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관절
Ⅲ.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사두근
Ⅳ.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경부골절
1. 손상기전
2. 분류
3. 증상 및 이학적 소견
4. 방사선 검사
Ⅴ.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전자하골절
1. 정의
2. 원인
3. 이유
4. 증상 및 이학적 소견
Ⅵ.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직근의 신장
참고문헌
Ⅱ.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관절
Ⅲ.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사두근
Ⅳ.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경부골절
1. 손상기전
2. 분류
3. 증상 및 이학적 소견
4. 방사선 검사
Ⅴ.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전자하골절
1. 정의
2. 원인
3. 이유
4. 증상 및 이학적 소견
Ⅵ.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직근의 신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
각 있는 긴 금속정 - 금속판 기구가 이러한 손상을 치료하는데 쓰였는데, 다른 내고정물보다 파손되기 쉽다. 내고정물은 내측 분쇄영역의 반대방향으로 잘 부러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긴 금속정 - 금속판 기구를 이 골절을 안정화시키는데 사용할 때에는 골회복을 증가시키고 주기적인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측 분쇄영역이나 결손부위체 골이식을 하도록 항상 고려해야 한다.
금속정 - 금속판 기구를 사용하는 문제 때문에 다른 골수강 내 기구가 대퇴의 전자하 골절을 치료하기 위해 특별히 발달하게 되었다.
지켈(Zickel) 정은 가장 일찍, 또 가장 성공적인 기구중의 하나이다.
지켈정이 골수강 내에 위치해 대퇴 골두와 경부를 강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에 이 정의 사용 후 부정유합이나 불유합의 빈도가 감소되어왔다. 하지만 지켁정이 사용된다 하더라도 전자하 내측부위에 상당한 분돼가 있을 때는 골이식을 고려해야 한다.
현저한 분쇄나 파열된 상당량의 골절이 있는 젊은 환자에서는 견인이 사용될 수 있다. 사지는 8주정도 견인을 유지해야 한다. 그 후 환자는 마지막 골절강화가 일어날 때까지 1과 11/2고관절 수상석고를 해야 한다.
수술 후 치료는 고정물의 질, 골의 질, 골절 정복의 안정성에 따라 좌우된다. 좋은 골질량, 최소한의 분쇄, 좋은 골절 안정성을 가진 환자는 침상에서 의자로 일찍 이동하게 하며 그 후 지탱해주는 지팡이를 사용해 걸을 수 있게 한다. 골수강 내 기구를 사용해 치료받은 환자에서는 이것이 골절부위를 가로질러 하중을 분포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손상된 하지에의 체중부하도 금속정 - 금속판 기구를 이용해 치료했을 때보다 빠르게 진행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정 - 금속판기구를 이용해 치료한 환자에게는 대퇴의 내측 피질을 따라 치유된 징후가 있을 때까지 오직 밸런스를 위해 손상된 사지에 체중부하를 허용하였다. 골다공증이 있는 나이든 환자에서는 침상에서 의자로의 이동을 서서히 해야 하며 골절된 사지에 체중부하를 하는 것 또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적당한 골절 치유를 보여줄 때 허용되어야 한다.
Ⅵ.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직근의 신장
a. 환자의 자세 : 치료대의 끝에 무릎관절이 굴곡된 상태로 바로누운자세(supine position)
b. 손의 위치 : 한 손은 환자의 허벅지에 두고, 다른 손은 환자의 정강이나 발목을 잡는다.
c. 동작 : 환자의 고관절이 신전되고 무릎관절이 굴곡되도록 아래 방향으로 누른다.
