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민족주의운동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민족주의의 사전적 개념
2) 한국에서의 민족주의
3) 일제시대의 민족주의운동
4) 오늘 발표에서 다루고자 하는 ‘민족주의계열’의 범위

Ⅱ. 본론
제 1 기 (1910년대)
1. 주요사건
2. 일제 식민 통치 방식
3. 제 1 기 민족주의 운동의 특징
4. 민족주의 운동의 전개
제 2 기(1920년대)
1. 주요사건
2. 일제 식민통치방식
3. 제 2 기 민족주의 운동의 특징
4. 민족주의 운동의 전개
제 3 기 (1931년~ 1945년)
1. 주요사건
2. 일제 식민통치방식
3. 제 3 기 민족주의 운동의 특징
4. 민족주의 운동의 전개

Ⅲ. 결론
1) 민족주의 운동의 성과
2) 민족주의 운동의 한계

- 참고문헌 -

본문내용

고, 광주여고보, 광주사범학교 등 조선인 학생 대다수가 참여한 제1차 시위가 일어남 -> 70여명이 구속, 시내 모든 학교 에 휴교령
나) 제2차 시위(1929.11.12)
- 제1차 시위 직후부터 보다 강력하고 계획적이며 조직적인 투쟁을 전개할 것을 결의
- 학생 등 약 280여명 검거
(3) 결과와 의의
- 3.1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적 항일 투쟁으로 광주학생 독립운동은 민족해방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침
제 3 기 (1931년~ 1945년)
1. 주요사건
1932년 이봉창, 윤봉길 의거
1934년 진단학회 조직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
1938년 한글 교육 금지
1940년 민족 말살 정책 강화, 한국 광복군 결성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
1945년 8월 15일 광복
2. 일제 식민 통치 방식
1) 정치 - 민족 말살정책 (1930년대후반)
우리 민족의 문화와 전통을 완전히 말살시켜 일본인으로 동화시키고자 한 정책
- 배경 : 경제 공황, 일본 군부의 정권 장악, 만주사변(1931), 중일전쟁(1937), 태평 양 전쟁(1941)
- 정책 : 내선일체, 일선 동조론, 황국 신민화의 기조 아래 우리말과 역사 교육 금지, 신사 참배 , 일본식 성명 강요
2) 수탈
- 병참 기지화 정책 : 인적, 물적 수탈
- 남면북양 정책(면화 재배와 면양 사육 강요),
- 중화학 공업 육성(발전소, 군수 공장 건립, 광산 개발)
- 국가 총동원령 (인적, 물적 수탈강화 - 산미증식계획 재개, 가축 증식 계획, 금속 제 그릇과 기구 징발, 청장년과 부녀자 강제 동원)
3. 제 3 기 민족주의 운동의 특징
- 신간회가 해소되고 일제의 탄압이 파쇼화 되면서 국내적으로는 전국적인 차원에서의 민족주의운동을 전개하지 못하고 각 부문별로 각 그룹별로 소규모적인 차원에서 운동이 전개되며 거족적인 정치기관이 해외에서 그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기
4. 민족주의 운동의 전개
1) 민족 문화 수호 운동(국학 운동)
(1) 배경 : 일제의 문화적 통제인 우민화 교육, 역사 왜곡, 종교 활동 탄압
(2) 운동의 내용
가) 조선어 학회 : 조선어 연구회가 조선어 학회로 개편(1931.1)
창립 - 주시경의 문하생 임경재 최두선 등이 한국최초의 민간학 술단체인 조선어학회 창립
활동 - 한글 교재 출판, 회원들의 전국 순회 한글 보급, 한글 맞춤 법 통일안과 표준어 제정(오늘까지 우리 국어의 준거), 우리 말 큰 사전의 편찬 시도
결과 - 독립 운동 단체로 간주되어 회원들이 체포, 투옥, 강제 해 산 (조선어학회사건, 1942)
나) 민족 사학 : 한민족의 기원을 밝히고 우리 민족 문화의 우수성과 한국사의 주체 적 발전을 강조하는 연구 활동 전개
