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의 수축원리와 근수축의 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육의 수축원리와 근수축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식③
그런데 이는 Hill의 방정식에서 , 로 놓았을 때와 유사한 식이다. 마찬가지로 한 결합에 가해지는 힘이 가장 적을때, 즉 f = 0인 경우 근육은 최대로 수축하게 되는데
이 식을 보면 근육에서의 최대 수축속도가 마찰계수와 최대장력으로 표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Hill의 방정식이 마찰이 있는 단백질 띠의 움직임, 즉 소성흐름을 묘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근육과 일
근육의 장력에 의해 물체를 움직이게 하였을 때 근육은 일을 했다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수축하는 동안 마찰력이 발생하며 열도 발생한다. 즉, 근육에 걸리는 부하가 커서 더 큰 장력을 발휘해야 하는 경우에 그만큼 열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25%정도가 일에 사용되고 나머지 75%는 열로 전환[8] 되어 온도유지 등에 이용이 된다.
참고문헌
↑ Steven Vogel 원저,한국동물학회 옮김, 《힘의원천,근육의 과학과 문화》,전파과학사, 2008, 51쪽
↑ Steven Vogel 원저,한국동물학회 옮김, 《힘의원천,근육의 과학과 문화》, 전파과학사, 2008, 54쪽
↑ Steven Vogel 원저,한국동물학회 옮김, 《힘의원천,근육의 과학과 문화》,전파과학사,2008,56쪽
↑ L. Sherwood, H.Klandorf, H.Yancey 원저,《동물생리학》,라이프사이언스,2007,331쪽
↑ Edington, D. W. , Edgerton, V. R. 원저,《운동생리학》, 서울 : 금광,1993,43쪽
↑ L. Sherwood, H.Klandorf, H.Yancey 원저,《동물생리학》,라이프사이언스,2007,349~350쪽
↑ 가 나 Edington, D. W. , Edgerton, V. R. 원저,《운동생리학》, 서울 : 금광,1993,82쪽
↑ 가 나 L. Sherwood, H.Klandorf, H.Yancey 원저,《동물생리학》,라이프사이언스,2007,350쪽
↑ Fenn, W. O. and Marsh, B. S.Muscular force at different speeds of shortening. J.Psysiol. Lond. 85: 277-297,1935
↑ Hill, A. V. The heat of shortening and dynamic constants of muscle.Proc.Roy. Soc. B. 126: 136-195,1938
↑ M.V. Volkenstein, 홍영남, 강주상 옮김 《생물물리학》,을유문화사,1993,85쪽
↑ M.V. Volkenstein, 홍영남, 강주상 옮김 《생물물리학》,을유문화사,1993,86쪽
D.A. Winter 원저,《운동생체역학》,건국대학교 출판부,1992.
참고 사이트
The Myosin Homepage
Animation: Myofilament Contraction
원본 주소 ‘http://ko.wikipedia.org/wiki/%EA%B7%BC%EC%88%98%EC%B6%95’
분류: 운동생리학 | 근육역학 | 근육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9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