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의 구조적 이론 및 전반적 발달장애에 대한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이드의 구조적 이론 및 전반적 발달장애에 대한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① 프로이드의 구조적이론(이드/자아/초자아)의 개념을 서술하고, 이드/자아/초자아의 각각의 특성을 상세히 기술하시오.

② 전반적 발달장애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용, 여러 가지 가상적 놀이의 결여)
(3)운동성 상동증이나 매너리즘을 포함하는, 제한적이고 반복적이고 상동증적인 행동, 관심, 활동
D.장해가 다른 특정 광범위성 발달장애나 정신분열증으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4. 아스퍼거 장애
A.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질적인 장해가 다음 가운데 적어도 2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1)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눈 마주치기, 얼굴 표정, 몸자세, 몸짓과 같은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 현저한 장해 (2)발달 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의 실패
(3)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 관심, 성공을 나누고자 하는 자발적 욕구의 결여(예: 다른 사람에게 관심이 있는 사물을 보여주기, 가져오기, 지적하기의 결여)
(4)사회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받는 상호 교류의 결여(예: 단순한 사회적 놀이나 게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혼자 놀기를 좋아하며, 단순한 도구나 기계적인 수단으로 다른 사람을 놀이에 참여시킨다).
B.제한적이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이나 관심, 활동이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1)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한가지 이상의 상동증적이고 제한적인 관심에 집착(예: 기상 또는 야구 통계)
(2)특이하고 비효율적인 틀에 박힌 일이나 의식에 고집스럽게 매달림(예: 사소한 환경 변화에 심하게 놀라는 파국 반응, 매일 학교에 갈 때에 어김없이 똑같은 길을 간다)
(3)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성 매너리즘(예: 손이나 손가락으로 딱딱 때리기나 틀기, 또는 복잡한 몸전체 움직임, 몸 흔들기, 몸기울이기, 발끝으로 걷거나 기이한 손동작과 기이한 몸 자세)
(4)대상의 부분에 지속적으로 몰두(예: 단추, 신체 부분, 움직임에 매료, 생명이 없는 대상; 끈, 고무밴드에 애착)
C.장해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장해를 일으킨다.
D.임상적으로 심각한 전반적인 언어 발달의 지연은 없다(예: 단음절 단어를 2세에 사용하고, 의사 소통을 위한 구를 3세에 사용한다).
E.소아기에 인지 발달이나 나이에 맞는 자기-보호 기술 및 적응 행동의 발달(사회적 상호작용 이외의), 환경에 대한 호기심의 발달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지연은 없다.
F.다른 특정 광범위성 발달 장애나 정신분열증의 진단 기준에는 맞지 않는다.
5.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 (비전형적 자폐증 포함)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icified (PDD NOS)
사회적인 상호작용이나 대화 기술의 심각하고 광범위한 장해가 있거나, 상동증적 행동, 관심과 활동이 있지만 특정한 전반적 발달장애, 정신분열증, 정신분열형 혹은 회피적 인격장애의 진단 근거에는 맞지 않는 경우이다. 발병 연령이 늦은 경우, 비전형적인 증상, 충분한 진단 준거에는 도달하지 못하는 정도의 증상을 보이는 비전형적인 자폐증(atypical autism)이 여기에 해당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1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