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명 : 7. 분수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학습의 흐름
5. 단원의 전개계획
6. 지도 내용의 해설
7. 지도상의 유의점
8. 단원의 평가 관점
9. 학급 실태 및 지도대책
10. 수업자의 의도
11. 교재연구
12. 단원의 평가계획
14. 본시 교수ㆍ학습 과정안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학습의 흐름
5. 단원의 전개계획
6. 지도 내용의 해설
7. 지도상의 유의점
8. 단원의 평가 관점
9. 학급 실태 및 지도대책
10. 수업자의 의도
11. 교재연구
12. 단원의 평가계획
14. 본시 교수ㆍ학습 과정안
본문내용
의지를 통해 수업 시간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 낸다.
<학습 목표> 부분은 전체의 얼마인지 알 수 있다.
T:학습할 순서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과정
학습단계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문제 제시
활동 순서 제시
<활동 순서>
활동1. 기초를 탄탄히!
활동2. 스스로 해보기
활동3. 분수 땅 차지하기
1분
문제 이해
탐색
▶활동1. 기초를 탄탄히!
T: 선생님 어머니께서 오늘 아침에 달걀 프라이를 8개 해 주셨어요. 어머니와 선생님이 달걀 프라이를 나눠먹으려고 합니다. 한 사람당 달걀 프라이 몇 개씩을 먹을 수 있을까요?
T: 그렇다면 4개는 8개의 몇 분의 몇이라고 할 수 있나요?
T: 어머니와 선생님이 달걀 프라이를 막 먹으려는 순간, 아버지와 동생도 잠에서 깨어 모두 아침을 함께 먹게 되었습니다.
T: 이제 몇 사람이서 8개의 달걀 프라이를 먹어야 하나요? 몇 개씩 먹을 수 있나요?
T: 이 때 한 사람당 몇 개의 달걀 프라이를 먹을 수 있나요?
T: 그렇다면 이 때 4개의 달걀 프라이는 8개의 몇 분의 몇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T: 같은 4개도 다른 모습의 분수로 표현이 가능하네요.
S: 4개씩입니다.
S: 입니다.
S: 네 사람입니다.
S: 2개씩입니다.
S: 입니다.
3분
◎달걀 프라이 모형
※구체물을 통해 아이들이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과정
학습단계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문제 이해
문제 해결
탐색
T: 이번에는 여러분이 직접 해보도록 합시다.
T: 18개를 6개씩 묶어 봅시다.
T: 이때 6은 18의 몇 분의 몇 입니까?
T: 18개를 3개씩 묶어 봅시다.
T: 이때 6은 18의 몇 분의 몇 입니까?
T: 18개를 2개씩 묶어 봅시다.
T: 6은 18의 몇 분의 몇 입니까?
T: 18개를 1개씩 묶어 봅시다.
T: 이번에는 6은 18의 몇 분의 몇 입니까?
T: 잘 해주었습니다. 이처럼 전체 중의 부분을 나타내는 수가 같더라도 분수는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활동2. 스스로 해보기
T: 이번에는 직접 해봅시다. 나누어준 색종이를 직접 종이에 붙여 보면서 16개 중의 8개는 어떤 모습의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S: (호명하면 칠판 앞으로 나와 직접 6개씩 묶어 나누어 본다.)
S: 입니다.
S: (호명하면 칠판 앞으로 나와 직접 3개씩 묶어 나누어 본다.)
S: 입니다.
S: (호명하면 칠판 앞으로 나와 직접 3개씩 묶어 나누어 본다.)
S: 입니다.
S: 입니다.
▶활동2. 스스로 해보기
S: (네모 칸으로 잘라진 색종이와 학습지를 나누어 주면 스스로 종이에 8개씩, 4개씩, 2개씩, 1개씩 묶어 붙여 나가며 그에 알맞은 분수를 쓰도록 한다.)
5분
10분
◎달걀 프라이 모형
※직접 해보는 활동을 통해 기초 개념을 감각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색종이, 활동지, 풀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과정
학습단계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문제 해결
탐색
심화
T: 16개를 8개씩 묶었을 때 8은 16의 몇 분의 몇입니까?
T: 16개를 4개씩 묶었을 때 8은 16의 몇 분의 몇입니까?
T: 16개를 2개씩 묶었을 때 8은 16의 몇 분의 몇입니까?
T: 16개를 1개씩 묶었을 때 8은 16의 몇 분의 몇입니까?
T: 모두 잘 해주었습니다.
▶활동3. 분수 땅 차지하기!
T: 선생님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잘 들어봅시다.
T: 이야기를 듣고 나니 어떤 생각이 드나요?
