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아동학대의 심리적 후유증
Ⅲ. 아동학대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Ⅳ. 아동학대와 뇌 발달
Ⅴ. 시설보호아동의 후유증
Ⅵ. 학대아동과 새로운 환경
Ⅶ. 결 론
Ⅱ. 아동학대의 심리적 후유증
Ⅲ. 아동학대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Ⅳ. 아동학대와 뇌 발달
Ⅴ. 시설보호아동의 후유증
Ⅵ. 학대아동과 새로운 환경
Ⅶ. 결 론
본문내용
되는데, 학대아동을 돌보아주는 기관의 보호자나 학교 선생님은 이러한 아동의 행동에 대해서 역시 불쾌한 생각을 갖게 된다. 그동안 보아왔던 아동들에 비해서 학대 아동은 더 시끄럽고 주위의 친구들에게 동조하지 않기 때문에 선생님들은 아동에게 좀 더 엄격한 훈육으로 반응하게 되는 것이다. 항상 위협적인 환경에서 적응해왔던 학대 아동들은 과도한 경계심과 과도한 감정 표현을 일반적으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응에 대해서 주위의 어른이 과도하게 엄격한 훈육으로 반응함으로서 학대 아동은 세계가 이렇게 ‘항상 위협적’이라고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학대 아동과 주위 환경과의 부정적인 강화를 유발하는 연결고리가 형성되기 때문에 아동학대의 후유증은 점점 더 강화되어 진다61).
한편 학대 아동들은 그들의 가해 부모에 대해서 양가적인 감정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그들이 학대부모로부터의 학대상황으로부터 보호받기를 원하지만 한편으로는 가해자들과 강한 감정적 유대관계에 놓여 있다. 학대부모들은 어떨 때는 학대 행위를 가하지만 또 어떤 때에는 아동에게 감정적인 지지와 관심을 보이기도 하므로 아동은 그들의 가해 부모에 대해서 충성심을 갖고 있으며 가족의 비밀에 대해서 치료자에게 함구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임상전문가는 학대력에 대해서 아동과의 꼼꼼하고 인내심 있는 면접을 필요로 하며 동시에 아동학대의 희생자들이 갖게 되는 죄책감과 자기비난에도 관심을 가져야한다5).
또한 학대하는 많은 부모들 자신이 어린 시절 학대받았던 과거력을 갖는 다는 사실에서 이들은 자신들의 잘못된 방법을 훈육의 방법으로 받아들이거나 혹은 잘못된 방법이지만 다른 적절한 대안을 찾지 못해 자기가 배운 방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경우가 있다12). 최근 Oliver 등은 학대아동의 1/3은 학대부모가 되고. 1/3은 그렇지 않으며, 나머지 1/3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아동학대의 세대 간 전이는 고위험요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며 치료적 개입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된다.
Ⅶ. 결 론
임상에서 진료하는 의사는 일차적으로 아동학대의 결과만을 관찰하게 된다. 이러한 의학적 혹은 화학물질의 불안정 소견만으로는 임상의사가 아동 학대와의 개연성을 추측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적합하고 의사의 지속적인 의학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아동의 문제행동이 지속되거나, 환경에 대한 비정상적인 아동의 반응이 지속될 때, 치료자는 이러한 아동의 비정상적인 적응 반응이 보호자로부터 제공되었던 과거의 비정상적인 환경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동학대는 일차적인 신체적 후유증뿐만 아니라 이차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적, 혹은 행동적 후유증을 초래 할 수 있다. 일차적으로 눈에 보이는 신체적인 후유증 보다 정신적, 행동적 후유증이 아동의 발달에 보다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임상 전문가는 간과해서는 안된다5).
아동 학대는 아동 발달의 시기에서 매우 초기에 일어나게 되는데 이 시기는 뇌 발달에 있어서 결정적인 시기이므로 더욱 더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된다. 신경세포의 생성, 시냅스의 과도형성 및 가지치기, 수초화 등의 시기에 유해 환경의 자극은 이후 발달에서 되돌리기 어려울 만큼의 신경생리적인 변화를 초래한다. 또한 지속적인 학대환경은 뇌의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변연계의 해마, 편도 등이 아동학대로 인하여 변화되어지는 대표적인 뇌구조물이며 뇌량 및 소뇌 충수와 대뇌 피질의 변화도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임상적으로 내원하는 아동에서 학대력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과적 후유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또한 학대 환경때문에 신경·생리적으로 변화된 아동의 행동반응에 대해서 새로운 수양부모가 가질 수 있는 잘못된 오해에 대해서 설명함으로서 학대아동에 대해서 올바른 이해 및 접근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Psychiatric Consequences of Child Abuse
Myung Ho Lim, M.D.1)†, Hyun Woo Kim, M.D.1)
1)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Childhood abuse is a relatively common adverse experience associated with psychiatric consequences and behavioral dysfunction. Health care professionals who provide care for maltreated children must consider the consequences of previous abuse for the child’'s ongoing development and adaptation when faced with a variety of long-term behavior problems. Early stress also affects important developmental processes, including neurogenesis, synaptic overproduction and pruning during specific sensitive periods. A number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neurobiological consequences of early stressful experience have been identified and include reduced corpus callosum size, attenuated development of the cortex, hippocampus, amygdala, limbic structures, and cerebellar vermis.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childhood maltreatment reviewing published research.
