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Ⅰ. 자원봉사의 의미와 역사
1. 자원봉사의 개념정의(의미) - 기능, 역할
2. 세계적인 자원봉사의 역사<간략히> - 미국,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3.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역사<간략히>
Ⅱ. 일반적인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는 과정
Ⅲ. 자원봉사 현황과 관리․지원 상황과 정부의 정책
1. 우리나라의 자원봉사 실태와 문제점< 2005년도 통계자료 참고 >
2. 자원봉사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종류 및 내용
3. 우리나라에서 자원봉사가 강조된 시기와 강조된 이유
4. 정부의 정책에 의한 자원봉사 < 자원봉사지원법을 위주로>
Ⅳ.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
1. 추진체계의 문제점
2. 관리체계의 문제점
3. 지원체계의 문제점
Ⅴ.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제언
Ⅰ. 자원봉사의 의미와 역사
1. 자원봉사의 개념정의(의미) - 기능, 역할
2. 세계적인 자원봉사의 역사<간략히> - 미국,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3.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역사<간략히>
Ⅱ. 일반적인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는 과정
Ⅲ. 자원봉사 현황과 관리․지원 상황과 정부의 정책
1. 우리나라의 자원봉사 실태와 문제점< 2005년도 통계자료 참고 >
2. 자원봉사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종류 및 내용
3. 우리나라에서 자원봉사가 강조된 시기와 강조된 이유
4. 정부의 정책에 의한 자원봉사 < 자원봉사지원법을 위주로>
Ⅳ.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
1. 추진체계의 문제점
2. 관리체계의 문제점
3. 지원체계의 문제점
Ⅴ.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제언
본문내용
51,937
23
19
2
2
-
22
조합
47
32
15
60,314
200
3%
경북
2,462,104
2,334,517
127,587
24
4
5
12
3
21
조합
63
12
51
106,995
271
3%
경남
1,635,193
1,603,548
31,645
21
13
7
1
-
18
조합
46
20
26
257,830
316
8%
제주
684,087
666,166
17,921
5
4
-
1
-
5
조합
9
3
6
61,324
56
10%
계
31,315,601
29,513,623
1,801,978
250
88
59
94
9
206
14/2
761
210
551
2,083,734
4,926
4%
비고
100%
94%
6%
35%
24%
38%
4%
83%
100
28%
72%
○예산 미집행률이 6%나 된다.
○민간운동인 자원봉사센터 운영주체의 60%가 지방자치단체에 있다는 것은 분명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원, 전남, 경남, 제주에 집중되어 있다. 법 시행을 계기로 민간운영으로 전환해나가야 한다.
○조례 미 제정 지방자치단체는 법 시행을 계기로 제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산관리시스템은 외형상 서울, 경기를 제외하고는 자치화정보조합에서 개발한 관리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서울, 경기와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이 우선 필요하다. 또한, 실시간으로 활동현황을 파악하고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정비 및 정보 입력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자원봉사센터 직영운영에 따라 상근인력의 28%인 210명이 공무원에 해당된다. 이는 운영형태의 변경조치가 진행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자원봉사활동 지원부서 담당자의 인사이동에 따른 업무의 이해도 및 일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에 대한 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추정 자원봉사자(20.5%)에 비하면 자원봉사센터 등록률(전국 4%)은 많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그러나 등록 자원봉사자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지방자치단체간의 경쟁적인 등록 실적 높이기는 지양되어야 한다. 오히려 효율적인 자원봉사단체 및 자원봉사자의 관리 및 지원방안 사업에 집중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관리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2)자원봉사자 교육현황 및 과제
구분
자원봉사자 교육현황
기본
재교육
업무(기술)교육
신규봉사자
기존봉사자
센터
회수
센터
회수
센터
회수
센터
인원
센터
인원
서울
26
1
486
2
184
2
260
1
66,559
-
24,080
부산
17
-
225
1
150
4
69
-
24,163
-
13,202
대구
9
-
202
-
43
3
45
1
13,611
-
9,157
인천
11
2
95
3
23
10
1
2
8,492
3
1,361
광주
6
-
143
1
31
-
67
-
9,978
-
3,228
울산
6
-
12
4
2
1
34
-
1,179
1
1,392
대전
6
-
33
-
10
4
5
1
1,351
-
966
경기
32
1
1,238
8
263
6
272
1
164,957
1
40,954
강원
19
3
135
11
51
11
35
5
6,075
2
5,554
충북
13
-
170
3
89
1
810
2
22,085
-
35,693
충남
17
1
180
7
28
7
96
4
6,693
2
7,881
전북
15
4
100
8
117
12
4
4
13,096
2
20,936
전남
23
6
77
14
14
12
78
9
5,121
4
9,066
경북
24
3
187
9
200
15
161
5
22,377
5
4,178
경남
21
4
160
15
11
8
69
9
10,705
3
13,629
제주
5
-
28
3
3
1
8
4
1,347
-
1,925
계
250
25(10%)
3,471
89(35%)
1,219
97(38%)
2,014
48(19%)
377,789
23(9%)
193,202
*데이터의 신뢰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부분은 포함시키지 않음.
