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콘스탄티누스가 개종하기까지
2. 제국교회의 창설
3. 전환기의 문제성
4. 콘스탄티누스가 잘한 일
5. 배교자에 관한 논쟁
6. 콘스탄티누스 등장의 종교적 의미
2. 제국교회의 창설
3. 전환기의 문제성
4. 콘스탄티누스가 잘한 일
5. 배교자에 관한 논쟁
6. 콘스탄티누스 등장의 종교적 의미
본문내용
서 박해를 받던 그리스도교는 갑자기 호의와 혜택을 국가로부터 받으면서 특권화되는 새로운 상황에 처하였다. 이제 그리스도교적인 황제가 통치하는 로마 제국은 호교론자 시대부터 주창되어 온 국가임무를 갖게 되었다. 즉 로마 제국은 그리스도교가 그 사명인 구원의 메시지 선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길을 마련하는 과업을 맡게 된 것이다. 이 국가의 과업이 콘스탄티누스에 의해서 달성되었다. 이 시대에 세계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하는 전제조건이 이루어졌다. 그래서 당시의 그리스도교인들은 콘스탄티누스를 이상적인 그리스도교 지도자로서의 황제로 보았고 그와 함께 교회에 있어서 새로운 구원의 시대가 시작된다고 생각하였다. 이제 교회는 국가와의 새로운 연합을 통해서 그리스도교의 신앙을 공공연하게 전하였고, 교리교육의 내외적 확대, 그리스도교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심, 잔존하던 이교사상과의 논쟁은 그리스도교 신학의 발달에 중요한 촉진제가 되었다. 따라서 이제 그리스도교인이 되는 이들은 대부분 정치적 기회주의보다는 종교적 관심에 의해서 입교하였다. 그러나 그리스도교를 옹호하는 콘스탄티누스의 과격한 급진적 결정은 이교의 중심지인 로마, 아테네 등지에서 격한 논쟁을 일으켰고 비난을 받았다. 반면에 주교들은 황제의 우호적인 정책을 열광적으로 환영하였고, 교회법이 국가의 승인을 받고 그 시행에 있어서 국가적 차원의 보호를 받게 되기를 바랐다. 따라서 공의회의 결의문은 국법으로 선포되었고 이로써 정치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의 우호적 태도와 행동은 국가의 교회내정간섭과 교회의 자율권상실을 초래한 황제교황주의의 기원이 되었다.
추천자료
[ocu 테마로 보는 유럽문화기행] 시대별 유럽 미술 양식의 특징
중세의 교육
절대왕정의 탄생 (작가- 임승휘)
로마, 에스파냐, 영국의 부흥기 정치구조
초기교부시대
르네상스의 발표
서양미술거장전 관람기 _ 아마추어의 그림 읽기
[로마건축][로마건축의 단독주택][로마건축의 대작][로마건축의 실례]로마건축의 성격, 로마...
기독교의 역사
기독교, 그 이천 년의 역사
교회속의 세상 세상속의 교회
[책요약]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요약본(강의안) - 예수와 사도들의 시대, 카톨릭 기독교 시대...
유럽여행 계획서 - 고대 최강 로마 군단의 발자취를 찾아서
중동 문제의 시발점, 이스라엘 건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