T: 그렇다면 지금부터 나누어주는 활동지의 분수 문제를 풀고 땅을 차지하여 두 형제를 도와줍시다.
T: 누가 더 많은 땅을 차지했나요?
S: 입니다.
S: 입니다.
S: 입니다.
S: 입니다.
▶활동3. 분수 땅 차지하기!
S: (아버지의 유언으로 유산으로 남겨주신 땅을 차지하기 위해 형제들이 분수 공부를 해야 하는 이야기를 듣는다.)
S: 두 형제를 도와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S: (나누어준 활동지를 활용하여 짝 활동을 한다. 가위바위보를 해서 이기는 사람이 문제를 풀고 그 땅에 색을 칠한다. 많은 땅을 차지하여 주고 싶은 형제에게 그 땅을 줄 수 있도록 한다.)
S: ○○입니다.
10분
◎활동지
반성
정리
▶정리하기
T: 모두 잘해주었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정리하기
S1: 부분이 전체의 얼마인지 여러 방법으로 알아보았습니다.
S2: 부분이 전체의 얼마인지 다양한 분수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5분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과정
학습단계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반성
정리
차시 예고
T: 잘 말해 주었습니다. 오늘 수업 시작하기 전에 선생님이 내어준 문제를 기억하나요?
T: 해결해 볼 수 있는 친구가 있나요?
T: 걸리버의 키는 거인국 사람들의 키의 몇 분의 몇인가요?
T: 소인국 사람들의 키는 걸리버의 키의 몇 분의 몇인가요?
T: 여러분의 도움으로 걸리버가 섬에서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
▶차시 예고
T: 다음 시간에는 문제 해결과 놀이 마당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수고했습니다.
S: 네!
S: (손을 들면 지명해서 칠판 앞으로 나와 문제를 해결해 볼 수 있도록 한다.)
S: 입니다.
S: 입니다.
▶차시 예고
S: 감사합니다.
1분
※수업을 시작하며 내어준 문제를 해결해보며 오늘 학습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PPT 화면
※판서계획
<단원>
7. 분수
<학습 목표>
부분은 전체의 얼마인지 알 수 있다.
<활동 순서>
활동1. 기초를 탄탄히!
활동2. 스스로 해보기
활동3. 분수 땅 차지하기
※ 본 차시 학습 평가
평 가 내 용
평 가 기 준
평 가 시 기
평 가 방 법
부분은 전체의 얼마인지 알 수 있다.
상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이해하여 부분이 전체의 얼마인지 다양한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수업 중,
수업 후
수업 중 발표 및 태도, 과제물
중
부분이 전체의 얼마인지 2개 정도의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하
부분이 전체의 얼마인지 나타내지 못한다.
<학습 목표> 부분은 전체의 얼마인지 알 수 있다.
T:학습할 순서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과정
학습단계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문제 제시
활동 순서 제시
<활동 순서>
활동1. 기초를 탄탄히!
활동2. 스스로 해보기
활동3. 분수 땅 차지하기
1분
문제 이해
탐색
▶활동1. 기초를 탄탄히!
T: 선생님 어머니께서 오늘 아침에 달걀 프라이를 8개 해 주셨어요. 어머니와 선생님이 달걀 프라이를 나눠먹으려고 합니다. 한 사람당 달걀 프라이 몇 개씩을 먹을 수 있을까요?
T: 그렇다면 4개는 8개의 몇 분의 몇이라고 할 수 있나요?
T: 어머니와 선생님이 달걀 프라이를 막 먹으려는 순간, 아버지와 동생도 잠에서 깨어 모두 아침을 함께 먹게 되었습니다.
T: 이제 몇 사람이서 8개의 달걀 프라이를 먹어야 하나요? 몇 개씩 먹을 수 있나요?
T: 이 때 한 사람당 몇 개의 달걀 프라이를 먹을 수 있나요?
T: 그렇다면 이 때 4개의 달걀 프라이는 8개의 몇 분의 몇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T: 같은 4개도 다른 모습의 분수로 표현이 가능하네요.
S: 4개씩입니다.
S: 입니다.
S: 네 사람입니다.
S: 2개씩입니다.
S: 입니다.
3분
◎달걀 프라이 모형
※구체물을 통해 아이들이 직접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과정
학습단계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문제 이해
문제 해결
탐색
T: 이번에는 여러분이 직접 해보도록 합시다.
T: 18개를 6개씩 묶어 봅시다.
T: 이때 6은 18의 몇 분의 몇 입니까?
T: 18개를 3개씩 묶어 봅시다.
T: 이때 6은 18의 몇 분의 몇 입니까?
T: 18개를 2개씩 묶어 봅시다.
