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말머리
Ⅱ. 한류 열풍의 현황
1. 동북아시아에서 한류
1)한국 드라마의 한류
① 중국에서의 한류
② 일본에서의 한류
2) 한국 가요의 한류
2. 유럽과 미국에서의 한류
Ⅲ. 한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
1. 상호국가간의 문화교류
2. 우리나라의 고유문화 홍보
Ⅳ. 마무리
Ⅱ. 한류 열풍의 현황
1. 동북아시아에서 한류
1)한국 드라마의 한류
① 중국에서의 한류
② 일본에서의 한류
2) 한국 가요의 한류
2. 유럽과 미국에서의 한류
Ⅲ. 한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
1. 상호국가간의 문화교류
2. 우리나라의 고유문화 홍보
Ⅳ. 마무리
본문내용
직원)는 한류 드라마를 좋아하는 이유를 8가지로 들었다. 그 중 극본과 시나리오의 우수성에서의 소개의 광범위함과 주제의 건강함을 첫째로 들어 인물들이 아주 입체적이어서 생활 주변에서 접하는 일들이나 사람들과 흡사함을 말했다. 그리고 한국인이 다른 민족 같지 않고 공자의 예교가 중국보다 더 잘 전승돼 있어서 문화 배경이 비슷함 또한 들었다.
또 연기자들의 프로정신을 들었다. 한국의 미남, 미녀들이 자신의 외모에 집착하지 않고 좋은 연기에 노력하는 것이 보기 좋다고 하였다. 이용욱, <한류 드라마 열풍에 중국인들의 시각차 극과 극>, 마이데일리, 2005, 8, 17.
이 외에도 랴오닝 문학원 작가 장충제도 한국 드라마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천저우와 마찬가지로 동양의 문화 전통과 남녀, 가족, 친구간의 사랑을 주제로 과장하지 않음을 들었다. 또 한국 드라마를 통해서 중국의 젊은이들이 지금은 힘들고 어려워도 노력하면 성공 할 수 있다는 마음을 지닐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정주호, 앞의 글.
중국에서 한류에 열광하는 연령대는 바로 젊은층이다. 그 이유는 바로 드라마에 등장하는 많은 미남, 미녀 스타들 때문이다.
중국 젊은층에서 한 순간 밀려들어온 많은 한류 연예인들의 서구적인 외모에 관심이 가게 되고, 또 그들이 입는 옷과 머리 스타일 등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그들이 중국에서 한류에 열광하는 주 연령대가 된 것이다. 그리고 현재는 중국에서 방송한 <대장금>이 유행을 일으키고 있다. 10월 15일 이미 종결을 했지만 그 열기는 좀처럼 식을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 30여개의 도시에서 한 달 보름 정도 방송하면서 평균 시청률 14%대를 기록했고, 총 1억 6,300만 명의 중국인이 <대장금>을 시청했다. 심지어는 후진타오 중국 국가 주석이 “(<대장금>을) 바빠서 전부 볼 수 없는 것이 정말 애석하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김용습, <‘대장금’, 중국에서 대단원의 막>, 스포츠서울, 2005, 10, 17.
그리고 <대장금>의 방송으로 인해 중국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에서 한국 음식이 알려지고 한국 요리책이 엄청나게 팔려나가고 있다.
홍콩에서는 대한 항공 기내식 비빔밥이 ‘장금식’, ‘대장금식’ 등으로 불리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또 이로 인해 중국 주부들이 짓기를 꺼려하던 밥을 나서서 짓기 시작하고 또 한국 음식 배우기에 나서기도 한다. 또 한국의 온돌 문화, 웨딩 촬영에서도 한복 차림으로 하는 등 많은 변화가 생겨나고 있다. 온기홍, <한국 드라마, 중국인 삶 바꾼다>, 미디어다음, 2005, 10, 10.
이처럼 한류는 현재 13억의 중국, 중국인의 삶을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고 있다. 온기홍, <2005 중국을 휩쓴 ‘한류’들>, 미디어다음 2005, 12, 31.
② 일본에서의 한류
일본에서의 한류 열풍도 중국 못지않게 불고 있다. 일본에서의 한류 열풍은 <가을동화>에서부터 시작된다. <가을동화>을 통해 원빈, 송승헌, 송혜교 등의 한류 스타가 탄생하였고, 그 뒤로 <이브의 모든 것>이 일본 일부 지역에서 방송되었다. 그리고 2003년 윤석호 작가의 <겨울연가>를 통해 일본을 마침내 한류 열풍의 도가니 속으로 빠지게 만들었다. <겨울연가>는 현재까지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드라마이다. 2002년 3월 19일 종방일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제작비는 29억 8,000만원이 들었지만, TV광고, 음반, DVD, 촬영지 여행 상품 수출 등을 통해 104억 5,000만원의 순수익을 올렸다. 그리고 배용준은 일본에서 ‘욘사마’ 열풍을 일으켜 220억 원의 직접 순이익도 올렸다. 문화관광부.
