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지만, 모양으로 썼던 것을 완전한 악기로 만들었다.
자바라
'제금'이라고도 하며 예전에는 '발'이라고도 하였다. 절에서 사용하는 '요발'도 이 종류에 속하는 악기이며, 절에서 사용하는 동발, 향발무에 쓰이는 향발 등은 서로 모양과 크기가 조금 다를 뿐 같은 종류이다.
바라춤을 출 때 사용하는 타악기로, 요즘도 절의 재의식에서는 발 춤을 빼놓을 수 없는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대취타, 불교음악, 무악, 전통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징
원래 징은 북과 함께 군데에서 쓰였는데, 북소리는 앞으로 나가라는 신호이고, 징소리는 후퇴하라는 신호였다. 그 후 태평소, 나발, 나각, 북 등과 함께 대취타에 쓰였고, 불교음악과 무악, 농악에서도 사용된다.
정, 금정, 금, 금라, 나 등의 여러 이름이 있으나 모두 같은 종류의 악기이다. 농악, 무속음악에서 징과 꽹과리는 같이 사용되며 꽹과리는 잔가락을 치고, 징은 본점(本點)만을 친다.
꽹과리
꽹과리는 모양과 제도에 있어서는 징과 같지만 채는 징채와는 달리 헝겊을 감지 않고 친다. 이 때문에 징소리보다 맑고 높은 소리가 난다.
'쇠'라고도 불리며 농악에서는 그 음색이 강하고 높은 것을 수꽹과리라 하여 상쇠(上釗)가 치고, 음색이 부드럽고 낮은 것을 부쇠(副釗)가 친다. 농악놀이의 전 과정은 상쇠의 지휘에 따라 진행된다.
장 구
장구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려 문종때이고, 고구려 고분벽화와 신라의 범종에 장구가 보인다. 삼국시대의 요고는모두 무릎 위에 놓고 칠 정도로 작은 것이었는데 고려 이후의 장구는크기가 커졌다. 오른손에 채를 들고치고 왼손으로는 북편을 친다.
장구에는 정악장구, 풍물장구, 무속장구의 3종이 있다. 정악장구는 허리가 가늘어서 '세요고'라고 불린다. 북편은 두꺼운 가죽을 사용하여 소리가 무겁고 채편은 얇은 가죽을 써 맑고 높은 소리가 난다. 장구의 통은 사기, 기와, 나무 등을 쓰는데, 기와는 좋지 않고 나무는 오동나무가 좋다. 풍물장구는 그 모양과 제도가 정악장구와 같지만 조금 작고, 통에는 아무런 색칠도 하지 않는다. 무속장구는 풍물장구와 모양과 제도가 같지만 지역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며, 무가반주에 쓰인다. 농악과 무악장구에는 정악장구와 달리 북편은 궁글체나 방망이, 채편은 가는 채를 사용한다.
좌 고
좌고는 북을 한 개의 틀에 매 단 것이며, 장구가 합장단을 칠 때 함께 친다. 음량이 크기 때문에 거문고 중심의 소규모 관현합주 편성에는 사용하지 않고 관악합주 즉, 대풍류나 춤반주 등에 쓰인다.
대 고
대고는 창작음악(관현악곡)연주에 주로 쓰인다. 전래되어 온 북 중에서 '대고'라는 명칭은 없으며 합주음악과 무용등에 사용하기 위해 새롭게 제작한 것이다. 교방고나 중고처럼 4개의 다리 기둥에 얹어서 북편이 위로 향하도록 놓고 연주하는데 북의 크기와 소리가 조금씩 다르다.
목 탁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불교음악중 화청이나 회심곡 등의 반주에 쓰인다. 전통국악곡의 합주에는 쓰이지 않으며, 현대 창작곡에는 '똑딱'소리의 음색 때문에 가끔 사용되고 있다.
자바라
'제금'이라고도 하며 예전에는 '발'이라고도 하였다. 절에서 사용하는 '요발'도 이 종류에 속하는 악기이며, 절에서 사용하는 동발, 향발무에 쓰이는 향발 등은 서로 모양과 크기가 조금 다를 뿐 같은 종류이다.
