순재/건국대 건축전문대학원
인천광역시 소래포구 어시장 재개발 계획안 / 박순재/건국대 건축전문대학원
10. 결론 및 시사점
시장을 재개발하려던 원래의 계획이 어떻게 최종적으로 도심지역에 영향을 미쳤을지를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시장을 보존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이끌었던 개인들(발의안을 지지했던 시민들도)이 이 지역을 경제적인 자산으로서 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중요성을 갖는 장소로서의 잠재력을 미리 보았다는 것은 분명하다.
오늘날 시장은 여행자들의 주요 관광지뿐만 아니라, 농산 및 수산시장, 공예가, 예술가, 꽃이나 다른 작은 사업을 위한 장소로서 기능한다. 현재의 관점에서 보면, 미국에 있는 도심지역은 주민들의 일상생활에의 필요를 위한 슈퍼마켓(식료품점)이 부족한 문제점들을 갖고 있는데 반해, Pike Place Market은 시애틀에서 활력 있는 도심주거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왔다. 동시대 보스턴의 Faneuli Hall이나 Quincy Market과 같이, 이것의 역할은 다른 도시들에게 인식되고 성공적으로 모방되어 왔으며, 공공시장지역의 역사적인 보존을 통해 그들만의 "도심부 노후지역"을 창출해온 샌프란시스코의 Ferry Building Market이나 캐나다 밴쿠버의 Granville Island Public Market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시애틀 도심부에서, Pike Place Market과 같은 지구의 보존은 이전 시애틀 시의원인 Victor Steinbrueck에 의해 설명된 "살고 싶은 미래"의 비전을 명확하게 하도록 도왔다. 살고 싶음 미래를 위한 이 비전은 현재 시애틀의 최근에 통과된 살고 싶은 도심부 계획을 통해 수행되고 있으며, 이 계획은 22,000명의 새 인구와 50,000의 추가적인 고용을 수용하기 위한 도심부 근린주구의 밀도의 증가를 포함하고 있다. 시애틀 도심부가 변화함에 따라, Pike Place Market은 근린주구에서 사람들 간의 교류와 경제활동을 촉진하는 거점으로서 기능하고, 더 기본적인 차원에서는 지역의 농산물을 공급하는 중요한 공급원으로서 계속하여 기능하게 될 것이다.
Pike Place Market은 어떻게 시민들이 정부의 가차 없는 대규모 재개발 계획에 대항하여 싸웠고 근린주구의 성격을 보존하기 위한 싸움에서 이겼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하고 성공적인 사례이다. 시장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살고 싶은 도심부를 위한 중심지점으로서 기능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국토연구원(2006), “살고싶은 도시만들기와 도시계획의 역할에 관한 연구: 외국사례
협력적 파트너쉽에 의한 도시개발에 관한 연구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개발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강명옥/광운대 경영대학원,
인천광역시 소래포구 어시장 재개발 계획안 / 박순재/건국대 건축전문대학원
인천광역시 소래포구 어시장 재개발 계획안 / 박순재/건국대 건축전문대학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