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뉴런 에는 약 백만분의 1nm이하의 간격이 있는데 이를 시냅스 간격 혹은 시냅스 틈이라고 한다.
활동전위가 축색을 따라 내려와 축색종말에 도달하면 신경전달물질이라는 화학물질이 방출된다. 방출된 전달물질은 시냅스 틈을 건너 시냅스후막에 있는 수용기와 아주 짧은 시간동안 하여 그 뉴런을 흥분시키거나 억제시킨다. 이 모든 과정은 1/2000초 동안에 일어난다.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되는 화학물질과 수용기의 유형에 따라서 그 결과는 뉴런의 흥분이거나 억제일 수 있다.
대부분의 뉴런들은 자발적으로 보통 속도로 활동전위를 일으키고 있다.
흥분적인 작용은 활동전위를 더 자주 일이키고, 억제적인 영향은 평상시보다 덜 빈번히 활동전위를 일으키게 된다.
참고문헌: 인간의 심리학적 이해 (저자 오윤선) 2009.03.10.
활동전위가 축색을 따라 내려와 축색종말에 도달하면 신경전달물질이라는 화학물질이 방출된다. 방출된 전달물질은 시냅스 틈을 건너 시냅스후막에 있는 수용기와 아주 짧은 시간동안 하여 그 뉴런을 흥분시키거나 억제시킨다. 이 모든 과정은 1/2000초 동안에 일어난다.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되는 화학물질과 수용기의 유형에 따라서 그 결과는 뉴런의 흥분이거나 억제일 수 있다.
대부분의 뉴런들은 자발적으로 보통 속도로 활동전위를 일으키고 있다.
흥분적인 작용은 활동전위를 더 자주 일이키고, 억제적인 영향은 평상시보다 덜 빈번히 활동전위를 일으키게 된다.
참고문헌: 인간의 심리학적 이해 (저자 오윤선) 2009.03.10.
추천자료
설득의 심리학
심리학개론 수업 노트정리
[심리학 유형][개인심리학][건강과 심리학][공포와 불안 심리학][우울증과 심리학][개의 행동...
[심리학의 개념][심리학의 분야][심리검사의 기능][이상행동의 종류][정신장애 이상행동의 예...
인지 이론 (cognitive theory) - 피아제(Piaget) & 벡(Beck) & 엘리스(Ellis) & ...
자신의 나쁜 습관 하나를 정하여 학습 심리학의 이론으로 습관이 형성된 원인(또는 이유)과 ...
심리학개론
유영철 분석
[경상대]심리학개론 정리 요약 입니다★
[인간과심리] 이제껏배운심리학이론과 관련된 최근의 사례(뉴스기사)를 찾아 그 심리학적 이...
2장. 교육공학의 심리학적 기초
심진섭 교수 [심리학개론] 중간고사 (3개)
[심리학개론] 고치고 싶은 행동을 행동수정 기법으로 극복하기 (고전적 조건형성의 방법으로)
[심리학개론]학습이론의 유형(반드시 개인의 경험과 철학이있어야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