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는말
2.구양순의 학서과정 및 시대배경
3.구성궁 예천명 서체 분석
4.구양순의 서체 특징
2.구양순의 학서과정 및 시대배경
3.구성궁 예천명 서체 분석
4.구양순의 서체 특징
본문내용
는 九成宮에서 더위를 避하셨으니 이곳은 바로 隋의 仁壽宮이다.
山에 冠을 씌우듯이 (冠처럼 山에) 宮殿을 올리고, 골짜기를 끊어 연못을 만들고,
溪谷의 물을 가로질러 기둥에 들보를 얹고, 바위를 쪼개 大闕을 세우고,
高閣이 두루 서고,
긴 回廊이 四方에 일어나고, 마룻대와 지붕이 얼켜 있고,
樓閣과 亭子가 들쭉날쭉하다.
우러러보면 멀고 가물가물하여 (멀기가) 百 발이나 되고,
내려보면 가파르고 험하여 千 길이나 된다.
구슬들이 서로 비추는 듯이 금빛과 푸른 빛이 서로 빛나면서
구름과 노을을 비추어 밝히니 햇빛과 달빛마저 가리운다.
4. 구양순의 서체 특징
唐대 楷書 중에서 가장 세련미를 지니며 귀족적이 서체가 바로 陽詢체이다. 구양순은 젊어서 왕희지(1)(王羲之) 부자의 書체를 공부하여 그이 결체는 강건하면서도 세차고 잘 정돈된 形을 취하여 준엄하고 세찬점 즉 붓을 댈때 면도날도 베고 도끼로 찍는 듯한 명쾌한 날카로운 맛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구양순은 한가지 양식에 사로 잡히는 일이 없었기 때문에 그가 쓴 글씨는 모나면서도 붓자국이 둥글둥글 하고 온화하면서도 힘차다. 구양순체의 기본글자의 취하는 형태는 안진경체의 향세와 달리 배세구조를 취한다. 99
山에 冠을 씌우듯이 (冠처럼 山에) 宮殿을 올리고, 골짜기를 끊어 연못을 만들고,
溪谷의 물을 가로질러 기둥에 들보를 얹고, 바위를 쪼개 大闕을 세우고,
高閣이 두루 서고,
긴 回廊이 四方에 일어나고, 마룻대와 지붕이 얼켜 있고,
樓閣과 亭子가 들쭉날쭉하다.
우러러보면 멀고 가물가물하여 (멀기가) 百 발이나 되고,
내려보면 가파르고 험하여 千 길이나 된다.
구슬들이 서로 비추는 듯이 금빛과 푸른 빛이 서로 빛나면서
구름과 노을을 비추어 밝히니 햇빛과 달빛마저 가리운다.
4. 구양순의 서체 특징
唐대 楷書 중에서 가장 세련미를 지니며 귀족적이 서체가 바로 陽詢체이다. 구양순은 젊어서 왕희지(1)(王羲之) 부자의 書체를 공부하여 그이 결체는 강건하면서도 세차고 잘 정돈된 形을 취하여 준엄하고 세찬점 즉 붓을 댈때 면도날도 베고 도끼로 찍는 듯한 명쾌한 날카로운 맛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구양순은 한가지 양식에 사로 잡히는 일이 없었기 때문에 그가 쓴 글씨는 모나면서도 붓자국이 둥글둥글 하고 온화하면서도 힘차다. 구양순체의 기본글자의 취하는 형태는 안진경체의 향세와 달리 배세구조를 취한다. 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