*센터는 미실시 센터를 표기한 것임
○자원봉사자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센터는 전체의 10%인 25개소가 이에 해당된다. 자료의 취합이 100%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었다는 개연성이 있더라도, 교육활동이 자원봉사센터의 주요 역할인 점을 고려할 때 수치가 높은 편이다. 특히, 완전직영센터 중에서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곳이 많은 편이다.
○기본교육, 재교육, 업무(기술교육) 전체로 볼 때 자원봉사자 교육은 1센터 당 평균 19회, 3주에 1회 정도 교육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적측면에서는 자원봉사자 교육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일부 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자원봉사자에 대한 기술(상담, 미용, 마술 등)교육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기술교육을 받고 싶은 자원봉사자의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기술교육을 자원봉사센터가 할 것인가에 대한 내부 이견이 존재하고 있는 만큼 그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당분간은 지역실정에 맞게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받은 자원봉사자(57만명)는 등록(200만명)대비 29%에 해당된다. 교육대상자의 중복을 고려하면 등록된 자원봉사자의 상당수가 교육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여 진다. 특히, 기존 등록자원봉사자에 대한 교육실시율은 10%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교육현황에 비추어 볼 때 몇 가지 추론이 가능하다. 우선, 자원봉사자를 정기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인프라(교육장 시설)의 부족이며, 두 번째는 등록자원봉사자에 대한 관리시스템의 문제, 세 번째는 등록 자원봉사자의 실제 활동력의 문제일 것이다.
○전체적으로 자원봉사 교육은 두 가지 문제로 집중된다. 하나는 교육 강사 인적자원의 부족현상이다. 두 번째는 교육프로그램(커리큘럼)이 표준화되지 않은 것이다. 재탕 삼탕되는 교육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발, 표준교재 개발, 강사양성을 위한 특단의 대책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자원봉사 관리자 교육 현황 및 과제
구분
실시
센터
교육주관(회수)
교육대상
교육내용
지역
센터수
광
역
기
초
광역
기초
외부
합
동
관리자
지도자
협력기관
기타
센터
운영
관리
실무
전
문
기
술
프로그램
강
사
양
성
이론
일반
네
트
23
19
2
2
-
22
조합
47
32
15
60,314
200
3%
경북
2,462,104
2,334,517
127,587
24
4
5
12
3
21
조합
63
12
51
106,995
271
3%
경남
1,635,193
1,603,548
31,645
21
13
7
1
-
18
조합
46
20
26
257,830
316
8%
제주
684,087
666,166
17,921
5
4
-
1
-
5
조합
9
3
6
61,324
56
10%
계
31,315,601
29,513,623
1,801,978
250
88
59
94
9
206
14/2
761
210
551
2,083,734
4,926
4%
비고
100%
94%
6%
35%
24%
38%
4%
83%
100
28%
72%
○예산 미집행률이 6%나 된다.
○민간운동인 자원봉사센터 운영주체의 60%가 지방자치단체에 있다는 것은 분명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원, 전남, 경남, 제주에 집중되어 있다. 법 시행을 계기로 민간운영으로 전환해나가야 한다.
