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국가적으로 아무런 노후대책 없이 지내오다가 이제 노인문제는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된 듯 하다. 노인문제에 대한 정책방향의 설정과 정책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급속한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선진국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노인 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젊은 세대들의 의식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효 사상이나 노인공경 사상을 강조하고 젊은이들의 의식구조나 행동규범만을 비판하고 각성을 요구하는 수준으로는 노인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젊은이들의 의식개혁 없이 정책적인 면에서만 노인복지가 이루어진다면 노인들은 삶을 영위하는데는 풍족하고 불편함이 없을지 모르나 과연 행복한 삶을 누린다고 생각을 할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 노인은 우리 사회에서 존경받고 편안하게 주어진 것들을 누리면서 행복하게 자기 인생을 마무리 할 수 있는 그런 존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복지. 완벽한 정책만으로도, 또는 의식의 개혁만으로도 이루어 질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이 둘의 조화 속에서 우리의 노인복지는 바로 설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노인복지. 완벽한 정책만으로도, 또는 의식의 개혁만으로도 이루어 질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이 둘의 조화 속에서 우리의 노인복지는 바로 설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추천자료
노인 복지
덴마크 노인복지정책을 통한 우리나라 노인복지의 개선방안
[노인복지][노인복지정책]노령화사회의 양상, 노인의 개념, 노인의 특성, 노인문제, 노인복지...
[노인복지][노인복지정책][노인문제][노인복지서비스][노인복지프로그램]노인문제 해결을 위...
고령화 사회와 노인문제와 해결 방안
(A+, 노인복지정책방향)한국사회의 노인복지 문제점과 개선방안
(A+, 노인복지정책방향)한국사회의 노인복지 문제점과 개선방안
미국의 재가노인복지사업 발전과정과 재가노인복지 서비스 내용 및 재가노인복지정책
사회복지정책과정의 모델들, 사회복지정책의 결정과정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 분석 및 사회복지정책결정 과정
보육정책(保育政策)과 보육종사자(保育從事者)의 역할 {복지 이념과 복지정책, 보육정책결정 ...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 급여의 형태 중 현물 현금 바우처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 노인...
사회복지정책의 결정과정에 대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