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통합수업에 대해서
2. 식생활의 문화적 이해
3. 용어의 정의
Ⅲ. 본론
1. 학습 지도안의 의의
2. 실습 수업을 위한 수업 지도안 개발
Ⅳ. 결론
1.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통합수업에 대해서
2. 식생활의 문화적 이해
3. 용어의 정의
Ⅲ. 본론
1. 학습 지도안의 의의
2. 실습 수업을 위한 수업 지도안 개발
Ⅳ. 결론
1.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
다. 로마자 표기법
이 연구에 사용된 로마자 표기는 2000년 7월 고시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랐다. 음식 이름은 전체를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다만 로마자 표기에서는 읽기의 편의를 위하여 자립성이 있는 단어 사이에 붙임표(-)를 넣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붙임표의 용법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규정된 것과는 쓰임이 다르다는 것을 미리 언급하는 바이다.
Ⅲ. 본 론
1. 학습지도안의 의의
최근에 학교 수업에서 두드러진 변화는 수업 방법의 다양성과 자료 투입에 관한 양적인 변화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변화는 이제 교사는 어떤 형태로든 자신이 하고 있는 수업을 과거와는 다르게, 어제와는 다르게 시도하려는 분위기의 확산이다.
본 학습 지도안은 음식으로 문화를 알도록하기 위함이다. 음식준비는 사회적 기능과 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받은 가치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단순히 조리활동에만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음식의 경우, 한국의 지리적인 특성상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계절별 성향이 뚜렷한 성질에 따라 주로 남부와 북부의 음식의 성향이 다르며 문화적인 특성에 따라 제사음식이나 명절음식과 같은 식문화가 발달을 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학습지도안은 한국음식의 대표적인 김치 찌개 · 찜 요리를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의 문화에 대하여 느끼고 관심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게 할 것이다.
2. 실습수업을 위한 수업 지도안 개발
가. 단원의 지도 목표
평소에 먹는 식품인 밥과 방에 관한 기초 지식을 알고, 이를 이용한 한그릇 음식을 만들 수 있으며, 그릇에 보기 좋게 담을 수 있다. 또한 영어로 된 요리법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 음식우리 민족 고유의 음식은, 그 음식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식생활 관습과 더불어 지리적·역사적 환경에 가정 적합하도록 우리 조상들이 창안·발전시켜 온 민족적 지혜의 총화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음식은 이 땅에 사는 우리에게 있어 기호에 맞고, 또 합리적인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우리 민족이 생활 여건에 가장 알맞게 창안하여, 우리의 전통 문화와 함께 발전시켜 온 한국인의 음식이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이 우리의 음식을 만들고 익히면서 과정을 배우는 것과 동시에 영어를 이용한 활동으로 한국음식의 종류(Kimchi), 한국음식의 재료(rice), 조리과정 속에서 숫자(두 자리, 세 자리 수, units of hundred)읽기, 만들 때 필요한 동사(mix, roll, press, cut, spread, wash, pour) 등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나.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① 음식에 들어 있는 영양소를 설명하고, 그 중요성을 알게 한다.
② 영양이 생활에 미치는 중요성에 관하여 학생들의 경험을 많이 발표시켜 실제 생활과 관련되게 한다.
③ 재료의 분량을 어림해 보고, 실제 무게와 비교하게 한다.
④ 가열 기구를 안전하게 다루어야 하는 이유를 알게 하고, 다루는 방법을 익히게 한다.
⑤ 안전 지도에 유의한다.
⑥ 치밀한 사전 계획으로 실습 시간에 차질이 없게 한다.
⑦ 음식은 다른 식품과 함께 먹으면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식품임을 인식시킨다.
⑧ 음식에 관련된 식사 문화와 예절을 익혀 실생활에 활용하도록 한다.
⑨ 한국음식의 종류(Kimchi), 한국음식의 재료(rice), 조리과정 속에서 숫자(두 자리, 세 자리 수, units of hundred)읽기, 만들 때 필요한 동사(mix, roll, press, cut, spread, wash, pour) 등을 영어를 활용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다. 로마자 표기법
이 연구에 사용된 로마자 표기는 2000년 7월 고시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랐다. 음식 이름은 전체를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다만 로마자 표기에서는 읽기의 편의를 위하여 자립성이 있는 단어 사이에 붙임표(-)를 넣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붙임표의 용법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규정된 것과는 쓰임이 다르다는 것을 미리 언급하는 바이다.
Ⅲ. 본 론
1. 학습지도안의 의의
최근에 학교 수업에서 두드러진 변화는 수업 방법의 다양성과 자료 투입에 관한 양적인 변화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변화는 이제 교사는 어떤 형태로든 자신이 하고 있는 수업을 과거와는 다르게, 어제와는 다르게 시도하려는 분위기의 확산이다.
본 학습 지도안은 음식으로 문화를 알도록하기 위함이다. 음식준비는 사회적 기능과 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받은 가치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단순히 조리활동에만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음식의 경우, 한국의 지리적인 특성상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계절별 성향이 뚜렷한 성질에 따라 주로 남부와 북부의 음식의 성향이 다르며 문화적인 특성에 따라 제사음식이나 명절음식과 같은 식문화가 발달을 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학습지도안은 한국음식의 대표적인 김치 찌개 · 찜 요리를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의 문화에 대하여 느끼고 관심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게 할 것이다.
2. 실습수업을 위한 수업 지도안 개발
가. 단원의 지도 목표
평소에 먹는 식품인 밥과 방에 관한 기초 지식을 알고, 이를 이용한 한그릇 음식을 만들 수 있으며, 그릇에 보기 좋게 담을 수 있다. 또한 영어로 된 요리법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 음식우리 민족 고유의 음식은, 그 음식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식생활 관습과 더불어 지리적·역사적 환경에 가정 적합하도록 우리 조상들이 창안·발전시켜 온 민족적 지혜의 총화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음식은 이 땅에 사는 우리에게 있어 기호에 맞고, 또 합리적인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우리 민족이 생활 여건에 가장 알맞게 창안하여, 우리의 전통 문화와 함께 발전시켜 온 한국인의 음식이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이 우리의 음식을 만들고 익히면서 과정을 배우는 것과 동시에 영어를 이용한 활동으로 한국음식의 종류(Kimchi), 한국음식의 재료(rice), 조리과정 속에서 숫자(두 자리, 세 자리 수, units of hundred)읽기, 만들 때 필요한 동사(mix, roll, press, cut, spread, wash, pour) 등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나.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① 음식에 들어 있는 영양소를 설명하고, 그 중요성을 알게 한다.
② 영양이 생활에 미치는 중요성에 관하여 학생들의 경험을 많이 발표시켜 실제 생활과 관련되게 한다.
③ 재료의 분량을 어림해 보고, 실제 무게와 비교하게 한다.
④ 가열 기구를 안전하게 다루어야 하는 이유를 알게 하고, 다루는 방법을 익히게 한다.
⑤ 안전 지도에 유의한다.
⑥ 치밀한 사전 계획으로 실습 시간에 차질이 없게 한다.
⑦ 음식은 다른 식품과 함께 먹으면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식품임을 인식시킨다.
⑧ 음식에 관련된 식사 문화와 예절을 익혀 실생활에 활용하도록 한다.
⑨ 한국음식의 종류(Kimchi), 한국음식의 재료(rice), 조리과정 속에서 숫자(두 자리, 세 자리 수, units of hundred)읽기, 만들 때 필요한 동사(mix, roll, press, cut, spread, wash, pour) 등을 영어를 활용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