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 영아에게 수유함으로써 구강 성적만족을 충족시켜 애정의 대상이 된다
Erikson
-신뢰감 vs 불신감의 시기에 이루어지는 수유
욕구충족은 애착관계 형성, 나아가 세상 전반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줌.
영아의 욕구에 대한 반응이 더 중요하다.
-신뢰감 vs 불신감의 시기에 이루어지는 수유
욕구충족은 애착관계 형성, 나아가 세상 전반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 줌.
-영아의 욕구에 대한 반응이 더 중요하다.
(2) 학습이론
-애착행동은 학습경험의 축적
-수유는 애착발달의 중요한 요인이다.
: 배고픔 해결, 눈맞춤, 신체적 접촉제공
⇒어머니와 즐거운 감정을 연결함
⇒어머니는 이차적 강화인의 지위를 획득 하게
영아의 지적발달이 선행되어야 특정 인물에 대한 애착을 형성할 수 있다.
-애착형성 전에 낯선 사람과 친숙한 사람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대상영속성의 개념을 획득해야 한다.
대상영속성 획득: 7-9개월
3) 인지발달 이론
(4) 동물행동학적이론
Bowlby(1973): 애착의 발달은 생존유지 및 보호를 위한 본능적인 반응의 결과
-애착은 배고픔과 같은 일차적 욕구 충족과 관계없이 발달
Harry Hallow의원숭이실험
⇒ 수유가 애착형성의 결정적요인은 아니다.
) 애착형성의단계
Bowlby(1973) 애착형성의단계
전 애착단계 ⇒ 애착형성 단계 ⇒ 애착단계 ⇒ 상호관계의 형성 단계
(1) 전 애착단계(출생 후~6주)
<울기> <눈 응시하기> <미소> <붙잡기>
-붙잡기, 미소짓기, 울기, 눈 응시하기 등으로 주위 사람들과 가까운 관계유지.
-애착은 형성되지 않음
(2) 애착형성 단계(6주~8개월)
-친숙한 사람과 낯선 사람에 대해 구별하여 반응함.
-양육자에 대한 신뢰감이 발달.
-아직까지 분리불안은 없다.
(3)애착단계(6-8개월~ 18개월)
-애착이 형성된 사람에게 적극적으로 접근한다.
-분리불안을 보인다.
(4) 상호관계의 형성단계(18개월~2세)
-정신적 표상과 언어발달로 인해 애착을 형성한 사람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게됨.
-분리불안이 감소함
-양육자와 협상하여 자신이 원하는 대로 애착대상자의 행동을 수정하고자 함.
Ainsworth는 낯선 상황실험
-애착형성을 안정애착, 회피애착, 저항애착, 혼란애착유형으로 구분
3) 애착의 유형
<그림:Ainsworth>
Ainsworth의 낯선 상황실험
<그림:낯선 상황실험>
-연구대상의 65%
- 주위를 탐색하기 위해 어머니와 쉽게 떨어진다.
-낯선 사람보다 어머니에게 더 관심을 보임
-어머니와 놀때 밀접한 관계유지
-어머니와 분리되어도 능동적으로 위안을 찾고, 돌아오면 반갑게 맞이하며 쉽게 편안해짐
1) 안정애착
-연구대상의 20%
-어머니에게 반응을 별로 보이지 않음
-어머니가 떠나도 울지 않고, 돌아와도 무시하고 회피함
-낯선 사람과 어머니에게 비슷한 반응을 보임
2) 회피애착
3) 저항애착
-연구대상의 10~15%
-어머니와 같이 있어도 계속 불안해함.
-어머니로부터 안정감을 얻지 못함
-어머니가 안아주면 내려달라고 저항함
-양면성을 가짐
(4) 혼란애착
-연구대상의 5~10%
-회피애착과 저항애착의 결합
얼어붙은 표정으로 어머니에게 접근하고 안겨있어도 먼 곳만을 봄.
