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gic-tight]에 맞추어진 이유를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써, 자신의 행동 속에 숨어 있는 실제 원인은 의식에서 용납할 수 없는 내용일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자기 자신은 그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는 경우 역시 대부분이다. 그래서 인지는 몰라도, 실제 내용을 지적당하게 되면 그는 화를 내게 된다.
3) 논리불통 심리란, 논리적으로 모순되는 두개의 심리적 현실을 공존시키면서도 어떤 갈등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는 심리상태를 말한다. 그러나「논리불통」자는 인격 성장 저해 → 자기혼란 → 대인관계곤란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끝내는 자기 파멸을 맞게 된다.
4) 합리화란 거짓말과는 다르다. 합리화 → 무의식의 방어기제이므로 자신의 설명[합리화]이 허구라고 의식 하지 못함. 거짓말 → 자신의 행동에 대한 설명[거짓말]이 허구라는 것을 의식하고 있음.
5) 예 : 이솝 우화 중 「여우와 신포도(Sour grapes)」 도덕성을 외치며 검은 정치자금을 뒷거래했으면서도 뻔뻔스러운 정치인. 바람둥이 총각이 처녀성을 요구하는 행위.
(16) 퇴행 (Regression)
1) 좌절을 심하게 당했을 때 또는 아주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유치한 수준 [주로 고착(Fixation)시기로 퇴행함]으로 후퇴하는 현상을 말한다.
2) 고착(Fixation)시기 ㅡ 예를들어 항문기에 좌절을 심하게 겪었거나 반대로 너 무 재미를 보았다면 그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항문기 시 기에 고착하게 되는데 이런 시기를 고착 시기 라고 부 른다.
3) 예 : 동생이 태어나자 대소변을 잘 가리던 4살짜리 아이가 오줌을 싸는 것. 늙은 임원이 중학동창생들을 만났을 때 마치 중학생들처럼 행동하는 것 ( → 양성 퇴행 ) 대소변을 못가리는 망녕든 노인네
(17) 승화 (Sublimation)
1) 본능적 욕구나 참기 어려운 충동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용납할 수 있는 형태 로 바꾸어 사용하는 가장 건전하고 건설적인 방어기제이다.
2) 승화는 다른 방어기제와는 달리 id를 반대하지 않으며 자아의 억압이 없고 충동 에너지를 그대로 유용하게 전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3) 예 : 성적 욕망의 승화 ㅡ 예술, 무희 잔인한 충동의 승화 ㅡ 검사, 외과의사 항문기좌절의 승화 ㅡ 기생충학자 폭력적 공격 충동의 승화 ㅡ 권투선수
(18) 압축 (Condensation)
두가지 이상의 Idea가 합병된 것으로, 예를 들면 「꿈속에서 한 여인을 보았는데 아내 같기도 하고 어머니 같기도 했다」라고 한다면 한 여인에게 아내와 어머니라는 두명의 Image가 합쳐진 것으로 이런 현상을 압축이라 부른다. 그리고 이 두명의 Image는 동일한 본능에너지 값을 지니고 있다라고 할 수 있다.
(19) 전이 (Transference)
전에 알았던 사람과 현재의 사람을 동일시하여 전에 알았던 사람에게 가졌던 사랑이나 미움의 감정을 현재의 사람에게 옮겨와 반복시키고 있는 특수착각(Specific illusion)현상으로서, 대부분 무의식적 현상이므로 본인이 모르는 경우가 많다.
(20) 역전이 (Counter - transference)
1) 전이는 보통 아랫사람 또는 환자에게 많은 반면, 역전이는 관리자나 치료자에 게 많으며, 전에 다른 사람에게 가졌던 동일한 감정을 아랫사람이나 환자에게 갖게 되는 현상
2) 업무를 하는 과정 속에서 부하직원으로 인해서 어떤 관리자의 마음 속에 큰 슬픔이나 우울함 또는 분노나 증오심이, 현실적으로 타당한 이유 없이, 생겼다면 이것이 바로 역전이 현상이다. 이것은 부하직원의 문제가 관리자를 자극해서 관리자의 무의식 속에 감추어져 있었던 숨겨진 갈등이 노출되어 나온 현상인 것이다.
3) 논리불통 심리란, 논리적으로 모순되는 두개의 심리적 현실을 공존시키면서도 어떤 갈등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는 심리상태를 말한다. 그러나「논리불통」자는 인격 성장 저해 → 자기혼란 → 대인관계곤란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끝내는 자기 파멸을 맞게 된다.
