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문화와 인간행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문화와 인간행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는 체면은 구체적인 의미인 한국인의 의식구조 특성이나 사회적 성격의 하나로 ‘지위를 의식해서 지위에 상응하는 외적행동양식을 나타내 보임으로서 자신의 존재를 보장받는 것’ 또는 ‘상황과 관계에 따라 자기 또는 사실과 다르게 행동함으로써 자신이나 상대의 지위나 외적명분을 높여주는 행동의 과정 또는 현상’을 지칭함.
④ 눈치
*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주변사람의 눈치를 보는 경향은 한국사회와 한국인의 특징
* 한국인에게 눈치는 행위자의 의례적인 행동 뒤에 숨은 진정한 의도를 파악하는 대인적 자질의 중요한 한 요소이며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이나 행동의 함축적 의미를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상대방에 맞게 해석하고 받아들여 왜곡의 소지가 있는 언어의 매개 없이도 서로의 의미를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의사소통의 핵심을 이루는 방법.
⑤ 가족주의 의식
* 가족주의란 일체의 가치가 가족집단의 유지, 지속, 기능과 관련을 맺어 결정되는 가족집단의 단결과 영속화, 그리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려는 가족구성원들의 꾸준한 집단적인 노력을 말함.
* 가족주의는 근대와 현대에 들어서면서 물질적 생활의 측면은 산업사회의 영향으로 서구화에 접근하면서도 가족주의 가치는 우리의 고유한 가치로 인정되고 일상생활에서 특히 가정교육의 측면에서 수용하도록 강조되고 있음.
⑥ 연고주의
* 한국사회와 한국인은 혈연, 지연, 학연 등의 인간관계상의 사적 유대를 중시함.
* 한국사회의 개인간의 관계, 조직화원리, 조직의 운영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고주의를 구조적인 차원에서까지 확대하여 해석하는 경향이 있음.
⑦ 동류의식
* 한국인은 ‘나’보다 ‘우리’라는 말을 즐겨 씀.
* 한국인은 ‘우리’라는 말에서 ‘나’라는 말에서 따스함을 느낌.
* 한국인이 다란 사람과 관계를 맺는 방식의 한 특징이 잘 나타나 있음. 다른 사람과 관계 맺을 때 나보다는 우리를 앞세움.
7. 문화와 사회복지 실천
- 문화가 개인의 행동과 삶 속에 내제되어 있으므로 내담자와 그를 둘러싼 사회체계의 문화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적절한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 제시하기 어려움. 때문에 사회복지실천은 문화적으로 민감한 실천이 이루어져야 함.
- 사회복지는 인간을 그 대상으로 하는 실천적 학문으로서 인간발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뿐 아니라 그 사회와 문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사회적 성격을 아는 것도 매우 중요함. 인간은 사회를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사회적인 동물임과 동시에 그 사회가 어떠한 특성과 문화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개인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
-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문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문화에 대해서도 수용적 태도를 취할수 있어야 한다. 그럴 때만이 사회복지사 자신만의 문화를 고집하지 않고, 내담자의 문화적 특성을 내담자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음.
※ 참고자료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김동배 권중돈, 2005) 학지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신종우 윤경원 이우언, 2008)동문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이인정, 최해경 2007)나남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