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현대사회에서 기독교가 미치는 영향
Ⅲ. 결론
참고문헌
Ⅱ. 현대사회에서 기독교가 미치는 영향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목회자의 의식의 변화 뿐 아니라 교회 차원의 실천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과거가 없는 현재는 있을 수 없고, 또 미래가 없는 현재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 또한 그 어떤 형태로 지금까지 교회 사회봉사가 진행되어 왔든지 간에 그것은 우리의 역사요, 우리의 체험이요, 우리의 지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실전적이고 토착적인 터전위에서 우리는 새로운 교회 사회봉사의 모습을 만들어 나가야 하는 것이다. 종의 모습으로, 섬김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사회를 향해 현재의 노력과 열심을 품고 사회봉사를 실천하는 교회들이 있는 한 우리나라 교회사회봉사의 미래는 극히 밝은 미래를 갖고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 우리의 교회는 모든 성도들을 향한 끊임없는 교육으로 그들 모두에게 그리스도의 종의 모습, 섬김의 실천을 가르치며, 그들의 능력을 키워주고, 그들을 세상의 일터로 보내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바라기는 하나님의 선한 피조물로서 모두가 함께 평등하게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일에 교회가 지금보다 더 앞장서야 하겠으며, 그럼으로 다가올 미래사회에는 지금보다 더 평등하고 아름다운 사회가 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기원, 「교회의 사회적 기능」, 서울: 예안, 1995.
김명자, 「현대사회와 과학」, 동아출판사, 1992.
김세윤, 「기독교는 사회에 무엇을 줄 수 있는가?」, 서울: 대장간, 1990.
김용복,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기독교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방법: 기독교 사회봉사 목회자훈련교재”,
서울: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사회부, 한일신학교, 1992.
참고문헌
김기원, 「교회의 사회적 기능」, 서울: 예안, 1995.
김명자, 「현대사회와 과학」, 동아출판사, 1992.
김세윤, 「기독교는 사회에 무엇을 줄 수 있는가?」, 서울: 대장간, 1990.
김용복,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기독교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방법: 기독교 사회봉사 목회자훈련교재”,
서울: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사회부, 한일신학교, 199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