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류의 성격
2. 한류의 가치
3. 한류의 의미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한류의 성격
2. 한류의 가치
3. 한류의 의미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p.195.
그리고 그것은 한류를 매개로 하여 미래에 동아시아 문화네트워크에서 우리나라가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지도 파악하게 해줄 것이다. 따라서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반(反)한류에 대한 이해와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그 과정과 원인을 고찰하여, 관련기업이나 기관이 콘텐츠 개발과 정책 수립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반(反)한류 재발방지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박상현, 앞의 책, p.173.
Ⅲ. 결론
지금까지 한류문화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류열풍은 언제까지고 지속되는 영원한 열풍이 아니다. 현재 한류가 드라마라는 한 장르에만 국한되어있고, 일본과 중국이라는 장소에 국한되어있는 점으로 보아 심도있는 논의를 통한 구체적 대안이 없으면 향후 몇 년이 지나, 한류열풍이라는 이름은 한때의 얘기로 묻혀버릴 것이다. 사람은 항상 새로운 것에 목마르다. 신선하면서도 친근한 장르를 개척해야하며 폭넓은 장르에 걸쳐 전반적인 문화콘텐츠의 다양화가 시급하다. 또한 중국과 일본을 넘어 아시아에의 한류의 정착이 필요하다. 현실 직시와 함께 경각심을 갖고, 수준 높은 연구와 논의를 병행하여 대책을 강구했을 때, 한류열풍은 그 이름을 지속해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상배, 「기획주제 : 문화와 국제정치 ; 한류의 매력과 동아시아 문화네트워크」, 『세계정치(구 국제문제연구)』 Vol.28, No. 1,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07, p.194.
정수영, 「열성 한류 팬을 통해 본 한류의 의미 및 한일관계 전망」, 『미디어,젠더&문화』 제11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4, p.76.
그리고 그것은 한류를 매개로 하여 미래에 동아시아 문화네트워크에서 우리나라가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지도 파악하게 해줄 것이다. 따라서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반(反)한류에 대한 이해와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그 과정과 원인을 고찰하여, 관련기업이나 기관이 콘텐츠 개발과 정책 수립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반(反)한류 재발방지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박상현, 앞의 책, p.173.
Ⅲ. 결론
지금까지 한류문화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류열풍은 언제까지고 지속되는 영원한 열풍이 아니다. 현재 한류가 드라마라는 한 장르에만 국한되어있고, 일본과 중국이라는 장소에 국한되어있는 점으로 보아 심도있는 논의를 통한 구체적 대안이 없으면 향후 몇 년이 지나, 한류열풍이라는 이름은 한때의 얘기로 묻혀버릴 것이다. 사람은 항상 새로운 것에 목마르다. 신선하면서도 친근한 장르를 개척해야하며 폭넓은 장르에 걸쳐 전반적인 문화콘텐츠의 다양화가 시급하다. 또한 중국과 일본을 넘어 아시아에의 한류의 정착이 필요하다. 현실 직시와 함께 경각심을 갖고, 수준 높은 연구와 논의를 병행하여 대책을 강구했을 때, 한류열풍은 그 이름을 지속해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상배, 「기획주제 : 문화와 국제정치 ; 한류의 매력과 동아시아 문화네트워크」, 『세계정치(구 국제문제연구)』 Vol.28, No. 1,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07, p.194.
정수영, 「열성 한류 팬을 통해 본 한류의 의미 및 한일관계 전망」, 『미디어,젠더&문화』 제11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4, p.7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