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의 식생활&예상왕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인의 식생활&예상왕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 대부분이 뱀, 비둘기, 부엉이 등 야생동물을 취식한 것으로 들어난 사실을 보아 이런 식문화는 개선해야 할 것임이 분명하다.
프랑스 요리, 터키 요리와 함께 세계 3대 요리 중 하나로 손꼽힐 정도로 중국음식은 최고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것은 단지 조리법과 화려한 외양 뿐 만이 아니라 이러한 음식을 먹고 즐길 줄 아는 중국인들의 성향과, 계속해서 자신들의 전통을 지키고 또한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탄생시키는 노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 중국요리의 지역적 특징
중국인은 비행기와 책상을 빼고는 모두 다 요리재료로 사용한다는 말이 있듯 광활한 영토에서 13억 인구가 즐기는 화려하고 다양한 중국요리는 크게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북경식, 남경식, 광동식, 사천식 4개의 권역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구할 수 있는 재료의 경계가 없어진 현대에는 이러한 지역적 구분은 큰 의미가 없어졌고 그 지역적 특성은 뒤섞여 있다.
우리나라에 청요리가 처음 소개된 것은 1883년 인천개항과 함께 청인이 들어오면서 중국무역상을 대상으로 한 중국음식점들이 생겨나면서다. 우리나라에 자장면이란 이름으로 음식을 팔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인 1905년 인천의 공화춘이라는 중국집으로 알려져 있다. 청인들은 청요리가 인기를 끌자 부두(현 인천역부근 하인천) 근로자들을 상대로 싸고 손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탄생된 것이 볶은 춘장에 국수를 비벼먹는 자장면이었다.
① 북경요리
일명 징차이[京菜]라고 한다. 베이징[北京]을 중심으로 남쪽으로 산둥성[山東省], 서쪽으로 타이위안[太原]까지의 요리를 포함한다. 베이징은 오랫동안 중국의 수도로서 정치ㆍ경제ㆍ문화의 중심지였고, 궁중요리를 비롯하여 고급요리가 발달하여 가장 사치스러운 요리문화를 이룩한 곳이다. 베이징은 지리적으로 한랭한 북방에 위치하여 높은 칼로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육류를 중심으로 강한 화력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조리하는 튀김(炸) 요리와 볶음(炒) 요리가 특징이다.
② 남경요리
중국 중부의 대표적인 요리로, 난징[南京]ㆍ상하이[上海]ㆍ쑤저우[蘇州]ㆍ양저우[揚州] 등지의 요리를 총칭한다. 중국대륙의 젖줄인 양쯔강[揚子江] 하구에는 오랜 옛날부터 난징을 중심으로 풍부한 해산물과 쌀을 바탕으로 한 식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19세기부터 밀어닥치기 시작한 서유럽의 대륙 잠식은 상하이에 조계(租界)를 다투어 설치하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외세의 입김은 결국 상하이를 중국 중부의 중심지가 되게 했다.
이 남경요리 중 서양풍으로 국제적인 발전을 한 것을 상하이요리[上海料理]라 한다. 상하이는 따뜻한 기후와 풍부한 농산물, 갖가지 해산물의 집산지로서 다양한 요리가 만들어졌고, 특히 이 지방의 특산물인 장유[醬油]를 써서 만드는 요리는 독특하다.
③ 광동요리
중국 남부의 요리를 대표하는 광동요리는 광저우[廣州]요리를 중심으로 푸젠[福建]요리ㆍ차오저우[潮州]요리ㆍ둥장[東江]요리 등의 지방요리 전체를 일컫는다. 광동요리는 흔히 난차이[南菜]라고 하는데, 광저우[廣州]는 외국과의 교류가 빈번하여 이미 16세기에는 에스파냐ㆍ포르투갈의 선교사ㆍ상인들이 많이 왕래하였기 때문에 전통적인 요리와 국제적인 요리관(料理觀)이 정착되어 독특한 특성을 이룩하였다.
사람들은 일찍부터 이 매력 있는 식생활의 고장을 일러 '식재광주(食在廣州)'라고 상찬했다. 남쪽의 더운 지방인 광저우의 요리는 재료가 가지고 있는 자연의 맛을 잘 살려 내는 담백한 것이 특징인데, 서유럽 요리의 영향을 받아 쇠고기ㆍ서양채소ㆍ토마토케첩ㆍ우스터소스 등 서양요리의 재료와 조미료를 받아들인 요리도 있다. 이러한 재료는 전통요리의 맛에 변화를 가져온 것이 사실이었고, 그것을 소화하고 중국화하는 데 능한 그들은 서유럽풍이 섞인 다채로운 맛의 연회요리로까지 발전시켰다.
볶음에서는 재료가 지니고 있는 자연의 맛을 살리기 위해 재료를 지나치게 익히지 않고 비교적 간을 싱겁게 하며 기름도 적게 쓴다. 하오유[瑚油]ㆍ칭정[淸蒸] 같은 조리법으로 담백한 맛을 낸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구운 돼지고기인 차사오[又燒]와 광둥식[廣東式] 탕수육인 구라오러우 등이 있고, 뎬신[點心] 종류로는 사오마이[燒賣]ㆍ차오판[炒飯] 등이 있다.
④ 사천요리
촨차이[川菜]라고도 한다. 중국의 서방, 양쯔강 상류의 산악지대 요리를 대표하는 쓰촨요리는 윈난[雲南]ㆍ구이저우[貴州]요리까지를 총칭한다. 쓰촨[四川]은 바다가 멀고 더위와 추위가 심한 지방으로서 예로부터 악천후를 이겨내기 위해 향신료를 많이 쓴 요리가 발달하였다. 매운 요리와 마늘ㆍ파ㆍ고추를 사용하는 요리가 많다. 오지(奧地)이기 때문에 소금절이ㆍ건물(乾物) 등 보존식품이 발달하여 채소를 이용한 자차이[搾菜] 같은 특산물을 낳기도 했다. 산악지대에서 나오는 암염(岩鹽)은 소금절이의 밑받침이 되었고 신맛과 매운맛, 톡 쏘는 맛과 향기가 기본을 이루었다. 두부와 다진고기를 이용한 마파두부[麻婆豆腐], 회회교도(回回敎徒)들의 양고기 요리인 양러우궈쯔[羊肉鍋子], 새우고추장볶음인 간소명하[干燒明蝦] 등이 유명하다.
♥ 참고문헌 및 인터넷 Site ♥
◇ 이면희의 중국요리 / 이면희 / 조선일보사 / 2001
◇ 현대 중국의 생활문화 / 장범성 / 한림대학교 출판부 / 1999
◇ 중국문화의 심층구조 / 손륭기 / 교문사 / 1997
◇ 중국인, 중국문화 에세이 / 허세욱 / 대한교과서 / 1998
◇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 공상철 공저 / 다락원 / 2001
◇ 중국문화 입문 / 윤순희 / 동양문고 / 2000
◇ 중국문화의 이해 / 중국어문학연구회 / 학고방 / 2000
◇ 중국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이재정 / 지영사 / 1999
◇ http://yangjagang.net
◇ http://www.china-gate.co.kr
◇ http://www.muhupin.x-y.net/yori-4.htm
◇ http://www.shanghaitown.co.kr/etc/wine.htm
◇ http://www.junghuksung.com/sul.htm
◇ http://www.anseo.dankook.ac.kr/%7Eahns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3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