○조례 미 제정 지방자치단체는 법 시행을 계기로 제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산관리시스템은 외형상 서울, 경기를 제외하고는 자치화정보조합에서 개발한 관리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서울, 경기와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이 우선 필요하다. 또한, 실시간으로 활동현황을 파악하고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정비 및 정보 입력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자원봉사센터 직영운영에 따라 상근인력의 28%인 210명이 공무원에 해당된다. 이는 운영형태의 변경조치가 진행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자원봉사활동 지원부서 담당자의 인사이동에 따른 업무의 이해도 및 일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에 대한 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추정 자원봉사자(20.5%)에 비하면 자원봉사센터 등록률(전국 4%)은 많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그러나 등록 자원봉사자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지방자치단체간의 경쟁적인 등록 실적 높이기는 지양되어야 한다. 오히려 효율적인 자원봉사단체 및 자원봉사자의 관리 및 지원방안 사업에 집중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관리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2)자원봉사자 교육현황 및 과제
구분
자원봉사자 교육현황
기본
재교육
업무(기술)교육
신규봉사자
기존봉사자
센터
회수
센터
회수
센터
회수
센터
인원
센터
인원
서울
26
1
486
2
184
2
260
1
66,559
-
24,080
부산
17
-
225
1
150
4
69
-
24,163
-
13,202
대구
9
-
202
-
43
3
45
1
13,611
-
9,157
인천
11
2
95
3
23
10
1
2
8,492
3
1,361
광주
6
-
143
1
31
-
67
-
9,978
-
3,228
울산
6
-
12
4
2
1
34
-
1,179
1
1,392
대전
6
-
33
-
10
4
5
1
1,351
-
966
경기
32
1
1,238
8
263
6
272
1
164,957
1
40,954
강원
19
3
135
11
51
11
35
5
6,075
2
5,554
충북
13
-
170
3
89
1
810
2
22,085
-
35,693
충남
17
1
180
7
28
7
96
4
6,693
2
7,881
전북
15
4
100
8
117
12
4
4
13,096
2
20,936
전남
23
6
77
14
14
12
78
9
5,121
4
9,066
경북
24
3
187
9
200
15
161
5
22,377
5
4,178
경남
21
4
160
15
11
8
69
9
10,705
3
13,629
제주
5
-
28
3
3
1
8
4
1,347
-
1,925
계
250
25(10%)
3,471
89(35%)
1,219
97(38%)
2,014
48(19%)
377,789
23(9%)
193,202
*데이터의 신뢰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부분은 포함시키지 않음.
*센터는 미실시 센터를 표기한 것임
○자원봉사자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센터는 전체의 10%인 25개소가 이에 해당된다. 자료의 취합이 100%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었다는 개연성이 있더라도, 교육활동이 자원봉사센터의 주요 역할인 점을 고려할 때 수치가 높은 편이다. 특히, 완전직영센터 중에서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곳이 많은 편이다.
○기본교육, 재교육, 업무(기술교육) 전체로 볼 때 자원봉사자 교육은 1센터 당 평균 19회, 3주에 1회 정도 교육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적측면에서는 자원봉사자 교육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일부 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자원봉사자에 대한 기술(상담, 미용, 마술 등)교육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기술교육을 받고 싶은 자원봉사자의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기술교육을 자원봉사센터가 할 것인가에 대한 내부 이견이 존재하고 있는 만큼 그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당분간은 지역실정에 맞게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받은 자원봉사자(57만명)는 등록(200만명)대비 29%에 해당된다. 교육대상자의 중복을 고려하면 등록된 자원봉사자의 상당수가 교육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여 진다. 특히, 기존 등록자원봉사자에 대한 교육실시율은 10%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교육현황에 비추어 볼 때 몇 가지 추론이 가능하다. 우선, 자원봉사자를 정기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인프라(교육장 시설)의 부족이며, 두 번째는 등록자원봉사자에 대한 관리시스템의 문제, 세 번째는 등록 자원봉사자의 실제 활동력의 문제일 것이다.
○전체적으로 자원봉사 교육은 두 가지 문제로 집중된다. 하나는 교육 강사 인적자원의 부족현상이다. 두 번째는 교육프로그램(커리큘럼)이 표준화되지 않은 것이다. 재탕 삼탕되는 교육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발, 표준교재 개발, 강사양성을 위한 특단의 대책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자원봉사 관리자 교육 현황 및 과제
구분
실시
센터
교육주관(회수)
교육대상
교육내용
지역
센터수
광
역
기
초
광역
기초
외부
합
동
관리자
지도자
협력기관
기타
센터
운영
관리
실무
전
문
기
술
프로그램
강
사
양
성
이론
일반
네
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