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000㎌
측정
최대 전압(V)
9.995
9.945
최대 전류(A)
0
0
시 상수,
1
1.5
측정
시 상수(RC)일 때 전압
3.6
3.706
시 상수(RC)일 때 전류
-0.037
-0.038
이론
계산
시 상수(RC)일 때 전압
3.679
5.134
시 상수(RC)일 때 전류
-0.037
-0.051
오차
전류(%)
0
25.5
전압(%)
2.1
27.8
(2) 그래프
(3) 오차원인
① 저항의 변화에 따른 콘덴서 충방전 실험에서 저항이 45Ω일 때 이론값과의 오차사 상당히 큰 값이 나왔는데 다른 시행때는 그와같은 수치의 오차는 없는 것으로 보아 사용한 저항에 문제가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② 그 외에 일반적인 오차는 전선내부의 저항은 무시되었다는 점과 power supply에서 미세한 차이로 전압이 오르락 내리락했다는 점 등이 있다.
5. 토의
시 상수의 정확한 지점을 그래프에서 찾아내는데에 한계가 있어서 시 상수 주변의 데이터를 평균내는 방식을 사용하기로 합의 하였다. 오차가 가장 작은 경우는 전압에 변화만을 주는 경우였다. 저항에 변화를 주는 실험에서 45Ω의 오차가 너무 크게 나와서 이 부분은 어딘가 실험이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측정
최대 전압(V)
9.995
9.945
최대 전류(A)
0
0
시 상수,
1
1.5
측정
시 상수(RC)일 때 전압
3.6
3.706
시 상수(RC)일 때 전류
-0.037
-0.038
이론
계산
시 상수(RC)일 때 전압
3.679
5.134
시 상수(RC)일 때 전류
-0.037
-0.051
오차
전류(%)
0
25.5
전압(%)
2.1
27.8
(2) 그래프
(3) 오차원인
① 저항의 변화에 따른 콘덴서 충방전 실험에서 저항이 45Ω일 때 이론값과의 오차사 상당히 큰 값이 나왔는데 다른 시행때는 그와같은 수치의 오차는 없는 것으로 보아 사용한 저항에 문제가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② 그 외에 일반적인 오차는 전선내부의 저항은 무시되었다는 점과 power supply에서 미세한 차이로 전압이 오르락 내리락했다는 점 등이 있다.
5. 토의
시 상수의 정확한 지점을 그래프에서 찾아내는데에 한계가 있어서 시 상수 주변의 데이터를 평균내는 방식을 사용하기로 합의 하였다. 오차가 가장 작은 경우는 전압에 변화만을 주는 경우였다. 저항에 변화를 주는 실험에서 45Ω의 오차가 너무 크게 나와서 이 부분은 어딘가 실험이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소개글