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중심이론
2. 인지행동이론
3. 해결중심이론
2. 인지행동이론
3. 해결중심이론
본문내용
협력적 관계를 중요시하며, 사회복지사의 개입은 단지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자문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결중심이론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Berg Miller, 1992;송성자,1995에서 재인용).
① 병리적인 것 대신에 건강한 것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실패보다는 성공 경험 및 그 방법에 초점을 두고 이를 치료에 활용한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삶에 대해 몇 가지 불평이 있는 것이지 증상을 가진 환자로 여기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문제가 있다 하여도 이를 병리적인 관점에서 볼 것이 아니라 해결가능성이 있는 관점에서 재진술하도록 한다.
② 클라이언트의 강점, 자원, 건강한 특성을 발견하여 치료에 활용한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이미 가지고 있는 자원, 기술, 지식, 믿음, 동기, 행동, 증상, 사회관계망, 환경, 개인적인 특성 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
③ 탈이론적이고 비규범적이며 클라이언트의 견해를 존중한다. 타 이론에서 같이 인간 행동에 대한 가설적 이론의 틀에 맞추어 클라이언트를 사정, 평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포현하는 견해와 불평방법을 그대로 수용하며, 개별성을 최대한 존중한다.
④ 변화는 항상 일어나며 불가피한 것이다. 즉, 일상생활에서 변화는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어떠한 문제라도 문제가 발생할 때가 있고,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는 문제에만 관심을 두기 때문에 예외적인 것, 즉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은 인식하지 못하고 무시한다. 이는 해결중심이론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문제사 발생하지 않는 상황,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를 파악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갖고 있는 장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⑤ 현재와 미래를 지향한다. 해결중심이론에서는 과거에 관하여 깊이 연구하지 않으며, 현재와 미래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 데 관심을 둔다. 즉, 클라이언트를 과거와 문제로부터 멀리 하고, 미래와 해결방안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경우에 매우 제한적으로 시도한다.
⑥ 클라이언트의 자율적인 협력을 중요시한다. 클라이언트의 목표성취를 위해서는 협력이 중요하며, 이는 사회복지사와 클리이언트가 함께 해결방안을 발견하고 구축하는 과정에서 특히 중요시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하는 것이 어려운 과제로 떠오르게 된다.
① 병리적인 것 대신에 건강한 것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실패보다는 성공 경험 및 그 방법에 초점을 두고 이를 치료에 활용한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삶에 대해 몇 가지 불평이 있는 것이지 증상을 가진 환자로 여기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문제가 있다 하여도 이를 병리적인 관점에서 볼 것이 아니라 해결가능성이 있는 관점에서 재진술하도록 한다.
② 클라이언트의 강점, 자원, 건강한 특성을 발견하여 치료에 활용한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이미 가지고 있는 자원, 기술, 지식, 믿음, 동기, 행동, 증상, 사회관계망, 환경, 개인적인 특성 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
③ 탈이론적이고 비규범적이며 클라이언트의 견해를 존중한다. 타 이론에서 같이 인간 행동에 대한 가설적 이론의 틀에 맞추어 클라이언트를 사정, 평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포현하는 견해와 불평방법을 그대로 수용하며, 개별성을 최대한 존중한다.
④ 변화는 항상 일어나며 불가피한 것이다. 즉, 일상생활에서 변화는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어떠한 문제라도 문제가 발생할 때가 있고,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는 문제에만 관심을 두기 때문에 예외적인 것, 즉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은 인식하지 못하고 무시한다. 이는 해결중심이론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문제사 발생하지 않는 상황,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를 파악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갖고 있는 장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⑤ 현재와 미래를 지향한다. 해결중심이론에서는 과거에 관하여 깊이 연구하지 않으며, 현재와 미래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 데 관심을 둔다. 즉, 클라이언트를 과거와 문제로부터 멀리 하고, 미래와 해결방안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경우에 매우 제한적으로 시도한다.
⑥ 클라이언트의 자율적인 협력을 중요시한다. 클라이언트의 목표성취를 위해서는 협력이 중요하며, 이는 사회복지사와 클리이언트가 함께 해결방안을 발견하고 구축하는 과정에서 특히 중요시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하는 것이 어려운 과제로 떠오르게 된다.
추천자료
인간중심 상담이론
상담의 기초이론(정신분석적, 인간중심적, 합리적정의적, 인지적)
정신분석 상담, 인간중심 상담, 행동주의 상담이론 비교
정신분석 상담, 인간중심 상담, 행동주의 상담이론 비교
2012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중심적,정신분석적,게슈탈트상담이론)
정신분석 상담, 인간중심 상담, 행동주의 상담이론 비교
인간중심치료의 이론과 정신분석적 치료
<정신분석상담>과 <인간중심상담>의 ① 성격발달 이론 ② 상담자와 내담자 관계 ③ 주요기법을 ...
인본주의이론 (인간관, 로저스의 인간중심적 접근방,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 사회복지실천...
효율적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인간중심 경영 (인간중심 경영, 인간중심 경영의 필요성, 인간중...
인간중심 치료를 바탕으로 해당 이론을 선택한 배경과 적용성에 관하여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심...
[청소년상담]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인간에 대한 기본관점(실현 경향성과 자기실현 및 자기개...
[성격 이론]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적 접근과 목회상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