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에 관한 졸업논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교에 관한 졸업논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적이어야 한다. 아무리 문화 상황에 적절한 것으로 보여지고 효과적이라 할지라도 복음의 본질을 상실했으면 그것은 토착화가 아닌 토양화이다. 2000년대를 향한 민족과 세계복음화 자료집(인터넷싸이트 http://kcm. co.kr/2000/2000-34.htm)
한국교회는 결코 대만교회보다 우월하지 않다. 하나님이 한국교회를 먼저 부흥시켜 주신 것은 한국교회를 통해 대만을 부흥시키시기 위함이다. 물론 한국교회는 대만 외에도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 세계 곳곳에 선교해야 할 책임을 갖고 있다. 대만이 다른 나라에 비해 선교전략적으로 훨씬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필자가 주장하고 싶은 것은 단지 똑같은 물자와 인력을 투자하더라도 현재와 같은 과거 지향적 선교방식은 효과적일수 없다는 것이다.
서양선교사들의 대만선교는 토착화에 실패했다고 말할수 있다. 현재까지 한국교회의 대만선교도 이렇다 할 성과를 얻어내지 못했다. 물론 선교사역이 단시간 내에 어떤 결과를 이루어 내는 것만은 아니지만 우리는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지적해보고 뒤바뀐 상황에 민감하게 대처하여 보다 효과적인 선교사역을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만 내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각 족속과 지역의 특색에 맞는 선교방식을 채택하여 복음을 그들 각자의 마음밭에 토착화 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만 내에 다양한 친한국 세력을 키워서 심어놔야 하며 그들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대만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대만의 심령들을 효과적인 방법으로 공략해야 한다.
중국선교와 대만선교는 이제 더이상 같은 선상에서 이루어질수 없다. 중국은 중국, 대만은 대만이다. 중국도 역시 각 지역과 종족마다 나름대로의 선교전략이 수립되고 있듯이 이제 대만도 중국선교를 위한 선교전략지가 아닌 대만 그 자체로서의 선교지가 되어야 한다.
우리의 선교정책은 이제 더 이상 과거나 현재를 목표로 세워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는 가까운 미래나 먼 미래를 목표로 수립되어지고 진행되어져야 한다. 만일 우리가 현재를 목표로 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선교활동을 시작한다면 선교사들은 빠르게 변해버리는 선교지의 상황에 민감하게 대처할수 없어서 그 사역이 실패로 끝나게 될 가능성이 많은 것이다. 때문에 우리는 미래를 볼수 있는 눈을 가져야 한다. 우리가 일해야 할 상황(Context)은 항상 미래에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Bosch, David J. Transforming Mission.New York:Orbis Books,1996.
Swanson, Allan J. The Church in Taiwan. California:The William
Carey Library,1981.
C.S.Song. Jesus & the Reign of God. Minneapolis:Fortress Press,
1993.
__________. Jesus in the Power of the Spirit. Minneapolis:
Fortress Press,1994.
__________. Jesus, the Crucified People. Minneapolis:Fortress
Press,1996.
陳南州 編.建構台灣文化的神學.台北:永望總經銷,1994.
_________.神學與敎會.第22卷 第1期,台南:台南神學院,1996.
黃顯光.基督敎在台灣的發展.台北:全國基督敎書房,1970.
羅蔓華 編.華人敎會手冊.香港:世界華人福音事工聯合中心,1981.
林治平主編.近代中國與基督敎論文集.台北:宇宙光出版社,1981.
楊國金.臺灣客家.台北:唐山出版社,1993.
臺灣原住民族權利促進會.原住民.台北:成昌印刷公司,1987.
宋强 外 共著.中國可以說不.강석진 역.No라고 말할수 있는 중국.서 울:동방미디어,1997.
Glasser, F, & McGavran, Donald A. Contemporary Theol-
ogies of Mission. 고환규 역.현대선교신학.서울:성광문화 사,1990.
Song,C.S. Christian Mission in Reconstruction:An Asian An-alysis.
이계준,김진서 공역.희망의 선교,서울:전망사,1993.
Song,C.S. Third-Eye Theology. 성 염 역.아시아인의 심성과 신 학,서울:분도출판사, 1990.
폴 히버트.선교와 문화인류학.김동화 외 공역.서울:죠이선교회출판 부,1996.
나일선, 오늘의 아시아 선교, 윤두혁 역,(서울:보이스사, 1980)
피터 와그너, 기독교 선교전략,전호진 역,(서울:생명의 말씀사.1981)
이광순,이용원 공저.선교학개론.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1993.
한숭홍.문화종교학.서울:장로회신학대학출판부,1987.
전호진.선교학.서울:개혁주의신행협회,1989.
홍덕화.두개의 중국과 실리왜교.서울:자작아카데미,1998.
변선환아키브 편.변선환 종교신학.서울:한국신학연구소,1996.
한국복음주의선교학회 편.아시아조감도.서울:성광문화사,1986.
정행업. “토착화의 방법론과 그 과제.”신학과 문화 1992년 창간호 (1992): 83-112쪽.
홍성국.“C.S.Song의 선교신학 연구.”미간행 석사학위논문,연세대 연합 신학대학원,1992.
김형길.“중국선교상황 고찰을 통한 한국교회의 선교전략 연구.”미간행 석사학위논문,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1996.
김유경.“중화인민공화국의 기독교 토착화에 대한 소고.”미간행 석사학위 논문,고신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 논문,1996.
권효상.“중국교회의 토착화 가능성과 전략.”미간행 석사학위논문,고신대 학원,1997.
이창희.“대만 객가족에 대한 선교전략.”미간행 석사학위논문,아세아연합 신학대학원,1989.
정순욱.“대만 선교전략에 관한 연구.”미간행 석사학위논문,아세아연합신 학대학원,1988.
Taipei Mission in Korea. “대만의 정치.” 인터넷싸이트 http://
www.taiwan.or.kr.1998.11.22 update.
기독교인터넷선교회.“대만선교현장이야기.” 인터넷싸이트http://kcm.
co.kr/taiwan.1998.11.22 update.
자유중국 기독교 상황(서울:중국복음선교회,1989)
“토착화.”기독교대백과사전제 15권.서울:기독교문사,1985.
  • 가격10,000
  • 페이지수5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2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