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Marens는 각성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운동 수행이 달라진다는 주장을 하였다. 역U자 형태를 띠지만 역 U자 가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역U자 가설은 각성을 구분 없이 동일한 생리적 각성으로 보는 반면에 Martens의 심리에너지이론에서는 각성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이라고 본다. Martens는 이론에 기반을 두었다기 보다는 자신의 현장 경험에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선수나 지도자에게 직관적인 호소력이 있다.
7. 각성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여러 이론에서 보듯이 각성과 불안은 운동 수행에 반드시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다. 중요한 점은 각성과 불안의 절대 강도보다도 선수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하는 문제이다. 불안과 각성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주의 영역의 변화와 근육 긴장의 변화를 들 수 있다.
1) 주의 영역의 변화
단서 활용이론을 제시한 Easterbrook과 주의 형태를 연구한 Nideffer은 각성과 불안이 주의집중의 변화를 초래한다고 주장하였다. ==> 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자의 주의 영역이 점점 좁아진다.
2) 근육 긴장의 변화
불안 수준이 높아질 때 몸이 굳어지는 것은 누구나 한번쯤 느껴봤을 것이다. 불안이 높아지면 근육의 불필요한 긴장을 초래한다는 사실은 근전도(EMG)를 사용하여 근육활동을 조사하면 알 수 있다. 예로 테니스 초보자들은 스윙을 할 때 팔과 다리 등 온 몸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불안이 높아지면 근육의 긴장을 초래하고 협응력도 방해를 받게 된다.
8. 현장 적용 시사점
선수가 어떤 각성 수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발휘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지도자와 코치는 불안의 행동적 증상을 이용하여 불안 수준이 높은 선수나 학생을 찾아내야 한다. 선수 개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개별적인 지도 방법을 개발한다. 불안 수준이 높고 자신감이 낮은 선수에게는시합의 중요성 강조는 불안 극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불안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카타스트로피 이론에 따르면 과도한 각성이 발생했을 경우 최적의 수행에 이르기 위해서는 완전한 이완이 요구된다. 과정 지향적인 목표에 주의를 집중하면 불안 수준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스포츠 심리학회, 스포츠 심리학 핸드북, 도서출판 무지개사, 2005
7. 각성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여러 이론에서 보듯이 각성과 불안은 운동 수행에 반드시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다. 중요한 점은 각성과 불안의 절대 강도보다도 선수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하는 문제이다. 불안과 각성이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주의 영역의 변화와 근육 긴장의 변화를 들 수 있다.
1) 주의 영역의 변화
단서 활용이론을 제시한 Easterbrook과 주의 형태를 연구한 Nideffer은 각성과 불안이 주의집중의 변화를 초래한다고 주장하였다. ==> 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자의 주의 영역이 점점 좁아진다.
2) 근육 긴장의 변화
불안 수준이 높아질 때 몸이 굳어지는 것은 누구나 한번쯤 느껴봤을 것이다. 불안이 높아지면 근육의 불필요한 긴장을 초래한다는 사실은 근전도(EMG)를 사용하여 근육활동을 조사하면 알 수 있다. 예로 테니스 초보자들은 스윙을 할 때 팔과 다리 등 온 몸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불안이 높아지면 근육의 긴장을 초래하고 협응력도 방해를 받게 된다.
8. 현장 적용 시사점
선수가 어떤 각성 수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발휘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지도자와 코치는 불안의 행동적 증상을 이용하여 불안 수준이 높은 선수나 학생을 찾아내야 한다. 선수 개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개별적인 지도 방법을 개발한다. 불안 수준이 높고 자신감이 낮은 선수에게는시합의 중요성 강조는 불안 극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불안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카타스트로피 이론에 따르면 과도한 각성이 발생했을 경우 최적의 수행에 이르기 위해서는 완전한 이완이 요구된다. 과정 지향적인 목표에 주의를 집중하면 불안 수준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스포츠 심리학회, 스포츠 심리학 핸드북, 도서출판 무지개사, 2005
추천자료
갑오 농민전쟁의 성격분석
시민운동과 사회복지
운동생리학 - 운동의 필요성, 효과, 신체의 반응, 특이성, 에너지대사, 운동 생리, 운동생리...
시민단체(NGO, 비정부기구)의 성격, 시민단체(NGO, 비정부기구)의 발전, 시민단체(NGO, 비정...
일제시대 민족주의운동에 관한 조사
[민간통일운동][민간통일운동 역할][민간통일운동 발전과제][민간통일운동 방향]민간통일운동...
[통일][통일운동][남북통일][남북분단][통일운동 발전 과제][통일운동 새로운 방향][통일운동...
우리나라 노동운동
신체 운동에 대한 체육학 이론의 배경
지역사회복지운동과 지역화폐 운동
[기초기능][교육 기초기능][독서 기초기능][음악 기초기능][기계운동 기초기능][언어][형법]...
성격과 스포츠, 성격의 구조
(교육심리학공통)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다중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