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전(聖戰)의 개념과 그 요소
2. 이스라엘 역사 초기의 성전
3. 인간의 역할
4. 왕정 시대의 전쟁
2. 이스라엘 역사 초기의 성전
3. 인간의 역할
4. 왕정 시대의 전쟁
본문내용
이겠느냐?’(1사무 14,6). 이러한 사상으로부터 인간의 무장을 불신하는 풍조가 후대에 생겨났다(1사무 17,45 참조).
4. 왕정 시대의 전쟁
이상과 같은 전쟁의 거룩한 성격은 왕조의 출현과 직업 군대의 설립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야훼의 전쟁을 수행하러 백성들을 앞서서 행진한 것은 더 이상 야훼가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백성을 이끌고 자신의 전쟁을 수행하는 왕이다(1사무 8,20). 전사들은 더 이상 지원한 사람들이 아니라, 왕에게서 급료를 받는 직업 군인들이거나 혹은 장교들이 뽑은 징집병들이다. 이러한 변형은 분명히 위기를 초래하고 말았다. 사울이 성전 제의를 위반함으로써 그러한 변형의 터전이 마련되었으며, 그 변형은 다윗 시대에 실제로 일어나게 되었다. 그는 상당한 수의 외인 부대를 고용했으며, 군사적인 목적으로 자기 백성의 수를 조사하도록 명령했다(2사무 24,19). 따라서 전쟁은 필연적으로 국가의 것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즉 그것은 ‘속화’되었다. 처음에는 거룩한 전쟁의 어떤 요소들이 유지되기는 했다. 암몬족과의 전투에서 성궤가 군대 앞에서 행진했고, 우리아(그는 헷 사람으로 외인 부대에 속한다)는 엄격한 금욕을 지켰다(2사무 11,11). 다윗은 자신이 정복한 금과 은을 야훼께 “봉헌하였다”(2사무 8,11). 그러나 이들 제의(祭儀)들은 겉치레 혹은 장식적인 행사였다. 비록 “야훼께서 승리를 주신다”(2사무 8,6.14)는 말은 여전히 하긴 하지만, 인간적인 방법으로 승리를 확인해 준 것은 다윗이었으며, 승리의 결과인 영광을 받은 이도 역시 야훼가 아니라 다윗이었다(2사무 12,28).
4. 왕정 시대의 전쟁
이상과 같은 전쟁의 거룩한 성격은 왕조의 출현과 직업 군대의 설립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야훼의 전쟁을 수행하러 백성들을 앞서서 행진한 것은 더 이상 야훼가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백성을 이끌고 자신의 전쟁을 수행하는 왕이다(1사무 8,20). 전사들은 더 이상 지원한 사람들이 아니라, 왕에게서 급료를 받는 직업 군인들이거나 혹은 장교들이 뽑은 징집병들이다. 이러한 변형은 분명히 위기를 초래하고 말았다. 사울이 성전 제의를 위반함으로써 그러한 변형의 터전이 마련되었으며, 그 변형은 다윗 시대에 실제로 일어나게 되었다. 그는 상당한 수의 외인 부대를 고용했으며, 군사적인 목적으로 자기 백성의 수를 조사하도록 명령했다(2사무 24,19). 따라서 전쟁은 필연적으로 국가의 것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즉 그것은 ‘속화’되었다. 처음에는 거룩한 전쟁의 어떤 요소들이 유지되기는 했다. 암몬족과의 전투에서 성궤가 군대 앞에서 행진했고, 우리아(그는 헷 사람으로 외인 부대에 속한다)는 엄격한 금욕을 지켰다(2사무 11,11). 다윗은 자신이 정복한 금과 은을 야훼께 “봉헌하였다”(2사무 8,11). 그러나 이들 제의(祭儀)들은 겉치레 혹은 장식적인 행사였다. 비록 “야훼께서 승리를 주신다”(2사무 8,6.14)는 말은 여전히 하긴 하지만, 인간적인 방법으로 승리를 확인해 준 것은 다윗이었으며, 승리의 결과인 영광을 받은 이도 역시 야훼가 아니라 다윗이었다(2사무 12,28).
추천자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어거스틴 ENCHIRIDION 원서
성결운동
기독교와 이슬람의 신관 비교 연구
칼빈의 신학적 윤리학
르네상스 시대
개혁주의 청교도 영성 요약
[영어예배] 03.Jesus Was Born (예수님 탄생)
하나님의 집
웨스트민스터 신조 문제 풀이 (중요 개념)
오역의 제국:그 거짓과 왜곡의 세계 -역사와 사실을 왜곡하고 인류의 지적 성과물을 파괴한 ...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 활용 사례와 경향 - 테마파트 심리적 분석
기독교강요(1536)판의 사도신경(2장) 요약함 (한 하나님을 믿음: (2장 1-9), 창조주와 구속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