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민족말살정책● A+ 맞으세요!꼭이요^^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30년대 민족말살정책● A+ 맞으세요!꼭이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930년대 민족말살정책

1. 민족말살정책이란?
2. 황국신민화정책이란?
3. 창씨개명이란?
4. 내선일체란?

본문내용

지를 비롯한 언론탄압 끝에 조선어로 된 출판물은 전면 강제 폐간시켰다.
한편 대륙침공의 전초 기지로서 한반도에 군수산업을 이식하여, 군수물자 생산과 자원개발에 조선인을 징용하여 공장과 광산으로 보냈다. 1940년까지만 해도 국내동원 260여 만 명, 일본 및 점령지역에 72만 명에 이르렀다. 이 무렵 일제는 이른바 대동아공영권이라는 대(對)아시아 침략전쟁을 합리화하기 위한 슬로건을 내걸었으며, 마침내 1941년 12월에는 진주만을 기습하여 태평양전쟁을 발발시켰다. 이런 추이 속에 1942년 5월 한반도 징병제, 1943년 8월 해군특별지원병제, 10월 학도병제 실시로 젊은이들을 대량 동원시킴으로써 민족말살정책은 극도에 이르렀다. 내선일체란 군국 일제의 전쟁야욕 성취를 위한 한민족말살정책의 대명사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2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