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려면 어떠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그 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


1. 측정의 오류
1)체계적 오류
2) 무작위 오류 (random error)
3) 측정 오류의 확인

2. 측정의 타당도
1) 내용 타당도 (content validity):
2)구성 타당도(construct validity):
3)기준 타당도(criterion validity)

3. 측정의 신뢰도(reliability)
1) 신뢰도의 성격

4. 타당도와 신뢰도의 차이 및 특징

본문내용

는 것
외부 기준을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타당도를 확인한다는 것이 기준 타당도의 중요한 장점

3. 측정의 신뢰도(reliability)
신뢰도란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한 값을 계속해서 산출해내고 있는지를 보는 것(즉, 측정값들의 일관성을 의미)
1) 신뢰도의 성격
신뢰도는 측정에서의 일관성을 의미하는 것
어떤 측정에 대해 신뢰도가 높다고 하면, 그것은 동일한 대상에 대한 측정 결과들이 일관성 있게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는 뜻
예) 사람들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이 있다. 이 저울을 측정 도구로 해서 똑같은 사람이연속해서 도합 5번의 몸무게 측정을 했는데, 각각 70kg,72kg, 69kg, 73kg, 71kg으로 나왔다 하자. 이런 경우에 우리는 저울의 신뢰도가 없다고 한다. 이를 두고 저울의 타당도가 없다고 하지는 않는다.

4. 타당도와 신뢰도의 차이 및 특징
신뢰성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
신뢰성은 타당성을 위한 기본적인 전제조건임
사회과학에서 사용되는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의미 있는 실험결과를 얻으려면 타당성은 물론이지만 측정도구의 신뢰성이 높아야 한다. 신뢰성이 낮은 측정의 타당성을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신뢰성이 높다고 해서 타당성이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님
(A): 일관되게 과녁을 맞추기는 했으나 엉뚱한 곳을 맞춘 것이므로, 신뢰도는 있으나 타당도가 없는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
(B): 일관성이 없어 신뢰도가 없고, 핵심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타당도도 없는 경우를 나타낸 것
(C): 신뢰도와 타당도가 모두 갖추어진 경우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3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