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시마케팅의 등장
2. 도시마케팅의 개념
3. 도시마케팅의 특성
4. 내가 살고 있는 도시의 이미지와 마케팅 - 서울
5. 글로벌 도시마케팅의 개념과 요소
6. 글로벌 도시마케팅의 전략
7. 도시 마케팅 사례
8. 도시마케팅의 발전 방안
참고문헌
2. 도시마케팅의 개념
3. 도시마케팅의 특성
4. 내가 살고 있는 도시의 이미지와 마케팅 - 서울
5. 글로벌 도시마케팅의 개념과 요소
6. 글로벌 도시마케팅의 전략
7. 도시 마케팅 사례
8. 도시마케팅의 발전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안
우리나라도 최근 들어 전시컨벤션센터가 소재한 서울, 부산, 대구 등을 중심으로 CVB가 조직되고 있으며 일부 지자체들이 도시 마케팅 전담부서를 신설하는 등 도시 마케팅에 적극 나서고 있어 늦게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큰 의미에서 본다면 도시 마케팅은 각 도시들의 경쟁과 발전을 촉진하여 지역균형발전으로 가는 지름길이며 국내외 관광, 산업자원을 최대한 발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서는 내년 4월 27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에서 ‘국제 지방정부 및 도시 마케팅 박람회(Local Government & City Promotion Fair, LOGOCIF 2005)’를 개최할 예정이다.이 박람회는 KOTRA가 올 3월에 처음 개최한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 박람회’의 명칭을 변경하고 올해 행사 후 제기되었던 문제점들을 보완, 비즈니스 성격을 추가해 개최하는 것이다. 내년 행사에는 국내외 100여개 이상의 도시가 참가할 예정이다.
특히 해외 도시 유치는 현재 KOTRA 103개 해외 조직망이 적극적인 현지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세계 각국 주요 도시의 CVB 및 주한 대사관, 관광 및 무역사무소 등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유치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미국·일본·터키 등 30여개 도시가 참가 의사를 밝혀왔으며, 폴란드의 포즈난 시와 소포트 시가 최근 참가를 확정한 상태다.
각 도시들이 도시 자체를 마케팅 주체로 설정해 지역의 도시의 역사·캐릭터·관광·문화자원·특산품·전략산업·미래 비전 등을 전시 홍보하고, 1촌2품 수출 상담회, 지역 대표 및 공동 브랜드 판매전과 도시 마케팅 세미나 등을 동시에 개최할 이 박람회는 지역상품과 함께 도시를 제품화 및 브랜드화하여 도시 자산 가치를 높이고 국제화 및 업그레이드하자는 데 목적이 있다.
한편, 수출 상담회를 위해서는 참가 예정 도시들로부터 2개의 지역 대표 상품을 신청 받아 사전에 해외에 배포, 관련 바이어들을 초청하여 도시 및 대표 브랜드를 연계한 장소 및 제품의 토탈 마케팅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세계해외한인무역협회(OKTA)와 공동으로 해외 교포무역인 200여명을 초청, 지역별 대표상품 수출 및 투자 상담회를 개최하여 해외 한상 네트워크도 구축할 예정이다.‘우리 도시를 팝니다’ ‘Up.grade 지방정부, Re. make 코리아’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될 ‘국제 지방정부 및 도시마케팅박람회(LOGOCIF 2005)’는 국내외 100여개 도시가 모여 화합과 교류, 비즈니스를 촉진하는 장이 될 것이며 우리 중소도시에게 국제 경쟁력 도시 마케팅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 또한 관람객들에게는 국내외 각 도시의 수많은 볼거리를 제공하고 몰랐던 도시들의 새로움을 발견하고 느끼게 하는 흥미로운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이무용,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전 략(2006, 논형)
이정훈, 도시마케팅 in 김인ㆍ박수진, 『도시해석』 (2006, 푸른길)
우리나라도 최근 들어 전시컨벤션센터가 소재한 서울, 부산, 대구 등을 중심으로 CVB가 조직되고 있으며 일부 지자체들이 도시 마케팅 전담부서를 신설하는 등 도시 마케팅에 적극 나서고 있어 늦게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큰 의미에서 본다면 도시 마케팅은 각 도시들의 경쟁과 발전을 촉진하여 지역균형발전으로 가는 지름길이며 국내외 관광, 산업자원을 최대한 발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서는 내년 4월 27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에서 ‘국제 지방정부 및 도시 마케팅 박람회(Local Government & City Promotion Fair, LOGOCIF 2005)’를 개최할 예정이다.이 박람회는 KOTRA가 올 3월에 처음 개최한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 박람회’의 명칭을 변경하고 올해 행사 후 제기되었던 문제점들을 보완, 비즈니스 성격을 추가해 개최하는 것이다. 내년 행사에는 국내외 100여개 이상의 도시가 참가할 예정이다.