하지만 이처럼 현재 일본의 한류 열풍의 대표주자인 욘사마(배용준)을
또 연기자들의 프로정신을 들었다. 한국의 미남, 미녀들이 자신의 외모에 집착하지 않고 좋은 연기에 노력하는 것이 보기 좋다고 하였다. 이용욱, <한류 드라마 열풍에 중국인들의 시각차 극과 극>, 마이데일리, 2005, 8, 17.
이 외에도 랴오닝 문학원 작가 장충제도 한국 드라마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천저우와 마찬가지로 동양의 문화 전통과 남녀, 가족, 친구간의 사랑을 주제로 과장하지 않음을 들었다. 또 한국 드라마를 통해서 중국의 젊은이들이 지금은 힘들고 어려워도 노력하면 성공 할 수 있다는 마음을 지닐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정주호, 앞의 글.
중국에서 한류에 열광하는 연령대는 바로 젊은층이다. 그 이유는 바로 드라마에 등장하는 많은 미남, 미녀 스타들 때문이다.
중국 젊은층에서 한 순간 밀려들어온 많은 한류 연예인들의 서구적인 외모에 관심이 가게 되고, 또 그들이 입는 옷과 머리 스타일 등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그들이 중국에서 한류에 열광하는 주 연령대가 된 것이다. 그리고 현재는 중국에서 방송한 <대장금>이 유행을 일으키고 있다. 10월 15일 이미 종결을 했지만 그 열기는 좀처럼 식을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 30여개의 도시에서 한 달 보름 정도 방송하면서 평균 시청률 14%대를 기록했고, 총 1억 6,300만 명의 중국인이 <대장금>을 시청했다. 심지어는 후진타오 중국 국가 주석이 “(<대장금>을) 바빠서 전부 볼 수 없는 것이 정말 애석하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김용습, <‘대장금’, 중국에서 대단원의 막>, 스포츠서울, 2005, 10, 17.
그리고 <대장금>의 방송으로 인해 중국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에서 한국 음식이 알려지고 한국 요리책이 엄청나게 팔려나가고 있다.
홍콩에서는 대한 항공 기내식 비빔밥이 ‘장금식’, ‘대장금식’ 등으로 불리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또 이로 인해 중국 주부들이 짓기를 꺼려하던 밥을 나서서 짓기 시작하고 또 한국 음식 배우기에 나서기도 한다. 또 한국의 온돌 문화, 웨딩 촬영에서도 한복 차림으로 하는 등 많은 변화가 생겨나고 있다. 온기홍, <한국 드라마, 중국인 삶 바꾼다>, 미디어다음, 2005, 10, 10.
이처럼 한류는 현재 13억의 중국, 중국인의 삶을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고 있다. 온기홍, <2005 중국을 휩쓴 ‘한류’들>, 미디어다음 2005, 12, 31.
② 일본에서의 한류
일본에서의 한류 열풍도 중국 못지않게 불고 있다. 일본에서의 한류 열풍은 <가을동화>에서부터 시작된다. <가을동화>을 통해 원빈, 송승헌, 송혜교 등의 한류 스타가 탄생하였고, 그 뒤로 <이브의 모든 것>이 일본 일부 지역에서 방송되었다. 그리고 2003년 윤석호 작가의 <겨울연가>를 통해 일본을 마침내 한류 열풍의 도가니 속으로 빠지게 만들었다. <겨울연가>는 현재까지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드라마이다. 2002년 3월 19일 종방일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제작비는 29억 8,000만원이 들었지만, TV광고, 음반, DVD, 촬영지 여행 상품 수출 등을 통해 104억 5,000만원의 순수익을 올렸다. 그리고 배용준은 일본에서 ‘욘사마’ 열풍을 일으켜 220억 원의 직접 순이익도 올렸다. 문화관광부.
하지만 이처럼 현재 일본의 한류 열풍의 대표주자인 욘사마(배용준)을
추천자료
문화와 국가경쟁력 - 한류현상과 문화정책
탈냉전이후 미국과 유럽간의 갈등과 안보협력의 정치경제학
한일간 대중문화의 수용과 일본내 한류열풍을 통해 본 한일관계의 변화
겨울연가를 통해 본 한류(韓流)열풍
겨울연가 텍스트의 해석과 수용을 중심으로 살펴본 일본의 한류 열풍
미국과 유럽의 안보관계
문화비평을 통해 본 일본의 한류 -드라마 <겨울연가>를 중심으로
[문화]문화 콘텐츠 사업으로써 한류가 러시아에서 발전 가능성 고찰
국제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본 한류
[제2차세계대전 이후][미국경제][한국경제][일본경제][소련경제]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미국경...
세계의 역사1B) 2013년 한 해 동안 중국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현상들 중 하나를 선택, 관련된...
중국인 관광객 유치전략-중국인의 관광 추세,관광마케팅전략사례,한류마케팅
[글로벌 미디어 산업론] SM엔터테인먼트 소셜 마케팅 분석 - SM엔터테인먼트,SNS마케팅 전략,...
한일 문화외교의 쟁점과 한류로 본 동아시아 상호 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