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감옥에서 고문을 받을 때도 자유롭다.
메를로퐁티 역시 『지각의 현상학』에서 고문의 상황에서 인간의 자유를 설명한다. 고문의 상황에서 인간이 동료를 고발하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것은 여전히 그들과 함께 참가하며 함께 행동하고 있음을 믿기 때문이다. 그 결정은 자유롭지만 동료들과의 공존 없이는 성립되지 않는다. 실존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그가 결단을 내린 것이다. 그러나 상황과 인간의 결단이 분리된 것은 아니다. 고문에 저항하는 것은 상황에 뒷받침을 받지만 그 자체로 다시 저항이라는 상황과 함께 한다. 이는 인간과 세계가 불가분적 관계에 있다는 메를로퐁티의 주장과 결합된다. 따라서 인간은 세계에 참여하는 한에서만 자유롭다. 인간이 자유롭기 위해서는 세계가 완전히 구성되어서는 안 된다. 이에 메를로퐁티는 “세계는 이미 구성되어 있으나 역시 완전하게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라고 말한다. 인간은 상황이 주어질 때 비로소 실존하며 그 실존은 육체에 의해서 지각된다. 『지각의 현상학』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우리가 주체로서 타자와 상호교호(相好交互) 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양혜림, 「메를로-퐁티의 몸의 문화현상학」, 『철학과 현상학』(14집), 1999, 135쪽
우리는 실존하는 동안 세계 안에 놓여 있고 세계와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참고자료>
강미라, 『몸, 주체, 권력: 메를로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이학사, 2013
양혜림, 「메를로-퐁티의 몸의 문화현상학」, 『철학과 현상학』(14집), 1999
윤덕중, 「학습이론 소고」, 『인문논총』(6권),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4
메를로퐁티 역시 『지각의 현상학』에서 고문의 상황에서 인간의 자유를 설명한다. 고문의 상황에서 인간이 동료를 고발하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것은 여전히 그들과 함께 참가하며 함께 행동하고 있음을 믿기 때문이다. 그 결정은 자유롭지만 동료들과의 공존 없이는 성립되지 않는다. 실존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그가 결단을 내린 것이다. 그러나 상황과 인간의 결단이 분리된 것은 아니다. 고문에 저항하는 것은 상황에 뒷받침을 받지만 그 자체로 다시 저항이라는 상황과 함께 한다. 이는 인간과 세계가 불가분적 관계에 있다는 메를로퐁티의 주장과 결합된다. 따라서 인간은 세계에 참여하는 한에서만 자유롭다. 인간이 자유롭기 위해서는 세계가 완전히 구성되어서는 안 된다. 이에 메를로퐁티는 “세계는 이미 구성되어 있으나 역시 완전하게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라고 말한다. 인간은 상황이 주어질 때 비로소 실존하며 그 실존은 육체에 의해서 지각된다. 『지각의 현상학』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우리가 주체로서 타자와 상호교호(相好交互) 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양혜림, 「메를로-퐁티의 몸의 문화현상학」, 『철학과 현상학』(14집), 1999, 135쪽
우리는 실존하는 동안 세계 안에 놓여 있고 세계와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참고자료>
강미라, 『몸, 주체, 권력: 메를로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이학사, 2013
양혜림, 「메를로-퐁티의 몸의 문화현상학」, 『철학과 현상학』(14집), 1999
윤덕중, 「학습이론 소고」, 『인문논총』(6권),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4
추천자료
체육개념
모리스 메를로-퐁티
20세기 초에서 한국춤과 주체(몸)의 관계 -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몸 주체 권력- 메를로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 6장 나가는 글 - 메를...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몸-주체 - 몸-권력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3장 메를로 퐁티의 몸-주체 (1) - 실존적 주체의 몸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일상속의 몸 -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몸의 의미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일상 속의 몸 - 제 4장 성을 향유하는 노년의 예이츠
문화예술과 현대철학-몸 주체 권력 - 5-4몸-주체 - 몸-권력 - 4 습관과 훈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