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A4용지:3~4장 12포인트
과제물:미시차원(개인,가족)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거시차원(지역사회)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논하시오
2)A4용지:반장~1장
토론:사회복지사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불신에 대해서 전이와 역전이는 어떻게 다뤄야 되는지 토론해보자
과제물:미시차원(개인,가족)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거시차원(지역사회)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논하시오
2)A4용지:반장~1장
토론:사회복지사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불신에 대해서 전이와 역전이는 어떻게 다뤄야 되는지 토론해보자
본문내용
자가 상담자에게 느끼는 모든 감정적 반응을 역전이라 한다.
- 전이 (Transference)
전에 알았던 사람과 현재의 사람을 동일시하여 전에 알았던 사람에게 가졌던 사랑이나 미움의 감정을 현재의 사람에게 옮겨와 반복시키고 있는 특수착각(Specific illusion)현상으로서, 대부분 무의식적 현상이므로 본인이 모르는 경우가 많다.
- 역전이 (Counter - transference)
전이는 보통 아랫사람 또는 환자에게 많은 반면, 역전이는 관리자나 치료자에게 많으며, 전에 다른 사람에게 가졌던 동일한 감정을 아랫사람이나 환자에게 갖게 되는 현상.
업무를 하는 과정 속에서 부하직원으로 인해서 어떤 관리자의 마음속에 큰 슬픔이나 우울함 또는 분노나 증오심이, 현실적으로 타당한 이유 없이, 생겼다면 이것이 바로 역전이 현상이다. 이것은 부하직원의 문제가 관리자를 자극해서 관리자의 무의식 속에 감추어져 있었던 숨겨진 갈등이 노출되어 나온 현상인 것이다. 갈등심리, 인격붕괴를 막는 가장 적극적 방어기제로서 나는 동양의 불교정신에 있는 체념(諦念)을 들 수 있다고 보았다. 탐진치의 삼독(三毒)과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사고(四苦)를 넘어서고 고집멸도(苦集滅道)의 네가지 경지를 넘어서는 길로서 체념은 실로 근원적 불안 해소책이며 인격의 참다운 거듭나는 계기를 준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2. 전이 관계의 예
1) 전이 분석
정신분석적 집단상담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전이의 확인 및 해결이다. 전이는 저항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전이의 요소는 인간 삶의 거의 모든 면(예: 직장, 친구)에서 관찰한다. 전이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 주는 다리이다. 집단에서의 전이는 몇 가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집단상담에서는 집단참여자들이 모든 가족참여자의 역할을 대신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전이를 확인하기가 쉽다.
둘째, 집단 장면은 각 참여자가 필사적인 투사로 같은 사람을 직면하기 때문에 전이의 분석을 촉진시킨다.
셋째, 집단참여자의 성격의 다양성은 전이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2) 역전이 분석
역전이는 집단상담자가 어떤 집단참여자에 대해 구별되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말하며, 집단참여자의 전이, 투사 및 환상에 대한 상담자의 감정을 말한다. 역전이는 크게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긍정적 역전이이다.
둘째, 부정적 역전이이다.
셋째, 목표 애착이다.
넷째, 양가 감정적 역전이이다.
- 전이 (Transference)
전에 알았던 사람과 현재의 사람을 동일시하여 전에 알았던 사람에게 가졌던 사랑이나 미움의 감정을 현재의 사람에게 옮겨와 반복시키고 있는 특수착각(Specific illusion)현상으로서, 대부분 무의식적 현상이므로 본인이 모르는 경우가 많다.
- 역전이 (Counter - transference)
전이는 보통 아랫사람 또는 환자에게 많은 반면, 역전이는 관리자나 치료자에게 많으며, 전에 다른 사람에게 가졌던 동일한 감정을 아랫사람이나 환자에게 갖게 되는 현상.
업무를 하는 과정 속에서 부하직원으로 인해서 어떤 관리자의 마음속에 큰 슬픔이나 우울함 또는 분노나 증오심이, 현실적으로 타당한 이유 없이, 생겼다면 이것이 바로 역전이 현상이다. 이것은 부하직원의 문제가 관리자를 자극해서 관리자의 무의식 속에 감추어져 있었던 숨겨진 갈등이 노출되어 나온 현상인 것이다. 갈등심리, 인격붕괴를 막는 가장 적극적 방어기제로서 나는 동양의 불교정신에 있는 체념(諦念)을 들 수 있다고 보았다. 탐진치의 삼독(三毒)과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사고(四苦)를 넘어서고 고집멸도(苦集滅道)의 네가지 경지를 넘어서는 길로서 체념은 실로 근원적 불안 해소책이며 인격의 참다운 거듭나는 계기를 준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2. 전이 관계의 예
1) 전이 분석
정신분석적 집단상담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전이의 확인 및 해결이다. 전이는 저항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전이의 요소는 인간 삶의 거의 모든 면(예: 직장, 친구)에서 관찰한다. 전이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 주는 다리이다. 집단에서의 전이는 몇 가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집단상담에서는 집단참여자들이 모든 가족참여자의 역할을 대신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전이를 확인하기가 쉽다.
둘째, 집단 장면은 각 참여자가 필사적인 투사로 같은 사람을 직면하기 때문에 전이의 분석을 촉진시킨다.
셋째, 집단참여자의 성격의 다양성은 전이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2) 역전이 분석
역전이는 집단상담자가 어떤 집단참여자에 대해 구별되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말하며, 집단참여자의 전이, 투사 및 환상에 대한 상담자의 감정을 말한다. 역전이는 크게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긍정적 역전이이다.
둘째, 부정적 역전이이다.
셋째, 목표 애착이다.
넷째, 양가 감정적 역전이이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족대상실천기술에 대해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집단사회사업실천의 모델 총정리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정신분석이론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념정의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문제해결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본인의 가족 혹은 친구 중 한명을 선정하여 사정도구(3개 이상)를 활용...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인지행동모델의 철학, 이론적 기반, 주요 가정, 개입목표, 개입과정, 개...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정신역동모델의 철학과 개념, 심리성적 발달단계, 방어기제, 개입목표, ...
사회복지전문화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와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심리사회이론의 배경과 적용 사례(초기~종결단계)
사회복지실천기술론-주어진 사례를 ‘과제중심모델’에 근거하여 개입계획을 세우시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정폭력피해의 클라이언트(여러 사정도구를 활용항 자신이나 주위에서 ...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문제 사례 발췌 및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방법 기술.최근 사회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