특히 해외 도시 유치는 현재 KOTRA 103개 해외 조직망이 적극적인 현지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세계 각국 주요 도시의 CVB 및 주한 대사관, 관광 및 무역사무소 등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유치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미국·일본·터키 등 30여개 도시가 참가 의사를 밝혀왔으며, 폴란드의 포즈난 시와 소포트 시가 최근 참가를 확정한 상태다.
각 도시들이 도시 자체를 마케팅 주체로 설정해 지역의 도시의 역사·캐릭터·관광·문화자원·특산품·전략산업·미래 비전 등을 전시 홍보하고, 1촌2품 수출 상담회, 지역 대표 및 공동 브랜드 판매전과 도시 마케팅 세미나 등을 동시에 개최할 이 박람회는 지역상품과 함께 도시를 제품화 및 브랜드화하여 도시 자산 가치를 높이고 국제화 및 업그레이드하자는 데 목적이 있다.
한편, 수출 상담회를 위해서는 참가 예정 도시들로부터 2개의 지역 대표 상품을 신청 받아 사전에 해외에 배포, 관련 바이어들을 초청하여 도시 및 대표 브랜드를 연계한 장소 및 제품의 토탈 마케팅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세계해외한인무역협회(OKTA)와 공동으로 해외 교포무역인 200여명을 초청, 지역별 대표상품 수출 및 투자 상담회를 개최하여 해외 한상 네트워크도 구축할 예정이다.‘우리 도시를 팝니다’ ‘Up.grade 지방정부, Re. make 코리아’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될 ‘국제 지방정부 및 도시마케팅박람회(LOGOCIF 2005)’는 국내외 100여개 도시가 모여 화합과 교류, 비즈니스를 촉진하는 장이 될 것이며 우리 중소도시에게 국제 경쟁력 도시 마케팅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 또한 관람객들에게는 국내외 각 도시의 수많은 볼거리를 제공하고 몰랐던 도시들의 새로움을 발견하고 느끼게 하는 흥미로운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이무용,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전 략(2006, 논형)
이정훈, 도시마케팅 in 김인ㆍ박수진, 『도시해석』 (2006, 푸른길)
키워드
추천자료
[소비자와 환경] 2002월드컵에서의 마케팅 사례
'기업하기 좋은 도시 대구’정책
지방자치마케팅의 개념과 탄생배경 및 추진전략
그린마케팅 사례 - The Body Shop
LG전자의 초콜릿폰 마케팅 사례분석
현대마케팅 사례 및 관련기사
삼성지펠 zipel 미국진출위한 마케팅전략분석
현대자동차 YOUTH 마케팅 전략
신(辛)라면블랙 마케팅실패 전략분석 및 신라면블랙 재도약을 위한 개선전략 제안 PPT자료
groupon 그루폰 마케팅 실패사례분석및 그루폰 재도약위한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 고객분...
LG유플러스 마케팅 SWOT, STP, 4P전략분석과 LG U+ 경쟁우위전략분석 및 LG유플러스 개선방안...
[대한항공 서비스마케팅전략연구] 대한항공(Korean Air) 기업분석과 대한항공 마케팅 7P,SWOT...
에버랜드 vs 롯데월드 기업비교분석과 에버랜드,롯데월드 마케팅 7P,STP,SWOT전략 비교분석및...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