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산업, PCB산업, 디스플레이산업, LED산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도체산업, PCB산업, 디스플레이산업, LED산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반도체산업
2. PCB산업
3. 디스플레이산업
4. LED산업
참고문헌

본문내용

특화산업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광산업이 광주의 산업지도를 바꾸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00년부터 8년간 국비와 지방비 등 5천675억원을 투입한 결과, 누적 매출액이 5조2천452억원에 달하는 핵심 산업으로 성장했다. 지난 1999년 매출액은 1천100억원, 10년만인 지난해 1조3천억원으로 1천%가 늘었고 기업체 수도 47개사에서 327개사로 500%가 넘게 생겨났다. 그만큼 고용 인원도 늘었다. 지난 1999년 1천900명으로 파악된 광산업 종사자들은 벌써 6천여명으로 추정. 클러스터 내 300여개의 광산업체중 50% 이상이 광부품 위주의 소규모 기업이다.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열악한 업체들로, 경쟁력 강화가 급선무라고 생각한다. 광관련 전문 인력들의 유출을 막을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희망적인 일은 국내 굴지의 조명업체인 ‘금호전기’가 조만간 광주에 LED생산설비를 갖추게 된다. 이렇게 되면 현재 카메라 모듈, LED등을 생산하고 있는 LG이노텍과 함께 쌍두마차 체제를 갖출 것이다. 독일의 유명기업도 광주 광클러스터 투자를 고려하고 있어 기대가 크다. LED 조명업체인 엔하이테크, 서울반도체, 태양광 전문업체인 서울마린, LED칩 생산업체인 오리엔텍 등도 광주에 둥지를 튼 이후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다.
LED등 광산업을 둘러싼 글로벌 트렌드는 수직계열화를 통한 비용절감 및 경쟁력 강화로 요약된다. 이를 위해서는 광산업 클러스터 내 기업들의 인수 합병이 활발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기업의 대형화는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LED 시장의 경우 국가성장동력으로 추진되면서 향후 시장 전망도 밝아 수도권의 기술력과 자금력이 있는 업체와 지역 업체간 인수 합병이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지역업체와 수도권 등 타지역 업체간 인수합병이 이뤄지고 있다. 요즘 M&A는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평가되는 경향도 있다. 하지만, 기업간의 인수합병은 자유시장경제 원리에 따라 진행되어야 하며 기업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다만, 한국광산업진흥회가 나서 지역 내 기업 간 컨소시엄 형성을 통한 마케팅 활로를 개척토록 하고, 경쟁력 있는 역외 기업과의 ‘윈윈’할 수 있는 인수 합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장선호 & 권영희, 2009).한국반도체산업협회
주대영. (2006년 06월). 반도체 조명(LED)의 중요성과 육성전략. “산업연구원”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9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