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까운 약 44%에 달한다.(설동훈 외, 2006)
처지가 이러함에도 2007년 5월말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적용에 의한 외국인 여성배우자 기초생활 수급자는 739명에 그쳤다. 우리나라 전체 여성결혼이민자 규모를 감안할 때 수급혜택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적용대상에, 한국국적의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는 자를 포함하도록 법개정 하여 2006년 1월 1일자로 시행한 이후의 수치(뉴시스 2007.6.18)
<표 3-3> 여성결혼이민자 농가의 생활수준
구 분
농가수
비율
결혼이민자농가 전체
1,535
100.0
최하계층(10,000천원 이하)
513
33.4
결혼이민자농가 평균소득(18,486천원 이하)
824
53.7
경북평균 농가소득(27,817천원 이하) 2007년 경상북도 농수산통계자료(2005년 기준)
1,206
78.6
전국평균 농가소득(30,503천원 이하) 2007년 경상북도 농수산통계자료(2005년 기준)
1,350
87.9
(단위 : 호, %)
자료 : 경북지역 농촌 여성결혼이민자 실태와 정착방안(서지명, 2007)
<표 3-3>에서 살펴보면 여성결혼이민자 농가의 평균소득은 1,848만원으로, 경북평균 농가소득 2,781만원에 비해 상당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혼이민자농가 소득수준을 기초로 살펴보면 전국 평균 농가소득 3,050만원 이하 가구가 87.9%, 경북 평균 농가소득 2,781만원 이하가 78.6%로 나타났다.
연간소득이 최하계층 1,000만원 이하 농가도 33.4%인 것으로 나타나 여성결혼이민자 농가 중 극빈계층이 상당히 많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처지가 이러함에도 2007년 5월말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적용에 의한 외국인 여성배우자 기초생활 수급자는 739명에 그쳤다. 우리나라 전체 여성결혼이민자 규모를 감안할 때 수급혜택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적용대상에, 한국국적의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는 자를 포함하도록 법개정 하여 2006년 1월 1일자로 시행한 이후의 수치(뉴시스 2007.6.18)
<표 3-3> 여성결혼이민자 농가의 생활수준
구 분
농가수
비율
결혼이민자농가 전체
1,535
100.0
최하계층(10,000천원 이하)
513
33.4
결혼이민자농가 평균소득(18,486천원 이하)
824
53.7
경북평균 농가소득(27,817천원 이하) 2007년 경상북도 농수산통계자료(2005년 기준)
1,206
78.6
전국평균 농가소득(30,503천원 이하) 2007년 경상북도 농수산통계자료(2005년 기준)
1,350
87.9
(단위 : 호, %)
자료 : 경북지역 농촌 여성결혼이민자 실태와 정착방안(서지명, 2007)
<표 3-3>에서 살펴보면 여성결혼이민자 농가의 평균소득은 1,848만원으로, 경북평균 농가소득 2,781만원에 비해 상당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혼이민자농가 소득수준을 기초로 살펴보면 전국 평균 농가소득 3,050만원 이하 가구가 87.9%, 경북 평균 농가소득 2,781만원 이하가 78.6%로 나타났다.
연간소득이 최하계층 1,000만원 이하 농가도 33.4%인 것으로 나타나 여성결혼이민자 농가 중 극빈계층이 상당히 많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