4) 애착반응
(1)낯가림
-영아가 특정인과 애착을 형성하게 되면, 낯선 사람이 다가오거나 부모가 낯선 사람에게 자신을 맡길 때 큰 소리로 우는 것.
-6~8개월 경에 나타나 첫돌에 최고조에 달한 후 점차 감소함.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수용적일수록 낯가림과 분리불안현상이 일찍나타남.
(2) 분리불안
-분리불안
: 영아가 부모나 애착을 느끼는 대상과 분리될 때 느끼는 불안.
-돌 전후에 나타나서 20~24개월 경 사라짐.
-안정애착인 영아일수록 분리불안반응을 덜 보임.
5) 애착과 영향요인
-영향요인: 영아의 기질, 영아와 부모의 특성, 양육의 질
(1) 영아의기질
-조산, 발달지체, 신체장애, 심리적장애가 있는 영아
⇒ 불안정애착과 관련.
-영아의 적응성
⇒ 안정애착과 정적상관성
(2) 영아와 부모의 특성
* 조화의 적합성: 어떤 영아라도 양육자가 영아의 기질에 적합한 양육을 하게되면 영아가 안정애착을 형성할 수 있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는 애착문제가 발생 할 수 있음.
▶민감성과 반응성 필요
<그림: 아이의 요구에 민감한 부모>
(3) 양육의 질
-어머니의 연령, 경제적 안정, 사회적지위
⇒ 애착관계에 영향
-아버지의 특성: 놀이 속에서 영아와의 애착관계 형성
Erikson
-신뢰감 vs 불신감의 시기에 이루어지는 수유
욕구충족은 애착관계 형성, 나아가 세상 전반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줌.
영아의 욕구에 대한 반응이 더 중요하다.
-신뢰감 vs 불신감의 시기에 이루어지는 수유
욕구충족은 애착관계 형성, 나아가 세상 전반에 대한 신뢰감을 심어 줌.
-영아의 욕구에 대한 반응이 더 중요하다.
(2) 학습이론
-애착행동은 학습경험의 축적
-수유는 애착발달의 중요한 요인이다.
: 배고픔 해결, 눈맞춤, 신체적 접촉제공
⇒어머니와 즐거운 감정을 연결함
⇒어머니는 이차적 강화인의 지위를 획득 하게
영아의 지적발달이 선행되어야 특정 인물에 대한 애착을 형성할 수 있다.
-애착형성 전에 낯선 사람과 친숙한 사람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대상영속성의 개념을 획득해야 한다.
대상영속성 획득: 7-9개월
3) 인지발달 이론
(4) 동물행동학적이론
Bowlby(1973): 애착의 발달은 생존유지 및 보호를 위한 본능적인 반응의 결과
-애착은 배고픔과 같은 일차적 욕구 충족과 관계없이 발달
Harry Hallow의원숭이실험
⇒ 수유가 애착형성의 결정적요인은 아니다.
) 애착형성의단계
Bowlby(1973) 애착형성의단계
전 애착단계 ⇒ 애착형성 단계 ⇒ 애착단계 ⇒ 상호관계의 형성 단계
(1) 전 애착단계(출생 후~6주)
<울기> <눈 응시하기> <미소> <붙잡기>
-붙잡기, 미소짓기, 울기, 눈 응시하기 등으로 주위 사람들과 가까운 관계유지.
-애착은 형성되지 않음
(2) 애착형성 단계(6주~8개월)
-친숙한 사람과 낯선 사람에 대해 구별하여 반응함.
-양육자에 대한 신뢰감이 발달.
-아직까지 분리불안은 없다.
(3)애착단계(6-8개월~ 18개월)
-애착이 형성된 사람에게 적극적으로 접근한다.
-분리불안을 보인다.
(4) 상호관계의 형성단계(18개월~2세)
-정신적 표상과 언어발달로 인해 애착을 형성한 사람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게됨.
