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하나님 나라적 교회 이해
2. 성경과 특히 성경의 충족성에 충실한 교회 이해
3. 성경적 기독론의 토대에 서 있는 교회론
4. 성경적 예배에 충실한 교회론
5. 성경적 성령님의 능력 아래 있는 교회 이해
6. 성경적 사명에 충실한 교회 이해
Ⅲ. 결론
Ⅱ. 본론
1. 하나님 나라적 교회 이해
2. 성경과 특히 성경의 충족성에 충실한 교회 이해
3. 성경적 기독론의 토대에 서 있는 교회론
4. 성경적 예배에 충실한 교회론
5. 성경적 성령님의 능력 아래 있는 교회 이해
6. 성경적 사명에 충실한 교회 이해
Ⅲ. 결론
본문내용
고 그 성장은 공동의 것이다: “그들은 함께 자라간다”(growth together, 141=159). 또한 양육은 선교를 낳고 선교 가운데서 진행된다는 것도 클라우니는 강조한다: “만약 다른 사람들을 구주께로 모으려는 우리의 노력에 자녀들을 참여시키지 못한다면, 우리의 자녀들을 주님의 양육으로 키우지 못할 것이다”(160=181). 이와 같이 클라우니는 선교를 중심으로 하는 교회의 사역도 매우 강조한다. 클라우니는 서문에서부터 “2000년대의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구도자들의 편의를 추구하는’(seeker-friendly) 데서 더 나아가서 구도자들에게 보내진(Seeker-sent) 교회, 즉 사람들에게 십자가의 복음을 전하도록 주님으로부터 보냄을 받은 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9=9). 때로는 구도자 중심의 노력이 그들의 이의 제기의 대상이 될 수 도 있다는 것을 잘 지적하는 것이다(117=133).
“보편 교회로서의 교회는, 지구라는 행성에 사는 종족들과 민족들을 사랑의 교제로 묶는 새 인류를 온 세상 앞에 제시하라는 부르심을” 받기 때문이다(92=106, 개혁파적 성격을 잘 드러내는 클라우니적 Missio Dei 개념 제시로 Clowney, The Church, 158f.=179, 177=199, 186=209를 보라.). “교회의 선교적 사명은 온 세계를 지향한다. 교회의 정체는 선교를 통하여 보편성으로 귀결된다”(93=107). “선교를 등한히 하는 회중은 쇠약해지고 곧 내적인 불화로 붕괴된다. 그런 교회는 필연적으로 결코 진군하지 않는 자들을 위하여 매일 아침 복음의 나팔 소리를 듣고 환멸을 느끼는 청년들을 잃어버릴 것이다”(160=180f.).
Ⅲ. 결론
이 모든 개혁파적 교회론의 특성은 모두가 다 매우 의식적으로 성경적이라는 점이 매우 중요한 측면이다. 개혁파 그리스도인들이 예부터 그리 표현해 온 바와 같이 개혁파적인 것은 성경적인 것일 뿐이라는 것이 클라우니의 교회론 제시에서도 드러난다. 따라서 그들은 자신들의 교회론을 성경의 가르침에 비추어서 항상 고치려고 노력한다(성경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클라우니의 교회론 제시 과정 가운데서 다시 생각해 볼만한 점들은 이미 이전의 이 책에 대한 서평에서 밝힌 바 있다. Cf. 이승구, “현대 상황에서의 개혁파 교회론의 제시를 칭송하며,” <개혁신학탐구> , 특히 469-77을 보라.). 이제 우리들이 생각해야 할 것은 우리들의 교회론과 우리들의 교회 현실이 이런 개혁파적인 교회론에 비추어 과연 어떤 것인지를 잘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첫째는 우리의 교회론을 이와 같은 개혁파적인 교회론에 비추어 성경적인 교회론이 되어 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는 그런 교회론에 근거하여 우리의 현실 교회를 개혁해 가는 일을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이 시대에 이 한국 상황에서 감당해야 할 사명이다. 마치 클라우니 교수가 그의 상황 가운데서 이 작업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한 것과 같이 말이다. 우리 모두가 이 사명을 제대로 감당해 갈 수 있기 원한다.
“보편 교회로서의 교회는, 지구라는 행성에 사는 종족들과 민족들을 사랑의 교제로 묶는 새 인류를 온 세상 앞에 제시하라는 부르심을” 받기 때문이다(92=106, 개혁파적 성격을 잘 드러내는 클라우니적 Missio Dei 개념 제시로 Clowney, The Church, 158f.=179, 177=199, 186=209를 보라.). “교회의 선교적 사명은 온 세계를 지향한다. 교회의 정체는 선교를 통하여 보편성으로 귀결된다”(93=107). “선교를 등한히 하는 회중은 쇠약해지고 곧 내적인 불화로 붕괴된다. 그런 교회는 필연적으로 결코 진군하지 않는 자들을 위하여 매일 아침 복음의 나팔 소리를 듣고 환멸을 느끼는 청년들을 잃어버릴 것이다”(160=180f.).
Ⅲ. 결론
이 모든 개혁파적 교회론의 특성은 모두가 다 매우 의식적으로 성경적이라는 점이 매우 중요한 측면이다. 개혁파 그리스도인들이 예부터 그리 표현해 온 바와 같이 개혁파적인 것은 성경적인 것일 뿐이라는 것이 클라우니의 교회론 제시에서도 드러난다. 따라서 그들은 자신들의 교회론을 성경의 가르침에 비추어서 항상 고치려고 노력한다(성경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클라우니의 교회론 제시 과정 가운데서 다시 생각해 볼만한 점들은 이미 이전의 이 책에 대한 서평에서 밝힌 바 있다. Cf. 이승구, “현대 상황에서의 개혁파 교회론의 제시를 칭송하며,” <개혁신학탐구> , 특히 469-77을 보라.). 이제 우리들이 생각해야 할 것은 우리들의 교회론과 우리들의 교회 현실이 이런 개혁파적인 교회론에 비추어 과연 어떤 것인지를 잘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첫째는 우리의 교회론을 이와 같은 개혁파적인 교회론에 비추어 성경적인 교회론이 되어 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는 그런 교회론에 근거하여 우리의 현실 교회를 개혁해 가는 일을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이 시대에 이 한국 상황에서 감당해야 할 사명이다. 마치 클라우니 교수가 그의 상황 가운데서 이 작업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한 것과 같이 말이다. 우리 모두가 이 사명을 제대로 감당해 갈 수 있기 원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