바라춤을 출 때 사용하는 타악기로, 요즘도 절의 재의식에서는 발 춤을 빼놓을 수 없는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대취타, 불교음악, 무악, 전통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징
원래 징은 북과 함께 군데에서 쓰였는데, 북소리는 앞으로 나가라는 신호이고, 징소리는 후퇴하라는 신호였다. 그 후 태평소, 나발, 나각, 북 등과 함께 대취타에 쓰였고, 불교음악과 무악, 농악에서도 사용된다.
정, 금정, 금, 금라, 나 등의 여러 이름이 있으나 모두 같은 종류의 악기이다. 농악, 무속음악에서 징과 꽹과리는 같이 사용되며 꽹과리는 잔가락을 치고, 징은 본점(本點)만을 친다.
꽹과리
꽹과리는 모양과 제도에 있어서는 징과 같지만 채는 징채와는 달리 헝겊을 감지 않고 친다. 이 때문에 징소리보다 맑고 높은 소리가 난다.
'쇠'라고도 불리며 농악에서는 그 음색이 강하고 높은 것을 수꽹과리라 하여 상쇠(上釗)가 치고, 음색이 부드럽고 낮은 것을 부쇠(副釗)가 친다. 농악놀이의 전 과정은 상쇠의 지휘에 따라 진행된다.
장 구
장구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려 문종때이고, 고구려 고분벽화와 신라의 범종에 장구가 보인다. 삼국시대의 요고는모두 무릎 위에 놓고 칠 정도로 작은 것이었는데 고려 이후의 장구는크기가 커졌다. 오른손에 채를 들고치고 왼손으로는 북편을 친다.
장구에는 정악장구, 풍물장구, 무속장구의 3종이 있다. 정악장구는 허리가 가늘어서 '세요고'라고 불린다. 북편은 두꺼운 가죽을 사용하여 소리가 무겁고 채편은 얇은 가죽을 써 맑고 높은 소리가 난다. 장구의 통은 사기, 기와, 나무 등을 쓰는데, 기와는 좋지 않고 나무는 오동나무가 좋다. 풍물장구는 그 모양과 제도가 정악장구와 같지만 조금 작고, 통에는 아무런 색칠도 하지 않는다. 무속장구는 풍물장구와 모양과 제도가 같지만 지역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며, 무가반주에 쓰인다. 농악과 무악장구에는 정악장구와 달리 북편은 궁글체나 방망이, 채편은 가는 채를 사용한다.
좌 고
좌고는 북을 한 개의 틀에 매 단 것이며, 장구가 합장단을 칠 때 함께 친다. 음량이 크기 때문에 거문고 중심의 소규모 관현합주 편성에는 사용하지 않고 관악합주 즉, 대풍류나 춤반주 등에 쓰인다.
대 고
대고는 창작음악(관현악곡)연주에 주로 쓰인다. 전래되어 온 북 중에서 '대고'라는 명칭은 없으며 합주음악과 무용등에 사용하기 위해 새롭게 제작한 것이다. 교방고나 중고처럼 4개의 다리 기둥에 얹어서 북편이 위로 향하도록 놓고 연주하는데 북의 크기와 소리가 조금씩 다르다.
목 탁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불교음악중 화청이나 회심곡 등의 반주에 쓰인다. 전통국악곡의 합주에는 쓰이지 않으며, 현대 창작곡에는 '똑딱'소리의 음색 때문에 가끔 사용되고 있다.
추천자료
한국의전통주거(집)
한국전통무용
한국전통주거의 역사
한국전통식품의 이해#6 -전통주에 관하여
(한국의전통)-문과창호
생활물리[공명의원리][공명][악기의종류][음의생성원리]
한국전통육아방식의 실제
전통한국식 장류 전문 유통 사업 계획서
[결혼문화][혼례풍속]한국전통결혼문화(혼례풍속), 중국결혼문화(혼례풍속), 인도결혼문화(혼...
컨벤션기획안 2011 한국전통음식박람회
현대인과 패션 - 한국전통패션문화
글로벌마케킹 성공사례 - 덴티움, 굿필코리아, 디아메스코, 마이크로엔엑스, 윈텍스, 한국전...
한국건축의 역사 - 현대건축에서의 한국전통의 의미
한국전통육아와 현대육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