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판소리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판소리의 정의
판소리의 종류
판소리의 구성요소
판소리의 유래
대표적 판소리 (1)
대표적 판소리 (2)
잊혀져 가는 판소리
판소리의 정의
판소리의 종류
판소리의 구성요소
판소리의 유래
대표적 판소리 (1)
대표적 판소리 (2)
잊혀져 가는 판소리
본문내용
②판소리의 정의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의 장단에 맞추어 창, 말, 몸짓을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엮어가는 것을 말한다.
③판소리의 종류
판소리에는 12가지 종류가 있다.
(춘향가)(심청가) (흥보가)(수궁가)(적벽가)(변강쇠타령)(옹고집타령)(무숙이 타령)(강릉매화타령)(배비장타령)(가짜신성타령)
※현재에는 (춘양가)(심청가)(흥보가)(수궁 가)(적벽가)만 불려지고 있다.
2011년에 새로 추가 되었다.
연극놀이 전문가 남인우 연출가와 소리꾼인 이자람이 만 나 우리전통의 소리를 바탕으로 탄생한 현실풍자 판소리극 ‘사천가’다.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의 장단에 맞추어 창, 말, 몸짓을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엮어가는 것을 말한다.
③판소리의 종류
판소리에는 12가지 종류가 있다.
(춘향가)(심청가) (흥보가)(수궁가)(적벽가)(변강쇠타령)(옹고집타령)(무숙이 타령)(강릉매화타령)(배비장타령)(가짜신성타령)
※현재에는 (춘양가)(심청가)(흥보가)(수궁 가)(적벽가)만 불려지고 있다.
2011년에 새로 추가 되었다.
연극놀이 전문가 남인우 연출가와 소리꾼인 이자람이 만 나 우리전통의 소리를 바탕으로 탄생한 현실풍자 판소리극 ‘사천가’다.
추천자료
<광대가> 사대법예에 대한 정석과 제언
북- 김영랑 시
창극 제비
춘향가에 관한 연구
『심청전』경판본과 완판본의 주제와 사상
한국문학통사 3권(4판)정리 - 9.13~15
고전문학사 내용 정리(상고시대~조선시대)
서울굿 음악
제4판 한국문학통사 3 (조동일) 요약, 정리
[국악][한국전통음악]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의의,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관련용어, 국악(한국...
2012년도 국어 임용 문학 기출 분석
[서사시][서사시 개념][서사시 환경][서사시 역사][서사시 전개][중세문학][서사한시][문학][...
[고전문학 교육론] 배심원토론을 활용한 토끼전 수업
[고전문학 교육론] 고전이 아닌 ‘문학’으로서의 고전문학 -소설 춘향전 감상 수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