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 조화로운 사회를 지향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건강한 몸이든 질병에 걸린 몸이든 뚱뚱한 몸이든 마른 몸이든 몸은 그 사람 인생자체를 외부에 말하고 있다. 이런 몸의 자기 드러냄은 몸과 몸의 부딪힘 속에서 인간의 삶과 그리고 죽음의 양면을 드러내며 사회문화를 만들어 왔다. 그렇다면 사회라는 것이 결국은 생과 사를 구조적으로 표현한 총체라 볼 수 있겠다. 그러므로 몸은 자연적인 성격과 사회문화적 성격의 복합성 안에서 규정되어져만 한다.
우리는 인생을 가지고 장난치지 않는다. 삶을 포기한 사람이면 모를까 한번 뿐인 삶을 우리는 보람 있게, 의미 있게 살아가기를 원한다. 그런데 오직 몸만이 그것을 가능케 하는 실체이고 몸에 삶의 내용을 새겨가면서 우리는 살아가며 훗날 우리는 그 몸이 살아간 몸짓을 기억하고 노래하며 그것을 기념한다. 그렇다면 몸 자체가 삶이요 죽음이라는 틀 안에서 성찰되어져야지 몸을 자본을 위한 상품으로 여기는 천박한 자본주의 시장논리로 몸이 평가되어서는 안 될 대상이라는 것을 성찰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우리는 몸을 단지 자본주의 상품으로 여기게 하고 그 같은 행태를 묵과하거나 부추기는 의과학과 미디어의 행태에 대해서 심각한 성찰과 비판을 해야 할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몸문화연구소, 『일상속의 몸』, 쿠북출판사, 2009
2. 브라이언 터너, 『몸과 사회』, 몸과 마음, 2002
3. 디터젱하스, 『문명내의 충돌』, 문학과 지성사, 2007
<참고논문>
1. 천선영, 「‘몸’의 현재적 의미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Vol-11 사회과학연구원, 2003
우리는 인생을 가지고 장난치지 않는다. 삶을 포기한 사람이면 모를까 한번 뿐인 삶을 우리는 보람 있게, 의미 있게 살아가기를 원한다. 그런데 오직 몸만이 그것을 가능케 하는 실체이고 몸에 삶의 내용을 새겨가면서 우리는 살아가며 훗날 우리는 그 몸이 살아간 몸짓을 기억하고 노래하며 그것을 기념한다. 그렇다면 몸 자체가 삶이요 죽음이라는 틀 안에서 성찰되어져야지 몸을 자본을 위한 상품으로 여기는 천박한 자본주의 시장논리로 몸이 평가되어서는 안 될 대상이라는 것을 성찰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우리는 몸을 단지 자본주의 상품으로 여기게 하고 그 같은 행태를 묵과하거나 부추기는 의과학과 미디어의 행태에 대해서 심각한 성찰과 비판을 해야 할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몸문화연구소, 『일상속의 몸』, 쿠북출판사, 2009
2. 브라이언 터너, 『몸과 사회』, 몸과 마음, 2002
3. 디터젱하스, 『문명내의 충돌』, 문학과 지성사, 2007
<참고논문>
1. 천선영, 「‘몸’의 현재적 의미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Vol-11 사회과학연구원, 2003
키워드
추천자료
여성의 성상품화 , (대중문화 대중매체 성문화 성차별)
[현대 사회 연구] 『현대 한국사회의 일상문화코드』중.. -11장 몸살 앓는 몸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몸 주체 권력- 메를로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 6장 나가는 글 - 메를...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몸-주체 - 몸-권력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3장 메를로 퐁티의 몸-주체 (2) - 몸-주체의 행동 구조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3장 메를로 퐁티의 몸-주체 (1) - 실존적 주체의 몸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일상 속의 몸 - 제 4장 성을 향유하는 노년의 예이츠
문화예술과 현대철학-몸 주체 권력 - 5-4몸-주체 - 몸-권력 - 4 습관과 훈련
문화예술과 현대철학 - 막스베버 근대성과 탈근대성의 역사사회학 - 제 7장 신체의 합리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