4) 합리화란 거짓말과는 다르다. 합리화 → 무의식의 방어기제이므로 자신의 설명[합리화]이 허구라고 의식 하지 못함. 거짓말 → 자신의 행동에 대한 설명[거짓말]이 허구라는 것을 의식하고 있음.
5) 예 : 이솝 우화 중 「여우와 신포도(Sour grapes)」 도덕성을 외치며 검은 정치자금을 뒷거래했으면서도 뻔뻔스러운 정치인. 바람둥이 총각이 처녀성을 요구하는 행위.
(16) 퇴행 (Regression)
1) 좌절을 심하게 당했을 때 또는 아주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유치한 수준 [주로 고착(Fixation)시기로 퇴행함]으로 후퇴하는 현상을 말한다.
2) 고착(Fixation)시기 ㅡ 예를들어 항문기에 좌절을 심하게 겪었거나 반대로 너 무 재미를 보았다면 그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항문기 시 기에 고착하게 되는데 이런 시기를 고착 시기 라고 부 른다.
3) 예 : 동생이 태어나자 대소변을 잘 가리던 4살짜리 아이가 오줌을 싸는 것. 늙은 임원이 중학동창생들을 만났을 때 마치 중학생들처럼 행동하는 것 ( → 양성 퇴행 ) 대소변을 못가리는 망녕든 노인네
(17) 승화 (Sublimation)
1) 본능적 욕구나 참기 어려운 충동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용납할 수 있는 형태 로 바꾸어 사용하는 가장 건전하고 건설적인 방어기제이다.
2) 승화는 다른 방어기제와는 달리 id를 반대하지 않으며 자아의 억압이 없고 충동 에너지를 그대로 유용하게 전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3) 예 : 성적 욕망의 승화 ㅡ 예술, 무희 잔인한 충동의 승화 ㅡ 검사, 외과의사 항문기좌절의 승화 ㅡ 기생충학자 폭력적 공격 충동의 승화 ㅡ 권투선수
(18) 압축 (Condensation)
두가지 이상의 Idea가 합병된 것으로, 예를 들면 「꿈속에서 한 여인을 보았는데 아내 같기도 하고 어머니 같기도 했다」라고 한다면 한 여인에게 아내와 어머니라는 두명의 Image가 합쳐진 것으로 이런 현상을 압축이라 부른다. 그리고 이 두명의 Image는 동일한 본능에너지 값을 지니고 있다라고 할 수 있다.
(19) 전이 (Transference)
전에 알았던 사람과 현재의 사람을 동일시하여 전에 알았던 사람에게 가졌던 사랑이나 미움의 감정을 현재의 사람에게 옮겨와 반복시키고 있는 특수착각(Specific illusion)현상으로서, 대부분 무의식적 현상이므로 본인이 모르는 경우가 많다.
(20) 역전이 (Counter - transference)
1) 전이는 보통 아랫사람 또는 환자에게 많은 반면, 역전이는 관리자나 치료자에 게 많으며, 전에 다른 사람에게 가졌던 동일한 감정을 아랫사람이나 환자에게 갖게 되는 현상
2) 업무를 하는 과정 속에서 부하직원으로 인해서 어떤 관리자의 마음 속에 큰 슬픔이나 우울함 또는 분노나 증오심이, 현실적으로 타당한 이유 없이, 생겼다면 이것이 바로 역전이 현상이다. 이것은 부하직원의 문제가 관리자를 자극해서 관리자의 무의식 속에 감추어져 있었던 숨겨진 갈등이 노출되어 나온 현상인 것이다.
추천자료
[청소년심리A+] 안나 프로이드(Anna Freud) 방어기제 개념과 위계서열
인간발달단계 중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시기)는 언제라고 생각하는지, 또 그 단...
프로이드의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이 사용하는 방어기제의 사례와 그에 따른 분석을...
[아동발달] 아동기 인지발달 - 아동기 사고의 특성, 아동기의 주의와 기억발달, 인지양식, 지...
방어기제에 대해 서술하고, 그 중 본인이 사용했던 3가지 이상의 방어기제 사례를 함께 서술.
사회복지실천과 정신역동모델(프로이드, 자아방어기제, 정신역동, 구조적모델, 지형학적모델,...
정신분석모델에 대하여 설명하고 정신분석 모델의 방어기재 중 2개 이상을 선택하여 서술하시오
[2020 정신건강론][기말시험] 1.프로이트, 에릭슨, 매슬로우가 말하는 정신이 건강한 사람은 ...
정신건강론 2020년 기말시험 (온라인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