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종교의 본질
2. 종교의 목적
3. 종교의 문제점
3. 종교로부터 야기되는 형이상학적 문제들
Ⅲ. 결론
Ⅱ. 본론
1. 종교의 본질
2. 종교의 목적
3. 종교의 문제점
3. 종교로부터 야기되는 형이상학적 문제들
Ⅲ. 결론
본문내용
서는 골똘한 신자가 아니고서는 그러한 사후의 세계를 믿는 사람을 볼 수 없게 되었다. 믿는 것은 자유이니까 그것에 대하여 贊否를 가릴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知性이 발달되어 理致로 보아 도저히 믿을 수 없는 사람이 믿지 않으면서 믿는 척하는 二重生活을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러므로 사후의 세계의 문제도 현실 세계에 연결시켜 생각하여야 될 줄로 생각한다. 사후의 세계를 문자 그대로 죽은 후에 가는 세계로 해석하지 말고 來世, 즉 미래의 세계로 해석하여 앞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이상 세계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 세계는 우리가 이상하는 세계로 완전하고 행복한 세계일 것은 물론이다. 우리는 그러한 세계를 실현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세워 실천에 옮기어 그 세계에 도달되도록 노력한다면 언젠가는 실현되리라 믿는다.
세 번째의 문제로 죽음의 문제이다. 그것은 죽음을 自然現象이라고 보고 生殖의 현상으로써 영생의 문제를 대치시킬 수 있다고 보면 그만일 것이다. 만일 그것으로서 만족할 수 없다면 과학의 발전을 기다려 늙고 병드는 것을 막거나 죽음의 원인을 규명하여 죽지 아니하는 방법을 발견하는 일밖에 별 도리가 없을 것이다. 생명의 연장은 누구나 요구하는 것으로, 과학의 최고의 목표의 하나도 그것이므로 과학의 조속한 발달만이 죽음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외의 방법은 체념이나 신앙에 의한 위안의 길밖에 없을 것이다.
네 번째로 종교에 있어서의 독단성, 비과학성, 신비성 등의 문제이다. 이러한 것은 종교의 발전에 오히려 장애가 되는 것이므로 시정하여 나가야 할 줄로 생각한다. 우매하고 무식한 사람들을 종교로 인도하는데는 이러한 성질이 도움이 될른지는 모르나 오늘날과 같이 문화가 향상되고 문명이 발달된 시대에 있어서는 이러한 성질은 종교의 참뜻을 선포하는 데 큰 해가 될 것이다. 그것은 ① 종교의 한 목적인 개인의 완성된 인격을 실현시키는데 장해가 될 것이며, ② 종교의 다른 목적인 완전한 사회 생활을 실현시키는 데 또한 장해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종교의 배타성 문제인데 이것은 과거에 있어서 많은 전쟁과 분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었다. 오늘에 있어서도 각 종교 간의 투쟁과 종파 간의 분쟁이 이로 인하여 그칠 사이가 없다. 이것은 민주주의 정신과 종교의 자유 정신에 배치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3. 종교로부터 야기되는 형이상학적 문제들
가. 신성의 종교적 개념
모든 종교는 믿음을 지니고 있으며, 이 믿음 안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신성의 개념이다. 이 개념은 여러 종교에 따라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대부분의 경우 신성 개념의 본질적 구성 요서는 그 개념의 최고의 긍정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최고의 힘, 지혜, 정의, 미 등이 보통 신성 개념과 관계되는 특징들이다.
Ⅲ. 결론
종교는 완전한 이상 사회를 실현시키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종교만이 세상에 있어야 한다는 것은 독선적이라고 생각한다. 좋은 목적과 내용을 가진 종교라면 모두 보호하고 육성시켜 사회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후의 세계의 문제도 현실 세계에 연결시켜 생각하여야 될 줄로 생각한다. 사후의 세계를 문자 그대로 죽은 후에 가는 세계로 해석하지 말고 來世, 즉 미래의 세계로 해석하여 앞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이상 세계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 세계는 우리가 이상하는 세계로 완전하고 행복한 세계일 것은 물론이다. 우리는 그러한 세계를 실현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세워 실천에 옮기어 그 세계에 도달되도록 노력한다면 언젠가는 실현되리라 믿는다.
세 번째의 문제로 죽음의 문제이다. 그것은 죽음을 自然現象이라고 보고 生殖의 현상으로써 영생의 문제를 대치시킬 수 있다고 보면 그만일 것이다. 만일 그것으로서 만족할 수 없다면 과학의 발전을 기다려 늙고 병드는 것을 막거나 죽음의 원인을 규명하여 죽지 아니하는 방법을 발견하는 일밖에 별 도리가 없을 것이다. 생명의 연장은 누구나 요구하는 것으로, 과학의 최고의 목표의 하나도 그것이므로 과학의 조속한 발달만이 죽음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외의 방법은 체념이나 신앙에 의한 위안의 길밖에 없을 것이다.
네 번째로 종교에 있어서의 독단성, 비과학성, 신비성 등의 문제이다. 이러한 것은 종교의 발전에 오히려 장애가 되는 것이므로 시정하여 나가야 할 줄로 생각한다. 우매하고 무식한 사람들을 종교로 인도하는데는 이러한 성질이 도움이 될른지는 모르나 오늘날과 같이 문화가 향상되고 문명이 발달된 시대에 있어서는 이러한 성질은 종교의 참뜻을 선포하는 데 큰 해가 될 것이다. 그것은 ① 종교의 한 목적인 개인의 완성된 인격을 실현시키는데 장해가 될 것이며, ② 종교의 다른 목적인 완전한 사회 생활을 실현시키는 데 또한 장해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종교의 배타성 문제인데 이것은 과거에 있어서 많은 전쟁과 분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었다. 오늘에 있어서도 각 종교 간의 투쟁과 종파 간의 분쟁이 이로 인하여 그칠 사이가 없다. 이것은 민주주의 정신과 종교의 자유 정신에 배치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3. 종교로부터 야기되는 형이상학적 문제들
가. 신성의 종교적 개념
모든 종교는 믿음을 지니고 있으며, 이 믿음 안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신성의 개념이다. 이 개념은 여러 종교에 따라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대부분의 경우 신성 개념의 본질적 구성 요서는 그 개념의 최고의 긍정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최고의 힘, 지혜, 정의, 미 등이 보통 신성 개념과 관계되는 특징들이다.
Ⅲ. 결론
종교는 완전한 이상 사회를 실현시키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종교만이 세상에 있어야 한다는 것은 독선적이라고 생각한다. 좋은 목적과 내용을 가진 종교라면 모두 보호하고 육성시켜 사회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북한난민의 실태 및 보호방안
[노인문제 레포트]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성매매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대안제시(A+레포트)
[노동과사회] 한국사회의 비정규직 현상과 해결방안
저출산과 고령화
한국정치로 본 지역주의
장애인 이동권
(A+ 레포트) 한국사회의 노인 학대 문제와 해결방안
[★★고령화문제 해결방안★★] 한국사회 고령화 문제의 심각성과 원인 및 고령화 문제 해결방안
먹거리의 결핍 문제와 과잉 현상을 분석하고, 한국사회의 먹거리 문제해결방안에 대한 논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복지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 이민자 ...
2015 저출산 보고서-레포트,저출산의 정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