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파구
2. T 임파구
3. B 임파구
4. 무표지 세포(Null cell, Killer cell, K cell)
5.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
참고자료
2. T 임파구
3. B 임파구
4. 무표지 세포(Null cell, Killer cell, K cell)
5.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
참고자료
본문내용
ytotoxic cells, ADCC)이므로 특정 항체가 붙어 있지 않는 표적세포는 파괴할 수 없으며, 세포독성 T세포처럼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에 제한받지 않는다.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에서 살세포의 역할은 분명하지 않지만, 자가면역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
비면역화된 사람의 말초혈액내 임파구 또는 비면역화된 쥐의 비장에는 몇가지 표적 세포에 세포독성이 있는 임파구가 존재한다. 이 세포는 null cell처럼 B 세포나 T 세포 표지자를 갖고 있지 않으며 대식세포와 같은 탐식능이 없으나 광범위한 세포독성력 때문에 자연살해세포로 분류된다. 자연살해세포는 종양세포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 대한 1차 방어역할을 하며, 표적세포의 종류에 상관없이 종양 세포에 자발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면역감시기능을 담당한다. 자연살해세포의 표적 세포의 공격은 gangliosides에 의해 저지되는 점으로 보아 이 물질이 자연살해세포의 자연 수용체로 생각된다.
참고자료
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임상병리과 면역혈청학부
5.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
비면역화된 사람의 말초혈액내 임파구 또는 비면역화된 쥐의 비장에는 몇가지 표적 세포에 세포독성이 있는 임파구가 존재한다. 이 세포는 null cell처럼 B 세포나 T 세포 표지자를 갖고 있지 않으며 대식세포와 같은 탐식능이 없으나 광범위한 세포독성력 때문에 자연살해세포로 분류된다. 자연살해세포는 종양세포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 대한 1차 방어역할을 하며, 표적세포의 종류에 상관없이 종양 세포에 자발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면역감시기능을 담당한다. 자연살해세포의 표적 세포의 공격은 gangliosides에 의해 저지되는 점으로 보아 이 물질이 자연살해세포의 자연 수용체로 생각된다.
참고자료
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임상병리과 면역혈청학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