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담의 핵심 기법
2. 면담 기법
3. 나의 의견
참고문헌
2. 면담 기법
3. 나의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 보내는 눈길에서 ‘당신을 이해합니다’ 라는 뜻을 전달하여야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와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는 것이 좋은 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어떤 내담자는 너무 가까이에서 시선을 받으면 불편해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내담자가 시선을 받을 때 불편해하거나 긴장하는지를 살펴야 한다. 경청의 둘째 요소는 상담자의 자세이다. 보통 상담자는 이완된 자세로 내담자 쪽으로 약간 몸을 기울이는 것이 좋다. 상담자의 자세가 이완되지 않고 긴장된 경우는 내담자를 주목하지 못하고 상담자 자신을 더 의식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청으로 상담자는 내담자인 나에게 아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받을 수 없었으나 내담자인 나의 경청으로 아이의 어머니는 아이에 대하여 많은 것을 이야기함으로써 스스로 잘못된 점과 고쳐야 할 점들을 파악하고 상담을 마쳤다. 어머니는 처음 상담시작 보다 훨씬 가벼운 마음으로 상담을 끝낼 수 있어 매우 만족한 상담이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1. “청소년 상담의 실제”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부설 기독가족상담소(발행 2000년)
2. 노안영(1997). 상담의 기본요소. 중앙적성출판사.
3. 이장호 최윤미(1992). 상담사례 연구집. 박영사.
참고문헌
1. “청소년 상담의 실제”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부설 기독가족상담소(발행 2000년)
2. 노안영(1997). 상담의 기본요소. 중앙적성출판사.
3. 이장호 최윤미(1992). 상담사례 연구집. 박영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