-분리불안이 감소함
-양육자와 협상하여 자신이 원하는 대로 애착대상자의 행동을 수정하고자 함.
Ainsworth는 낯선 상황실험
-애착형성을 안정애착, 회피애착, 저항애착, 혼란애착유형으로 구분
3) 애착의 유형
<그림:Ainsworth>
Ainsworth의 낯선 상황실험
<그림:낯선 상황실험>
-연구대상의 65%
- 주위를 탐색하기 위해 어머니와 쉽게 떨어진다.
-낯선 사람보다 어머니에게 더 관심을 보임
-어머니와 놀때 밀접한 관계유지
-어머니와 분리되어도 능동적으로 위안을 찾고, 돌아오면 반갑게 맞이하며 쉽게 편안해짐
1) 안정애착
-연구대상의 20%
-어머니에게 반응을 별로 보이지 않음
-어머니가 떠나도 울지 않고, 돌아와도 무시하고 회피함
-낯선 사람과 어머니에게 비슷한 반응을 보임
2) 회피애착
3) 저항애착
-연구대상의 10~15%
-어머니와 같이 있어도 계속 불안해함.
-어머니로부터 안정감을 얻지 못함
-어머니가 안아주면 내려달라고 저항함
-양면성을 가짐
(4) 혼란애착
-연구대상의 5~10%
-회피애착과 저항애착의 결합
얼어붙은 표정으로 어머니에게 접근하고 안겨있어도 먼 곳만을 봄.
4) 애착반응
(1)낯가림
-영아가 특정인과 애착을 형성하게 되면, 낯선 사람이 다가오거나 부모가 낯선 사람에게 자신을 맡길 때 큰 소리로 우는 것.
-6~8개월 경에 나타나 첫돌에 최고조에 달한 후 점차 감소함.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수용적일수록 낯가림과 분리불안현상이 일찍나타남.
(2) 분리불안
-분리불안
: 영아가 부모나 애착을 느끼는 대상과 분리될 때 느끼는 불안.
-돌 전후에 나타나서 20~24개월 경 사라짐.
-안정애착인 영아일수록 분리불안반응을 덜 보임.
5) 애착과 영향요인
-영향요인: 영아의 기질, 영아와 부모의 특성, 양육의 질
(1) 영아의기질
-조산, 발달지체, 신체장애, 심리적장애가 있는 영아
⇒ 불안정애착과 관련.
-영아의 적응성
⇒ 안정애착과 정적상관성
(2) 영아와 부모의 특성
* 조화의 적합성: 어떤 영아라도 양육자가 영아의 기질에 적합한 양육을 하게되면 영아가 안정애착을 형성할 수 있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는 애착문제가 발생 할 수 있음.
▶민감성과 반응성 필요
<그림: 아이의 요구에 민감한 부모>
(3) 양육의 질
-어머니의 연령, 경제적 안정, 사회적지위
⇒ 애착관계에 영향
-아버지의 특성: 놀이 속에서 영아와의 애착관계 형성
추천자료
아동의 놀이의 체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아동발달] 교사모형 이론 연구 및 바람직한 교사상
대학생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인불안 수준 및 이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아동발달]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대하여 -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의 주요 개념 및 단계별 ...
애착의 발달과정과 애착의 유형을 설명 하시오
2012년 1학기 아동발달 중간시험과제물 A형(영아의애착과발달)
애착의 발달과정과 애착으 유형
2013년 1학기 아동발달 중간시험과제물 A형(영아기의 애착발달에 대하여)
아동발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각자의 의견을 개진하십시오.
발달적 미술치료와 실제적 방법
[영유아기 애착] 영유아기에 중요한 발달과제인 애착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애착이 이후 ...
[인간발달이론] 아동발달이론(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 피...
아동발달)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단계에 근거한 자기분석 및 미래예측에 대한 보고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