T: 6은 18의 몇 분의 몇 입니까?
T: 18개를 1개씩 묶어 봅시다.
T: 이번에는 6은 18의 몇 분의 몇 입니까?
T: 잘 해주었습니다. 이처럼 전체 중의 부분을 나타내는 수가 같더라도 분수는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활동2. 스스로 해보기
T: 이번에는 직접 해봅시다. 나누어준 색종이를 직접 종이에 붙여 보면서 16개 중의 8개는 어떤 모습의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S: (호명하면 칠판 앞으로 나와 직접 6개씩 묶어 나누어 본다.)
S: 입니다.
S: (호명하면 칠판 앞으로 나와 직접 3개씩 묶어 나누어 본다.)
S: 입니다.
S: (호명하면 칠판 앞으로 나와 직접 3개씩 묶어 나누어 본다.)
S: 입니다.
S: 입니다.
▶활동2. 스스로 해보기
S: (네모 칸으로 잘라진 색종이와 학습지를 나누어 주면 스스로 종이에 8개씩, 4개씩, 2개씩, 1개씩 묶어 붙여 나가며 그에 알맞은 분수를 쓰도록 한다.)
5분
10분
◎달걀 프라이 모형
※직접 해보는 활동을 통해 기초 개념을 감각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색종이, 활동지, 풀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과정
학습단계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문제 해결
탐색
심화
T: 16개를 8개씩 묶었을 때 8은 16의 몇 분의 몇입니까?
T: 16개를 4개씩 묶었을 때 8은 16의 몇 분의 몇입니까?
T: 16개를 2개씩 묶었을 때 8은 16의 몇 분의 몇입니까?
T: 16개를 1개씩 묶었을 때 8은 16의 몇 분의 몇입니까?
T: 모두 잘 해주었습니다.
▶활동3. 분수 땅 차지하기!
T: 선생님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잘 들어봅시다.
T: 이야기를 듣고 나니 어떤 생각이 드나요?
T: 그렇다면 지금부터 나누어주는 활동지의 분수 문제를 풀고 땅을 차지하여 두 형제를 도와줍시다.
T: 누가 더 많은 땅을 차지했나요?
S: 입니다.
S: 입니다.
S: 입니다.
S: 입니다.
▶활동3. 분수 땅 차지하기!
S: (아버지의 유언으로 유산으로 남겨주신 땅을 차지하기 위해 형제들이 분수 공부를 해야 하는 이야기를 듣는다.)
S: 두 형제를 도와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S: (나누어준 활동지를 활용하여 짝 활동을 한다. 가위바위보를 해서 이기는 사람이 문제를 풀고 그 땅에 색을 칠한다. 많은 땅을 차지하여 주고 싶은 형제에게 그 땅을 줄 수 있도록 한다.)
S: ○○입니다.
10분
◎활동지
반성
정리
▶정리하기
T: 모두 잘해주었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정리하기
S1: 부분이 전체의 얼마인지 여러 방법으로 알아보았습니다.
S2: 부분이 전체의 얼마인지 다양한 분수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5분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과정
학습단계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반성
정리
차시 예고
T: 잘 말해 주었습니다. 오늘 수업 시작하기 전에 선생님이 내어준 문제를 기억하나요?
T: 해결해 볼 수 있는 친구가 있나요?
T: 걸리버의 키는 거인국 사람들의 키의 몇 분의 몇인가요?
T: 소인국 사람들의 키는 걸리버의 키의 몇 분의 몇인가요?
T: 여러분의 도움으로 걸리버가 섬에서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
▶차시 예고
T: 다음 시간에는 문제 해결과 놀이 마당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수고했습니다.
S: 네!
S: (손을 들면 지명해서 칠판 앞으로 나와 문제를 해결해 볼 수 있도록 한다.)
S: 입니다.
S: 입니다.
▶차시 예고
S: 감사합니다.
1분
※수업을 시작하며 내어준 문제를 해결해보며 오늘 학습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PPT 화면
※판서계획
<단원>
7. 분수
<학습 목표>
부분은 전체의 얼마인지 알 수 있다.
<활동 순서>
활동1. 기초를 탄탄히!
활동2. 스스로 해보기
활동3. 분수 땅 차지하기
※ 본 차시 학습 평가
평 가 내 용
평 가 기 준
평 가 시 기
평 가 방 법
부분은 전체의 얼마인지 알 수 있다.
상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이해하여 부분이 전체의 얼마인지 다양한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수업 중,
수업 후
수업 중 발표 및 태도, 과제물
중
부분이 전체의 얼마인지 2개 정도의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하
부분이 전체의 얼마인지 나타내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