박은식 - 한국통사 저술(근대 이후 일본의 한국 침략 과정을 밝힘), 한국 독립
운동 지혈사(한민족의 일제 투쟁 독립운동 서술), 혼 강조(민족정신을 ‘혼’으로 파악 - 민족사의 중요성
신채호 - 고대사 연구에 치중 , 조선상고사, 조선사 연구초 저술, 민족주의 역사 학의 기반 확립(주체적인 한국사 정리)
정인보 - 조선사 연구 저술(일제 식민 사관에 대항)
문일평, 안재홍 - 민족주의 역사학을 계승, 발전시킴
진단학회 - 청구 학회를 중심으로 한 일본 어용 학자들의 왜곡된 한국사 연구에 대항하여 1934년 이병도, 손진태 등이 조직, 진단 학보 발간
2) 한인 애국단 의거(1932)
(1) 한인 애국단 : 김구가 중심이 되어 조직한 강력한 항일 단체로써 일본 요인에 대한 암살활동을 단행
(2) 활동
가) 1932년 1월 8일, 이봉창 일본 국왕 암살 미수 사건 -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민족 에게 희망을 주고 일본에게 두려움을 갖게 함 (후의 상하이 사변의 계기가 됨)
나) 1932년, 윤봉길 상하이 홍커우 공원 투탄 -> 식장 폭파로 일본군 장성과 고관 살 상 -> 국제적으로 관심사가 되어 한국 독립 운동의 의기를 높임, 한국 광복군 결성의 밑바탕이 됨
3) 수양 동우회 사건(1937년)
(1) 수양 동우회 : 1922년 2월 서울에서 조직 된 수양 동맹회와 7월 평양에서 조직된 동우 구락부가 1926년 1월 통합하여 설립한 흥사단 계열의 단체
가) 성격 : 인격수양과 실력 양성을 주장한 합법 단체
나) 회원 : 변호사, 의사, 교육자 등이 중심(상당한 재산을 가진 부르조아)
다) 활동 : 1932년 회관 건립, 잡지 「동광」발행
(2) 수양 동우회 사건 : 「멸망에 빠진 민족을 구출하는 기옥교인의 역할」이라는 인쇄 물 발각되어 관계자 181명 체포
(3) 의의 : 유사한 단체 탄압의 첫 계기
(1938년 흥업 구락부 사건, 1940년 기독교 반전 공작 사건)
Ⅲ. 결론
1) 민족주의 운동의 성과
(1) 일본제국에 맞서 민족의 독립을 위한 운동
-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대일 항쟁 활동
(2) 조국 근대화에 역할
- 정치적 측면 : 민주 공화정 지향 (대한민국임시정부)
- 경제적 측면 : 경제적 자립운동 및 경제의식 고양 (물산장려운동, 국채보상운동 등)
- 사회적 측면 : 민족 지도자 양성(민립대학설립운동, 각 조직의 교육활동)
(3) 민족의식의 고취
- 조선어학회, 민족사학 등
2) 민족주의 운동의 한계
(1) 사회주의운동진영과의 연합 실패
- 신간회 해체 이후 다른 노선, 때로는 서로 방해
(2) 봉건적 사고방식을 완전히 떨쳐내지 못함
- 민중을 주체로 보지 않고, 계몽시켜야 할 대상으로 파악
(3) 지식인, 엘리트 중심의 운동
- 민중과의 연대 소홀, 각 운동의 실패 요인
(4) 1920년대 이후 반제성 약화
- 일제와의 정면 대결 회피, 실력양성운동 치중
- 참고문헌 -
강만길 외 지음, 「우리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2000
강만길, 「고쳐쓴 한국근대사」, 창작과비평사, 2003
국사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하)」, 교육부, 2000년
김한종 외, 「고등학교 한국근 ? 현대사」, 금성출판사, 2003
조지훈, 「한국민족운동사」, 나남, 1993
역사문제연구소 민족해방운동사 연구반, 「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199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일제하의 민족운동과 그 사상」, 한국사상사대계 제6권, 1993
두산세계백과
  • 가격2,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10.15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