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44페이지 연습문제 2번: 철학이란 무엇인가? 왜 철학을 해야 하나?
2. 123페이지 2번: 변하는 가운데에서도 변하지 않는 것은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3. 158페이지 2번: 동양과 서양의 수비학적 전통은?
4. 288페이지 1번: 소크라테스가 다른 성인들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2. 123페이지 2번: 변하는 가운데에서도 변하지 않는 것은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3. 158페이지 2번: 동양과 서양의 수비학적 전통은?
4. 288페이지 1번: 소크라테스가 다른 성인들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본문내용
동의했던 법은 고쳐야 할 필요성이 있던 법에 동의한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지덕합일을 주장하면서, 덕은 알고 모르고의 차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그는 악법임을 알고 있었으면서 아테네의 법에 동의하였다. 이는 소크라테스 그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행위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가 말한 ‘악법도 법이다’란 문자 그대로에서 그를 본다면, 그는 형식적 법치주의인 것이다. 형식적 법치주의에서는 법의 내용이 정의로운지 여부보다는 법의 형식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가 더 중요한 것이다. 아무리 정의로운 내용이라도 법의 형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형식적 법치주의에서는 별다른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즉, 아무리 정의로운 생각이라고 해도, 그것이 아테네의 법으로 제정되어 있지 않았다면, 소크라테스는 그것을 따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 근대독일의 아돌프 히틀러는 뉘른베르크 법을 통해 유태인 차별을 합법화 시켰다. 훗날 홀로코스트라 불리는 유대인학살의 기초가 된 법이 뉘른베르크 법이었으며 이는 형식적 법치주의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위에서 말한바와 같이 소크라테스는 현대사회의 사람들에게도 큰 영감을 주며, 많은 이들에게 교훈이 되고 귀감이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비판적인 관점에서 보면 소크라테스의 ‘악법도 법이다’라는 명제는 틀린 명제이다. 악법은 개선되거나 폐기하는 것이 타당하다. 소크라테스가 당시 소피스트들을 타파하고 새로운 영역의 철학을 발전 시켰지만, 현대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사회의 변혁은 꾀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는 개혁이 필요한 것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그가 말한 ‘악법도 법이다’란 문자 그대로에서 그를 본다면, 그는 형식적 법치주의인 것이다. 형식적 법치주의에서는 법의 내용이 정의로운지 여부보다는 법의 형식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가 더 중요한 것이다. 아무리 정의로운 내용이라도 법의 형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형식적 법치주의에서는 별다른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즉, 아무리 정의로운 생각이라고 해도, 그것이 아테네의 법으로 제정되어 있지 않았다면, 소크라테스는 그것을 따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 근대독일의 아돌프 히틀러는 뉘른베르크 법을 통해 유태인 차별을 합법화 시켰다. 훗날 홀로코스트라 불리는 유대인학살의 기초가 된 법이 뉘른베르크 법이었으며 이는 형식적 법치주의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위에서 말한바와 같이 소크라테스는 현대사회의 사람들에게도 큰 영감을 주며, 많은 이들에게 교훈이 되고 귀감이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비판적인 관점에서 보면 소크라테스의 ‘악법도 법이다’라는 명제는 틀린 명제이다. 악법은 개선되거나 폐기하는 것이 타당하다. 소크라테스가 당시 소피스트들을 타파하고 새로운 영역의 철학을 발전 시켰지만, 현대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사회의 변혁은 꾀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는 개혁이 필요한 것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분석철학과 분석 윤리학
자유주의 정치철학과 환경보호
영화속의철학
에피쿠로스 사상의 전개 및 삶의 방식에 관한 철학<고중세철학>
법철학- 악법에관하여(소크라테스)
헤겔의 사회/역사 철학
교사에게 교육철학이 필요한 까닭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프로타고라스, 아테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고르기아스, ...
간호인의 신념과 나의 간호철학
서양 근현대 철학
서양철학사에서 나타나는 절대적 진리로써의 하나님
[평생교육론] 평생교육 철학이론에 대한 비교표를 만들어 제출
서양고,중세 철학사,고대 희랍의 원자론,밀레토스 학파(탈레스,아낙시만드로스,아낙시메네스)...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3장 메를로 퐁티의 몸-주체 (2) - 몸-주체의 행동 구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