KEY WORDS : Child abuse, Psychiatric Consequences
한편 학대 아동들은 그들의 가해 부모에 대해서 양가적인 감정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그들이 학대부모로부터의 학대상황으로부터 보호받기를 원하지만 한편으로는 가해자들과 강한 감정적 유대관계에 놓여 있다. 학대부모들은 어떨 때는 학대 행위를 가하지만 또 어떤 때에는 아동에게 감정적인 지지와 관심을 보이기도 하므로 아동은 그들의 가해 부모에 대해서 충성심을 갖고 있으며 가족의 비밀에 대해서 치료자에게 함구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임상전문가는 학대력에 대해서 아동과의 꼼꼼하고 인내심 있는 면접을 필요로 하며 동시에 아동학대의 희생자들이 갖게 되는 죄책감과 자기비난에도 관심을 가져야한다5).
또한 학대하는 많은 부모들 자신이 어린 시절 학대받았던 과거력을 갖는 다는 사실에서 이들은 자신들의 잘못된 방법을 훈육의 방법으로 받아들이거나 혹은 잘못된 방법이지만 다른 적절한 대안을 찾지 못해 자기가 배운 방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경우가 있다12). 최근 Oliver 등은 학대아동의 1/3은 학대부모가 되고. 1/3은 그렇지 않으며, 나머지 1/3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아동학대의 세대 간 전이는 고위험요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며 치료적 개입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된다.
Ⅶ. 결 론
임상에서 진료하는 의사는 일차적으로 아동학대의 결과만을 관찰하게 된다. 이러한 의학적 혹은 화학물질의 불안정 소견만으로는 임상의사가 아동 학대와의 개연성을 추측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적합하고 의사의 지속적인 의학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아동의 문제행동이 지속되거나, 환경에 대한 비정상적인 아동의 반응이 지속될 때, 치료자는 이러한 아동의 비정상적인 적응 반응이 보호자로부터 제공되었던 과거의 비정상적인 환경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동학대는 일차적인 신체적 후유증뿐만 아니라 이차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적, 혹은 행동적 후유증을 초래 할 수 있다. 일차적으로 눈에 보이는 신체적인 후유증 보다 정신적, 행동적 후유증이 아동의 발달에 보다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임상 전문가는 간과해서는 안된다5).
아동 학대는 아동 발달의 시기에서 매우 초기에 일어나게 되는데 이 시기는 뇌 발달에 있어서 결정적인 시기이므로 더욱 더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된다. 신경세포의 생성, 시냅스의 과도형성 및 가지치기, 수초화 등의 시기에 유해 환경의 자극은 이후 발달에서 되돌리기 어려울 만큼의 신경생리적인 변화를 초래한다. 또한 지속적인 학대환경은 뇌의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변연계의 해마, 편도 등이 아동학대로 인하여 변화되어지는 대표적인 뇌구조물이며 뇌량 및 소뇌 충수와 대뇌 피질의 변화도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임상적으로 내원하는 아동에서 학대력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과적 후유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또한 학대 환경때문에 신경·생리적으로 변화된 아동의 행동반응에 대해서 새로운 수양부모가 가질 수 있는 잘못된 오해에 대해서 설명함으로서 학대아동에 대해서 올바른 이해 및 접근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Psychiatric Consequences of Child Abuse
Myung Ho Lim, M.D.1)†, Hyun Woo Kim, M.D.1)
1)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Childhood abuse is a relatively common adverse experience associated with psychiatric consequences and behavioral dysfunction. Health care professionals who provide care for maltreated children must consider the consequences of previous abuse for the child’'s ongoing development and adaptation when faced with a variety of long-term behavior problems. Early stress also affects important developmental processes, including neurogenesis, synaptic overproduction and pruning during specific sensitive periods. A number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neurobiological consequences of early stressful experience have been identified and include reduced corpus callosum size, attenuated development of the cortex, hippocampus, amygdala, limbic structures, and cerebellar vermis.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childhood maltreatment reviewing published research.
KEY WORDS : Child abuse, Psychiatric Consequences
추천자료
[비만][운동][다이어트]비만의 정의, 비만의 원인, 비만의 위험인자와 위험도, 비만의 진단 ...
전략평가시스템의 개념과 균형된 성과기록표(BSC), 전략측정지표와 진단측정지표
[A+평가 레포트]ADHD의 개념, 원인, 진단, 치료
족저 근막염 재활 운동 가이드 - 족저 근막염의 이해와 운동 방법 (족저 근막염 정의, 족저 ...
계획설계의 예시 - 대안의 작성과 비교, 등위대안법 (문제진단, 목표설정, 대안설정, 대안 비...
계획설계의 예시 - 대안의 작성과 비교, 등위대안법 (문제진단, 목표설정, 대안설정, 대안 비...
의료사회복지론의 실천과정 (초기 접촉단계, 문제파악 및 진단의 단계, 치료 및 변화의 단계,...
★★평가우수자료★★[인터넷 중독 원인과 치료] 인터넷 중독 실태, 인터넷 중독 유형, 인터넷 중...
★★평가우수자료★★[운동중독 해결방안] 운동중독 개념, 운동중독 자가진단,운동중독 원인, 운...
[반응성애착장애] 반응성 애착장애의 특징(특성)과 진단준거(진단방법), 반응성애착장애의 검...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간호과정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가족사정 시 프리드만의 사정도구사용 가족진단 시: ICNP분류틀 적용 가족계획, 중재 및 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