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와 황금박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지개와 황금박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무지개와 황금박쥐입니다

본문내용

이 보라색이다.
무지개 관련 사진1
리우데자네이루 상공의 무지개
무지개 관련 사진2
이구아수폭포의 무지개
▶ 황금박쥐 : 박쥐목[翼手目] 애기박쥐과의 포유류.

동물

척색동물

포유류

박쥐목

애기박쥐과
멸종위기등급
평가불가
크기
몸통길이-42.75∼56.55mm,
앞팔길이-42.55∼51.5mm,
꼬리길이-36.6∼56.1mm,
귀길이-13.15∼19mm
서식장소
동굴, 대나무밭이나 수풀 속, 고목의 둥치
분포지역
한국, 일본의 쓰시마섬, 타이완, 필리핀, 동아프가니스탄, 북인도
본문1
오렌지윗수염박쥐 또는 황금박쥐라고도 한다.
모습이 예쁘고 귀엽다.
몸통길이 42.75∼56.55mm, 앞팔길이 42.55∼51.5mm,
꼬리길이 36.6∼56.1mm, 귀길이 13.15∼19mm이다.
몸에는 양털 같은 털이 있으나 광택이 없다.
몸에 난 털과 날개·귓바퀴의 골격 부분 등은 오렌지색이고 귓바퀴와 날개막은 검은색이다. 뒷발은 검은색으로 작다. 귓바퀴는 가늘고 길며 약간 굽어 있다. 날개막은 다리의 바깥쪽으로 약간 튀어나와 있다.
동굴에서 생활하며 11월에서 다음해 3월까지 여기에서 겨울잠을 잔다. 여름에는 대나무밭이나 수풀 속, 고목의 둥치 등에서 쉬기도 한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나뭇가지나 동굴 속에서 쉬고 밤에 먹이활동을 한다. 주된 먹이는 곤충이다. 5마리 정도가 작은 무리를 이루어 지낸다.
서식지에 사람들의 손길이 닿으면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어 환경부에서 멸종위기동물 1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전국적으로 적은 수가 발견되었으며 일본의 쓰시마섬, 타이완, 필리핀, 동아프가니스탄, 북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2005년 3월 17일 천연기념물 제452호로 지정되었다.
본문2
학명은 붉은 박쥐.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붉은박쥐는 몸길이 4.3~5.7㎝로 진한 오렌지색 몸통에 날개부분이 검은색을 띠고 있다. 그래서 황금박쥐, 오렌지웃수염 박쥐 등의 별명으로 불린다.
여름에는 삼림에서 지내므로 잎이 무성한 나뭇가지나 대나무밭에 1 내지 10 개체가 거꾸로 매달려 휴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겨울에는 습도가 높고 따뜻한 동굴에서 1개체씩 따로 떨어져 동굴에서 동면한다.
황금박쥐는 암컷과 수컷의 비율이 1대 40으로 극히 불균형적인데다 환경오염과 난개발에 따른 생태계 파괴 등으로 개체수가 줄어 멸종위기에 처한 세계적인 희귀종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멸종위기 동물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중국 남부와 일본 대마도 등지에서 10마리 미만의 채집기록이 남아있을 뿐이었는데, 지난 99년 함평군 고산봉 일대의 동굴에서 집단동면하고 있는 황금박쥐가 처음 발견되어 EBS 자연다큐멘터리 제작팀과 한국생태계연구협회측에 의해 촬영되었다.
이후 계속해서 황금박쥐 100여 마리가 고산봉 일대 동굴에서 겨울잠을 잔 것으로 확인되어, 황금박쥐가 집단서식해 온 사실이 확인됐으며, 이 일대 지역이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붉은박쥐 관련 사진1
금암리 황금박쥐 서식지 폐광입구
붉은박쥐 관련 사진2
금암리 황금박쥐 서식지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51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