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디와 쿠틉은 진정한 '문명'을 어떻게 정의내리는가?
그들이 서구문명과 자신들의 문명을 구별하기 위해서 내새우는 '신'에 대한 개념은 무엇인가?
서구의 신과 그들이 말하는 신은 다른가? 혹은 기독교에서 유일신을 대하는 절대주의적 태도와 이들의 태도는 다른가? 더불어 뚜웨이밍이 유교에서 되찾아야한다고 주장하는 유교적 가치들과 이들의 종교에서 말하는 가치들을 비교하고 궁극적으로 모든 종교는 서로 비슷한 가치를 주장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런대도 종교가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분열되는 까닭은 무엇인가?
그들이 서구문명과 자신들의 문명을 구별하기 위해서 내새우는 '신'에 대한 개념은 무엇인가?
서구의 신과 그들이 말하는 신은 다른가? 혹은 기독교에서 유일신을 대하는 절대주의적 태도와 이들의 태도는 다른가? 더불어 뚜웨이밍이 유교에서 되찾아야한다고 주장하는 유교적 가치들과 이들의 종교에서 말하는 가치들을 비교하고 궁극적으로 모든 종교는 서로 비슷한 가치를 주장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런대도 종교가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분열되는 까닭은 무엇인가?
본문내용
다면, 우리는 결코 하나님만을 받드는 유일신론자일 수가 없다.
나는 현재 기독교가 일반적으로 견지하고 있는 유일신관이 가장 바람직한 신관이므로 우리 모두 그런 신관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뜻에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다. 신관에 대한 패러다임이 새로운 시대에 걸맞게 변해야 한다는 것을 말할 나위도 없는 일이다. 여기서 지적하고 싶은 것은 우리가 이웃 종교의 신을 별개의 신, 구원도 못 주는 신, 심지어 거짓 신 등으로 본다던가, 우리 일상생활에서 신 이외의 가치를 절대적 가치로 모시고 거기에 목줄을 매고 있다면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 아직도 ‘다신론적 신관’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로서, 이런 ‘실제적 다신론(practical polytheism)도 더 깊은 신관을 위해 극복해야할 대상이라는 것이다.
나는 현재 기독교가 일반적으로 견지하고 있는 유일신관이 가장 바람직한 신관이므로 우리 모두 그런 신관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뜻에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다. 신관에 대한 패러다임이 새로운 시대에 걸맞게 변해야 한다는 것을 말할 나위도 없는 일이다. 여기서 지적하고 싶은 것은 우리가 이웃 종교의 신을 별개의 신, 구원도 못 주는 신, 심지어 거짓 신 등으로 본다던가, 우리 일상생활에서 신 이외의 가치를 절대적 가치로 모시고 거기에 목줄을 매고 있다면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 아직도 ‘다신론적 신관’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로서, 이런 ‘실제적 다신론(practical polytheism)도 더 깊은 신관을 위해 극복해야할 대상이라는 것이다.
추천자료
백범 김구의 생애와 사상 연구
루소의 에밀 그리고 플라톤의 국가론
부의 미래를 읽고나서
라이온하트
디지로그 서평- 디지로그 세상에서 우리의 나아가야 할 방향은?
중세미술과 현대미술의 닮은점
[우수평가자료]책탐 독후감상문, 저자가 말하는 핵심내용분석과 느낀 점을 중심으로.
[A+평가독후감]기적의 사과 독후감,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점을 중심으로.
건강개념의 변천(서,본,결론으로 작성)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관광정책 개선방안
[인간학/국어작문A+] 사이버문화(익명성과 비정형성)와 인간가치문제 고찰
인도 철학이 말하는 자아와 해탈
『엔트로피 (Entropy)』 _ 제레미 리프킨 (Jeremy Rifkin) 저 [전체 내용 요약 및 감상문]
프로이드 & 하이데거 & 비트겐슈타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