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희소성, 기회비용, 효율성, 공평성, 경제적 유인, 외부효과, 수요량 결정요인, 공급량결정요인, 수요의 가격탄력성, 소득탄력성, 탄력성 변화와 총수입의 관계, 가격상한제, 가격하한제, 조세의 전가, 정부개입이 실패하는 이유, 한계효용, 대체효과, 소득효과

본문내용

대한 완벽한 통제가 불가능하다. 관료들은 자신들의 위신이나 권력을 극대화하려 하기 때문에.
7. 정치 과정에서의 문제. 대의민주주의이므로 국민의 의사가 바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계효용
한계효용(marginal utility,限界效用)은 재화나 용역이 증가 혹은 감소 함에 따라 주관적으로 매겨지는 경제적 효용(혹은 가치)의 관계에 대한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합리적인 경제에서 인간 행동은 자신에게 가장 시급한 욕구를 충족하는 일을 가장 먼저 하거나 가치를 두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어떤 사람이 재화나 용역을 이용하여 효용을 얻고자 할 때 주관적으로 판단되는 욕망충족의 정도인 효용의 가치가 높은 것부터 낮은 것 쪽으로 추구한다. 재화나 용역의 한계효용은 그 재화나 용역을 사용하는 것을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변화한 가치의 양을 상정한 것인데 이런 변화에서 추가의 1단위 즉 경계인 단위에서의 재화나 용역의 효용을 한계효용이라고 한다. 이후 경제학자들은 이를 가격이 결정되는 것을 설명하는 법칙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대체효과
대체재(代替財)의 상대가격이 변할 때, 재화의 구매량 변화 또는 소비자수요균형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 재화의 가격하락으로 구매량이 변하는 것을 가격효과(價格效果)라고 하는데, 이는 소득효과(所得效果)와 대체효과에 의한 결과이다. 소득효과는 재화의 가격하락이 소비자의 실질소득을 높여 소득이 증가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에 비해 대체효과는 실질소득의 변화와는 관계없이 어느 한 재화의 가격하락으로 상대재화의 수요가 감소하여 가격이 하락한 재화로 대체되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대체재인 쌀(X재)과 빵(Y재)의 소비자수요의 균형점이 P라고 가정하자.
만약 X재의 가격이 하락한다면 쌀의 수요는 증가하고 빵의 수요는 감소하게 될 것이다.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동일한 만족상태로 소비자수요의 균형점이 P에서 P1으로 이동하여 Y재의 AB가 X재의 CD로 대체된다. 즉 가격이 하락한 X재의 구매량을 OC에서 OD로 늘리고, 상대적으로 Y재의 구매량을 OA에서 OB로 줄이면 소비자는 종전과 다름없는 동일한 만족을 얻으면서 Y재의 일정량을 X재의 일정량으로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소득효과
어떤 상품가격이 하락할 때 그 상품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은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가격의 하락이 소비자의 실질소득을 증가시켜 그 상품의 구매력이 늘게 된다. 이는 소득이 증가해 수요가 증가하는 효과와 동일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버터와 마가린과 같은 동일한 용도의 물건이 있을 때 버터값이 내리면 그때까지 마가린을 사던 사람이 버터를 사게 된다. 이것은 실질소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대가격변화에 의한 효과이다. 전자를 소득효과, 후자를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라고 한다. 영국의 경제학자 힉스에 의해 주장되었고 주로 소득분배이론에 응용된다. 이밖에 국제무역 분석에서 가격이 불변인 경우 소득이 증가하면 수입이 증가하는 관계가 있는데, 이것을 소득효과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키워드

수요,   공급,   소득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