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주경에 이르며 영아는 꾸르륵하고 목 울리기 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식사 후 혹은 아기가 좋아하는 대상물이나 미소 짓는 얼굴을 바라보면서 꾸르륵 소리를 내며 좋아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영아의 이러한 발성은 기쁨이나 즐거움의 표현일 것으로 생각된다. 최초의 목 울리는 소리는 모음과 비슷하나 생후 3~4개월경에 이루면 자음이 삽입된다.
(3) 옹알이
성대로 공기를 내보내는 조절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자신의 의도대로 ‘바바’ ‘다다’ 등의 자음과 모음을 구성하여 옹알거리게 된다. 옹알이는 일종의 음성 연습으로 볼 수 있는데. 생후 6~8개월에는 절정에 이르렀다가 대개의 경우 1년이 지나면 점차 감소하게 된다. 옹알이는 발성연습의 효과가 있다. 옹알이를 함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 욕구가 자극되며, 자신이 사회집단의 일원임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모국어의 음소를 획득하게 된다.
반면에 농아나 부모가 청각장애를 가진 경우 영아는 옹알이를 못한다. 그 이유로는, 청각적 피드백이 요구 되지 못하기 때문이며 성인의 발성을 모방할 수 없고 영아의 발성에 응답해줄 수 없기 때문이다.
(4) 몸짓말
영아는 옹알이와 함께 자신의 감정을 몸짓으로 보충하며 부족한 어휘를 보완시키려는 노력을 한다.
2) 영아기의 의사소통
유아어란 성인이 어린 아동에게 이야기 할 때 사용하는 독특한 언어 구사법으로, 높은 소리로 말하나 때로는 속삭이고, 때로는 소리 지름으로써 급격한 벽화를 나타내고 과장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어머니들은 아기에게 이야기할 때, 짤막하고 간단한 문장을 반복해서 이야기하며 자주 노래 부르듯이 말한다.
3) 첫 단어, 한 단어 문장
생후 1세쯤 되면 영아는 하나의 단어로 의사소통을 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흔히 사용되는 단어는 ‘엄마’, ‘아빠’다. 이러한 단어는 명사 그 자체의 뜻이 아니라 이 하나의 단어가 상황에 따라서 여러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배고플 때의 ‘엄마’는 “엄마 젖 춰” 이고, 엄마에게 혼났을 때 ‘엄마’는 “엄마 미워”의 뜻이다. 즉, 영아가 사용하는 하나의 낱말은 단어가 아니라 의미가 담긴 문장인 것이다. 그래서 이를 일어문 또는 한 단어 문장이라고도 한다. 아기의 한 단어 문장은 흔히 말과 동작이 동시에 나타난다.
[p. 193 표 6-7 영아기의 언어발달 참고]
참.고.문.헌
- 영유아기 발달. 양서원
- 아동발달. 안영진 저. 공동체
- 아동발달. 장휘숙 저. 博英社
(3) 옹알이
성대로 공기를 내보내는 조절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자신의 의도대로 ‘바바’ ‘다다’ 등의 자음과 모음을 구성하여 옹알거리게 된다. 옹알이는 일종의 음성 연습으로 볼 수 있는데. 생후 6~8개월에는 절정에 이르렀다가 대개의 경우 1년이 지나면 점차 감소하게 된다. 옹알이는 발성연습의 효과가 있다. 옹알이를 함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 욕구가 자극되며, 자신이 사회집단의 일원임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모국어의 음소를 획득하게 된다.
반면에 농아나 부모가 청각장애를 가진 경우 영아는 옹알이를 못한다. 그 이유로는, 청각적 피드백이 요구 되지 못하기 때문이며 성인의 발성을 모방할 수 없고 영아의 발성에 응답해줄 수 없기 때문이다.
(4) 몸짓말
영아는 옹알이와 함께 자신의 감정을 몸짓으로 보충하며 부족한 어휘를 보완시키려는 노력을 한다.
2) 영아기의 의사소통
유아어란 성인이 어린 아동에게 이야기 할 때 사용하는 독특한 언어 구사법으로, 높은 소리로 말하나 때로는 속삭이고, 때로는 소리 지름으로써 급격한 벽화를 나타내고 과장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어머니들은 아기에게 이야기할 때, 짤막하고 간단한 문장을 반복해서 이야기하며 자주 노래 부르듯이 말한다.
3) 첫 단어, 한 단어 문장
생후 1세쯤 되면 영아는 하나의 단어로 의사소통을 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흔히 사용되는 단어는 ‘엄마’, ‘아빠’다. 이러한 단어는 명사 그 자체의 뜻이 아니라 이 하나의 단어가 상황에 따라서 여러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배고플 때의 ‘엄마’는 “엄마 젖 춰” 이고, 엄마에게 혼났을 때 ‘엄마’는 “엄마 미워”의 뜻이다. 즉, 영아가 사용하는 하나의 낱말은 단어가 아니라 의미가 담긴 문장인 것이다. 그래서 이를 일어문 또는 한 단어 문장이라고도 한다. 아기의 한 단어 문장은 흔히 말과 동작이 동시에 나타난다.
[p. 193 표 6-7 영아기의 언어발달 참고]
참.고.문.헌
- 영유아기 발달. 양서원
- 아동발달. 안영진 저. 공동체
- 아동발달. 장휘숙 저. 博英社
추천자료
영아기의 신체발달,인지발달.사회성발달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연령별 발달영역별 영유아기 발달특성 - 영아기 발달 특성, 2~5세 유아의 발달 특성
[영유아嬰乳兒발달] 영아기 언어발달 - 언어 전기, 13-24개월 언어발달, 언어발달...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영아기의 발달(嬰兒期 發達) - 신체발달, 운동발...
[영아기의 애착발달] 영아기 애착발달이론 및 애착형성단계, 애착의 유형, 영아의 애착반응
[영유아infants교수방법] 출생부터 만2세까지(영아기 발달)의 영역별 발달과정(신체적 발달, ...
[아동상담] 영유아 연령별 발달 특징에 대해 논하시오 (영아기의 발달 특징, 걸음마기의 발달...
영아기 인성발달이론(영아기의 인성발달 - 프로이드의 심리성적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영아기 인지발달] 영아의 기억력과 지연모방, 영아기 지적발달의 개인차
영아기 지각발달 - Gibson(깁슨)의 지각발달이론(생태학적 접근), 영아기 시각능력 및 청각능력
[보육학개론] 영아기의 발달 특성인 신체 및 운동 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사회...
영아기 언어발달(영아의 언어발달단계, 언어발달이론)
영유아기 언어발달(언어발달이론, 영아기-유아기-아동기 언어발달, 양육태도가 언어발달에 미...
영아기 정서발달 및 애착발달(영아의 정서분화, 애착행동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