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 죽어도 좋아
2. 노인의 성에대한 사회적 인식
3. 독신의 성과 노인실버재혼
4. 노년기의 성 정체감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2. 노인의 성에대한 사회적 인식
3. 독신의 성과 노인실버재혼
4. 노년기의 성 정체감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눈길로 감싸 안을 때 우리는 이 영화를 아름답다고 말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죽어도 좋아’를 보면서 느낀 또 다른 한 가지는 노인문제에 대한 인식 재정립과 함께 노인문제가 우리들의 생활 속에 아주 깊이 들어와 있으며 그것이 조만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것이란 사실이다. 영화에서 이런 현실을 유추해낸다는 것이 약간 어색하지만 이미 우리들의 눈앞에 와있는 현실이지만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눈을 돌리지 못하고 있는 상태가 바로 현재의 우리 사회라는 생각이 이 영화를 보면서 느낀 안타까움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서서히 노인국가에 들어서고 있어서 불과 몇 년 후면 생산인구가 부양해야 할 인구가 지금보다 엄청나게 늘어나게 될 것이 확실하다. 거기에다 낮은 출산율로 인하여 인구가 줄어들고 있으니 진퇴양난의 처지에 놓인 것이 지금의 우리 현실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정치권에서는 선거 때를 제외하고는 노인문제를 정식으로 거론하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인 만큼 노인문제를 노인의 시각에서 다룬 ‘죽어도 좋아’는 여러 가지 생각을 하도록 하는데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인정하면서 그들에게 활력을 찾아주게 되면 훨씬 더 젊은 모습으로 노인들은 삶을 살아가게 될 것이다. ‘죽어도 좋아’가 만들어진지 상당한 시간이 지난 뒤에야 극장에서 개봉되었는데, 영화를 보고 나서 광고벽보를 다시 보니 영화에 나오던 할아버지 할머니의 모습이 아닌 50대의 중년 부부가 이불을 한 몸에 두르고 웃고 있지 않은가?
참고문헌
김영경, 노인의 성문제, 노인상담,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7
참고문헌
김영경, 노인의 성문제, 노인상담,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7
추천자료
[노인복지론] 독거노인의 실태와 문제점과 해결대책 및 나의 제언 - 독거노인 의미와 특성, ...
[노인 복지론] 노인복지법 - 노인복지법의 개요와 노인복지법의 주요 내용
[노인 복지론] 노인소득보장 - 노인소득보장 정책의 이해와 노인소득보장 방법
[노인 복지론] 노인의료보장 - 노인의료보장의 필요성과 노인의료보장의 법적 제정 과정 및 ...
[노인복지론] 노인장기요양보험 -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내용 및 대...
[노인복지론] 노인주택보장 - 노인주택의 이해, 노인주택의 특성과 유형, 노인주택보장의 원...
[노인복지론] 노인복지 실천 방법 - 노인복지실천에 대한 이해와 노인복지실천의 개입
[노인복지론] 노인복지실천 서비스의 이해 - 노인 시설보호서비스(노인복지시설의 이해와 유...
[노인복지론]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의사소통의 개념과 목적 및 과정과 유형)와 노인상담의 ...
[노인 복지론] 노인복지의 이해 - 노인복지의 정의와 노인복지의 필요성 및 노인복지사업의 ...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사회문제, 빈곤노인, 노인복지, 독거노인, 장애노인)
고령화와 퇴직노인교육 (노인 교육의 개념 및 정의, 노인 교육의 필요성, 노인 교육의 현황, ...
[노인교육론 공통] 노인교육프로그램 하나를 선정 (1) 현황, 내용, 교육방법 등을 조사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