참고문헌
김정희(2011), 슬관절 전치환술 후 대퇴사두근근고정 운동의 효과, 부산가톨릭대학교
김지완 외 4명(2010), 대퇴 전자하 골절의 임상적 결과, 대한고관절학회
서문자 외 8명(2000), 성인간호학 하 (Ⅰ,Ⅱ), 수문사
송철 외 4명(2009), 대퇴 과 관절 연골 결손의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 대한정형외과학회
이한용(1994), 등장성 , 등척성 및 등속성 근수축 훈련에 의한 대퇴근력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윤형구 외 1명(2010), 대퇴 경부 골절, 대한고관절학회
각 있는 긴 금속정 - 금속판 기구가 이러한 손상을 치료하는데 쓰였는데, 다른 내고정물보다 파손되기 쉽다. 내고정물은 내측 분쇄영역의 반대방향으로 잘 부러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긴 금속정 - 금속판 기구를 이 골절을 안정화시키는데 사용할 때에는 골회복을 증가시키고 주기적인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측 분쇄영역이나 결손부위체 골이식을 하도록 항상 고려해야 한다.
금속정 - 금속판 기구를 사용하는 문제 때문에 다른 골수강 내 기구가 대퇴의 전자하 골절을 치료하기 위해 특별히 발달하게 되었다.
지켈(Zickel) 정은 가장 일찍, 또 가장 성공적인 기구중의 하나이다.
지켈정이 골수강 내에 위치해 대퇴 골두와 경부를 강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에 이 정의 사용 후 부정유합이나 불유합의 빈도가 감소되어왔다. 하지만 지켁정이 사용된다 하더라도 전자하 내측부위에 상당한 분돼가 있을 때는 골이식을 고려해야 한다.
현저한 분쇄나 파열된 상당량의 골절이 있는 젊은 환자에서는 견인이 사용될 수 있다. 사지는 8주정도 견인을 유지해야 한다. 그 후 환자는 마지막 골절강화가 일어날 때까지 1과 11/2고관절 수상석고를 해야 한다.
수술 후 치료는 고정물의 질, 골의 질, 골절 정복의 안정성에 따라 좌우된다. 좋은 골질량, 최소한의 분쇄, 좋은 골절 안정성을 가진 환자는 침상에서 의자로 일찍 이동하게 하며 그 후 지탱해주는 지팡이를 사용해 걸을 수 있게 한다. 골수강 내 기구를 사용해 치료받은 환자에서는 이것이 골절부위를 가로질러 하중을 분포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손상된 하지에의 체중부하도 금속정 - 금속판 기구를 이용해 치료했을 때보다 빠르게 진행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정 - 금속판기구를 이용해 치료한 환자에게는 대퇴의 내측 피질을 따라 치유된 징후가 있을 때까지 오직 밸런스를 위해 손상된 사지에 체중부하를 허용하였다. 골다공증이 있는 나이든 환자에서는 침상에서 의자로의 이동을 서서히 해야 하며 골절된 사지에 체중부하를 하는 것 또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적당한 골절 치유를 보여줄 때 허용되어야 한다.
Ⅵ. 대퇴부(넓적다리)와 대퇴직근의 신장
a. 환자의 자세 : 치료대의 끝에 무릎관절이 굴곡된 상태로 바로누운자세(supine position)
b. 손의 위치 : 한 손은 환자의 허벅지에 두고, 다른 손은 환자의 정강이나 발목을 잡는다.
c. 동작 : 환자의 고관절이 신전되고 무릎관절이 굴곡되도록 아래 방향으로 누른다.
참고문헌
김정희(2011), 슬관절 전치환술 후 대퇴사두근근고정 운동의 효과, 부산가톨릭대학교
김지완 외 4명(2010), 대퇴 전자하 골절의 임상적 결과, 대한고관절학회
서문자 외 8명(2000), 성인간호학 하 (Ⅰ,Ⅱ), 수문사
송철 외 4명(2009), 대퇴 과 관절 연골 결손의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 대한정형외과학회
이한용(1994), 등장성 , 등척성 및 등속성 근수축 훈련에 의한 대퇴근력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윤형구 외 1명(2010), 대퇴 경부 골절, 대한고관절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