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지방자치단체의 관광정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지방자치단체의 관광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관광개발의 정의 및 의의
2. 지자체 관광정책의 문제점
3. 지역 잠재력의 활용
4. 주민참여와 조직화
5. 지역산업과 관광의 연계
6. 마을단위 관광개발
7. 국내외 선행 사례
8.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1991), 거제도지역의 관광개발과 주민에 대한 관광교육문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민창기의 연구(1992)와 한려해상국립공원지역에 대한 한상일의 연구(1993) 등이 있다(한상일, 1993). 관광의 환경적 효과도 사회문화적 효과와 마찬가지로 주민의 반응이 객관적이지 못하고 보편적 견해가 없지만 고용창출, 소득증가 등과 같은 경제적인 문제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면서 교통혼잡과 같은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을 Florida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 밝히고 있다(Milman & Pizam, 1988: 192). 주민 반응이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영국의 북 Wales지방을 대상으로 조사한 Sheldon과 Var(1984)의 연구결과와 Hawaii에 대한 Liu와 Var(1984)의 조사결과에 대한 비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관광에 의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은 하와이지역에서는 환경문제 보다 생활수준의 향상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관광이 지역소득의 15. 3%를 점하고 있는 북 웨일즈지방에서는 환경문제가 경제적 문제 보다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Liu, Sheldon & Var, 1987: 20-22).
8. 결론
이제 몇 개월 후면 지역 단체장을 선출하는 선거가 있다. 더불어 수많은 지역관광에 대한 선거공약들이 펼쳐질 것이다. 그러나 비슷비슷한 공약들로 전국이 박제화 된 관광지가 되지 않을까하는 우려를 자아낸다. 지역의 경쟁력과 지역민 그리고 관련 시설과 이벤트가 지역관광을 이끌어 가는 중요한 요소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사람이다. 지역의 향기를 전해주고 지속적인 관계를 이어줄 수 있는 것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여행은 관계를 맺는 거라고 한다. 이 관계가 지역의 경쟁력을 높여주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켜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민의 관심과 진정한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지역민의 마음을 살 수 있는 진실이 담긴 공약들을 기대해 본다.
참고자료
Harold D. Lasswell, "The Policy Orientation", in Daniel Lerner & Harold D. Lasswell (eds.), The Policy Sciences (Stanford, CA : Stanford Uni. Press, 1951), pp.3-15. ; 안종윤, 『관광정책론』(서울 : 박영사, 1998), 370쪽에서 재인용.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3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